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파불교: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Metrobot (토론 | 기여)
잔글 ISBN 매직 링크 제거
2 개의 출처 구조, 2 개의 링크를 깨진 것으로 표시 #IABot (v2.0beta10)
28번째 줄:
{{본문|제2회 결집}}
 
[[고타마 붓다]]의 입멸 후 약 100년이 지나게 되자 [[계율]]에 대해 새로운 견해를 주장하는 비구들이 있어 논쟁이 일어났다.<ref name="이부종륜론1">{{서적 인용 |1=세우보살 조, 현장 역 |url=http://www.cbeta.org/result/normal/T49/2031_001.htm |제목=이부종륜론(異部宗輪論) |꺾쇠표=예 |기타=T49n2031_p0015a17(00) - T49n2031_p0015a25(00) |인용문=如是傳聞。佛薄伽梵般涅槃後。百有餘年去聖時淹。如日久沒。摩竭陀國俱蘇摩城王號無憂。統攝贍部。感一白蓋。化洽人神。是時佛法大眾初破。謂因四眾共議大天五事不同。分為兩部。一大眾部。二上座部。四眾者何。一龍象眾。二邊鄙眾。三多聞眾。四大德眾。其五事者。如彼頌言。<br />餘所誘無知  猶豫他令入<br />道因聲故起  是名真佛教 |확인날짜=2010-12-21 |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081123023124/http://www.cbeta.org/result/normal/T49/2031_001.htm# |보존날짜=2008-11-23 |깨진링크=예 }}</ref> [[스리랑카]]의 편년체 역사서이자 [[남방불교]]의 자료인 《[[도사 (책)|도사]]([[:zh:島史|<span style="color: black">島史</span>]]{{.cw}}[[:en:Dipavamsa|<span style="color: black">Dipavamsa</span>]])》와 《[[대사]]([[:zh:大史|<span style="color: black">大史</span>]]{{.cw}}[[:en:Mahavamsa|<span style="color: black">Mahavamsa</span>]]》에 따르면, 동부 비구 승단에 속한 와지족의 비구가 [[계율]]에 대한 새로운 열 가지 안("[[십사]]{{.cw}}[[:zh:十事|<span style="color: black">十事</span>]]")을 승인해 줄 것과 이에 따라 [[계율]]을 수정할 것을 주장하였다.<ref name="인도불교의 부파와 학파 - 소승20부"/>
 
