이현상 (1770년):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33번째 줄:
[[1802년]](순조 2년) [[1월]] 다시 교서관 저작이 되고 [[1월 11일]]에는 교서저작으로 그 달의 윤대관(輪對官)이 되어 순조를 인견하였다. 그해 [[송석원]](松石園)을 찾아 이태승(李台升), 이숭오(李嵩吾), 이희정(李喜鼎), 서파 유희(西陂 柳僖) 등을 만나 시를 짓기도 하였다.<ref>김근태, 〈西陂 柳僖의 생애와 詩論〉, 온지학회, 《온지논총 14》 (온지학회, 2006) 219 ~ 254</ref>
 
[[1802년]](순조 2년) [[2월 22일]] [[교서관]][[박사]](校書博士)가 되었다가 그 해 [[군자감]][[판관]](軍資監判官)을 거쳐 그 해 [[10월 4일]] [[봉상시]][[주부]](奉常侍主簿) 등을 역임했다. 이후 봉상시판관[[봉상시]][[판관]](奉常判官), [[1803년]](순조 3년) [[9월 6일]] [[교서관]]교리(校書館校理)가 되고 그해에 [[성균관]]에 들어가 유생이 되었다. [[1804년]](순조 4년) 초 [[규장각]] 검서관을 거쳐 [[교서관]]교리가 되고, 이 해 [[5월 11일]] 교서교리로 그 달의 윤대관이 되었다. [[1804년]](순조 4) [[7월 19일]] [[성정각]](誠正閣)에서 교서교리로 그 달의 윤대관이 되었다. [[1805년]](순조 6) 다시 [[교서관]]교리에 임명되었다. [[1805년]] [[11월 26일]] [[조선 정조|정조]]의 지장(誌狀)인 정종대왕지장진서단자지장통기(正宗大王誌狀進書單子誌狀通紀)를 편찬할 때 안보관(安寶官)으로 참여하였다.<ref>내각일력 1805년 11월 27일자</ref> [[11월 30일]] 정조의 지장 발행에 참여한 관원들을 시상할 때 안보관으로 참여한 공로로 [[상현궁]] 1장(上弦弓一張)을 하사받았다.<ref>내각일력 1805년 11월 30일자</ref> 이해 [[12월 1일]] [[교서관]]교리(校書館校理)로 그 달의 윤대관이 되었다. [[1806년]] 다시 교서관 교리가 되었다. 그 뒤 [[춘추관]] [[기주관]]이 되고, [[규장각]] [[검서관]], [[교서관]] [[정자]], 봉상첨정(奉常僉正) 등을 지냈다.
 
[[1806년]](순조 6년) [[4월 1일]] [[성정각]](誠正閣)에서 [[교서관]]교리(校書館校理)로 그 달의 윤대관(輪對官)이 되고, [[1806년]](순조 6년) [[12월 27일]] 교서관교리로 그 달의 윤대관이 되었다. 이후 [[호조]][[정랑]](戶曹正郞)를 거쳐 부친상으로 사직, 부친의 3년상을 탈상한 뒤 복직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