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22,193
번
(내용 추가) |
잔글 (링크 수정) |
||
{{다른 뜻 넘어옴|모레인|캐나다 [[밴프 국립공원]]의 호수|모레인 호}}
[[파일:Glacier.zermatt.arp.750pix.jpg|섬네일|[[스위스]] [[체르마트]]의 빙퇴석]]
[[파일:MorainesLakeLouise.JPG|섬네일|[[캐나다]] [[앨버타주]] [[루이스호 (앨버타주)|루이스호]]의 빙퇴석]]
'''빙퇴석'''(氷堆石) 또는 '''모레인'''({{llang|en|moraine}})은 [[빙하]]가 [[골짜기]]를 깎으면서 운반해 온 암석·자갈 및 토사 등이 퇴적되어 만들어진 지형이다.<ref name="moraine">{{서적 인용 |저자1=Frederick K. Lutgens |저자2=Edward J. Tarbuck |날짜=2009 |제목=지구시스템의 이해 |판=제5판 |위치=서울 |출판사=박학사 |쪽=148 |isbn=9788991633605 }}</ref> 지형학상의 정의로는 돌무더기 모양의 지형을 가리킨다. 빙퇴석의 입자는 [[실트]] 모양의 것부터 거암까지 그 크기가 다양하다.
빙하가 골짜기를 따라 이동하면서 골짜기 측면에 퇴적시킨 빙퇴석을 '''측퇴석'''(側堆石, {{llang|en|lateral moraine}})이라고 하며, 둘 이상의
빙하의 말단부가 녹는 비율과 빙하가 전진하는 속도가 같을 때, 빙하의 맨 앞 끝부분에서 형성되는 빙퇴석을 '''종퇴석'''(終堆石, {{llang|en|end moraine}})이라고 하며<ref name="moraine"/>, 빙하가 전진하는 속도보다 빨리 녹아서 후퇴하면서 쌓이는 퇴적층을 '''저퇴석'''(低堆石, {{llang|en|ground moraine}})이라고 한다.<ref name="moraine2">{{서적 인용 |저자1=Frederick K. Lutgens |저자2=Edward J. Tarbuck |날짜=2009 |제목=지구시스템의 이해 |판=제5판 |위치=서울 |출판사=박학사 |쪽=149 |isbn=9788991633605 }}</ref> 저퇴석은 빙하의 아래 부분에서 퇴적된 것이다.
빙하의 후퇴 등에 의해 빙퇴석이 빙하와 떨어지면서 빙하와의 사이의 공간에 녹은 물이 고여 [[빙하호]]를 형성하는 경우가 있다. 빙하의 후퇴에 의해서 빙퇴석과의 사이에 형성된 빙하호는 빙퇴석의 붕괴에 의해
== 같이 보기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