이에 인도 서부 마유라(摩偷羅)국의 비구였던 [[야사]](耶舍)는 인도 동부와 서부의 700명의 장로(長老: 상좌{{.cw}}上座라고도 함)를 초청하여 [[바이샬리]]([[:en:Vaisali|<span style="color: black">Vaisali</span>]]{{.cw}}비사리{{.cw}}[[:zh:毗舍離|<span style="color: black">毗舍離</span>]])에서 [[제2회 결집|제2회]] [[결집]]을 열어 주로 [[율장]](律藏)을 편집하고 교단의 통제에 힘을 기울였다.<ref name="글로벌-제2결집">[http://donation.enc.daum.net/wikidonation/ency.do?vol=025&code=001006001000000000#001006001002005000 "제2결집"],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 2010년 12월 21일에 확인.<br />"제2결집:
115번째 줄:
  餘所誘無知  猶豫他令入<br />
  道因聲故起  是名真佛教<br />
後即於此第二百年。大眾部中流出三部。一一說部。二說出世部。三雞胤部。次後於此第二百年。大眾部中復出一部。名多聞部。次後於此第二百年。大眾部中更出一部。名說假部。第二百年滿時。有一出家外道。捨邪歸正。亦名大天。大眾部中出家受具。多聞精進。居制多山。與彼部僧重詳五事。因茲乖諍分為三部。一制多山部。二西山住部。三北山住部。如是大眾部四破或五破。本末別說合成九部。一大眾部。二一說部。三說出世部。四雞胤部。五多聞部。六說假部。七制多山部。八西山住部。九北山住部。其上座部經爾所時一味和合。三百年初有少乖諍。分為兩部。一說一切有部。亦名說因部。二即本上座部。轉名雪山部。後即於此第三百年。從說一切有部流出一部。名犢子部。次後於此第三百年。從犢子部流出四部。一法上部。二賢胄部。三正量部。四密林山部。次後於此第三百年。從說一切有部。復出一部。名化地部。次後於此第三百年。從化地部流出一部。名法藏部。自稱我襲採菽氏師。至三百年末。從說一切有部。復出一部。名飲光部。亦名善歲部。至第四百年初。從說一切有部。復出一部。名經量部。亦名說轉部。自稱我以慶喜為師。如是上座部七破或八破。本末別說成十一部。一說一切有部。二雪山部。三犢子部。四法上部。五賢胄部。六正量部。七密林山部。八化地部。九法藏部。十飲光部。十一經量部。如是諸部。本宗末宗同義異義。"</ref><ref>세우 지음, 현장 한역, 송성수 번역. 《이부종륜론》. pp. [http://ebti.dongguk.ac.kr/h_tripitaka/page/PageView.asp?bookNum=1477&startNum=2 2-4 / 14]{{깨진 링크|url=http://ebti.dongguk.ac.kr/h_tripitaka/page/PageView.asp?bookNum=1477&startNum=2 }}. 소승20부(小乘二十部)<br />"이와 같이 전해 들었다.
<br />부처님 박가범(薄伽梵)께서 반열반하신 뒤로 백여 년이 지나니 성인께서 가신지도 오래되어 마치 해가 오래전에 진 것과 같았다. 마갈타국(摩竭陀國) 구소마성(俱蘇摩城)의 왕인 무(無憂)라는 이는 남섬부주를 도맡아 다스리고 하나의 흰 일산을 받으며 사람과 신들을 교화하고 다스렸다.
<br />그때에 불법의 대중(大衆)이 처음 쪼개어졌다. 이를테면 네 대중[四衆]이 함께 대천의 다섯 가지 일[大天五事]<sup style="color: blue">1)</sup>을 논의하다가 뜻이 같지 않아 두 부로 나뉘어졌으니, 첫째는 대중부(大衆部)요 둘째는 상좌부(上座部)이다.
145번째 줄:
  餘人染污衣  無明疑他度<br />
  聖道言所顯  是諸佛正教<br />
思擇此五處。分成兩部。一大眾部。二上座弟子部。至第二百年中。從大眾部。又出三部。一一說部。二出世說部。三灰山住部。於此第二百年中。從大眾部又出一部。名得多聞部。於此第二百年中。從大眾部又出一部。名分別說部。此第二百年滿。有一外道。名曰大天。於大眾部中出家。獨處山間。宣說大眾部。五種執異。自分成兩部。一支提山部。二北山部。如是大眾部四破五破。合成七部。一大眾部。二一說部。三出世說部。四灰山住部。五得多聞部。六分別說部。七支提山部。北山部。上座弟子部。住世若千年。至第三百年中。有小因緣分成兩部。一說一切有部。亦名說因部。二雪山住部。亦名上座弟子部。於此第三百年中。從說一切有部。又出一部。名可住子弟子部。於此第三百年中。從可住子弟子部。又出四部。一法上部。二賢乘部。三正量弟子部。四密林住部。於此第三百年中。從說一切有部。又出一部。名正地部。於此第三百年中。從正地部。又出一部。名法護部。此部自說勿伽羅是我大師。於此第三百年中。從說一切有部。又出一部。名善歲部。亦名飲光弟子部。至第四百年中。從說一切有部。又出一部。名說度部。亦名說經部。如是上座弟子部。合分成十一部。一說一切有部。二雪山住部。三可住子弟子部。四法上部。五賢乘部。六正量弟子部。七密林住部。八正地部。九法護部。十善歲部。十一說度部此諸部是執義本。執義有異。"</ref><ref>천우 지음, 진제 한역, 송성수 번역. 《부집이론》. pp. [http://ebti.dongguk.ac.kr/h_tripitaka/page/PageView.asp?bookNum=1405&startNum=2 2-5 / 16]{{깨진 링크|url=http://ebti.dongguk.ac.kr/h_tripitaka/page/PageView.asp?bookNum=1405&startNum=2 }}. 소승20부(小乘二十部)<br />"이와 같이 들었다.
<br />부처님ㆍ세존께서 열반[滅]하신 지 꼭 일백 년이 되었을 때이니, 마치 밝은 해가 알실다산(頞悉多山)에 숨어버린 지 백 년이 지나고 다시 십육 년이 되었을 때였다.
<br />파타리불다라(波吒梨弗多羅)라는 큰 나라에 아수가(阿輸柯)라는 왕이 있었는데 그는 염부제(閻浮提)의 왕이 되어서 크고 흰 일산으로 온 천하를 덮고 있었다.
228번째 줄:
== 참고 문헌 ==
* {{글로벌세계대백과사전|분류=불교}}
* 세우보살조, 현장역. 《[https://web.archive.org/web/20081123023124/http://www.cbeta.org/result/normal/T49/2031_001.htm 이부종륜론(異部宗輪論)]》, 대정신수대장경, T49 No.2031. 2010년 12월 21일에 확인.
 
== 같이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