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679
번
잔글 (HotCat을 사용해서 분류:대한민국의 포획·채취 등의 금지 야생생물 추가함) |
Roachunter (토론 | 기여) 편집 요약 없음 |
||
== 생활양식 ==
늦가을에 월동하기 위하여 먹이를 바위 구멍이나 땅속에 저장. 주로 큰 나무줄기 또는 나뭇가지 사이에서
== 아종 ==
청서의 아종은 40여종이 넘었으나, 최근에는 아래의 아종을 유효한 것으로 간주한다.
*''S. v. alpinus''. Desmarest, 1822.
*''S. v. altaicus''. Serebrennikov, 1928.
*''S. v. anadyrensis''. Ognev, 1929.
*''S. v. arcticus''. Trouessart]], 1906.
*''S. v. balcanicus''. Heinrich, 1936.
*''S. v. chiliensis''. Sowerby, 1921.
*''S. v. cinerea''. Hermann, 1804.
*''S. v. dulkeiti''. Ognev, 1929.
*''S. v. exalbidus''. Pallas, 1778.
*''S. v. fedjushini''. Ognev, 1935.
*''S. v. formosovi''. Ognev, 1935.
*''S. v. fuscoater''. Altum, 1876.
*''S. v. fusconigricans''. Dvigubsky, 1804
*''S. v. leucourus''. Kerr, 1792.
*''S. v. lilaeus''. Miller, 1907.
*''S. v. mantchuricus''. Thomas, 1909.
*''S. v. martensi''. [Matschie, 1901.
*''S. v. ognevi''. Migulin, 1928.
*''S. v. orientis''. Thomas]], 1906.
*''S. v. rupestris''. Thomas, 1907
*''S. v. ukrainicus''. Migulin, 1928.
*''S. v. varius''. Gmelin, 1789.
*''S. v. vulgaris''. Linnaeus, 1758
한국의 청서로 알려진 ''S. v. coreae'' 또는 ''S. v. coreanus''는 ''S. v. mantchuricus''와 같은 아종이다.
== 사진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