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적 설계: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잔글 수정
지적설계의 당위성
태그: 각주 제거됨 시각 편집
2번째 줄:
{{의사과학}}
{{창조주의}}
'''지적 설계'''(知的設計, {{llang|en|intelligent design}})는 탐구 대상이 '의도적 존재'인지 '우연적 존재'인지를 규명하려는 [[사이비 과학]] 및 [[형이상학]] 탐구이다. 다시 말하면 탐구 대상의 기원이 의도에 의한 설계인지 아무런 의도가 없는 자연 발생인지를 밝히는 것이라는 정의를 내리며, 의도적 존재라면 탐구 대상에서 의도적 요소인 '디자인'(Design, 설계(設計)을 찾는 것이라는 주장이다. 지적설계는 과학이론이초과학이론 아니므로이므로 이는아직은 자연발생현대과학이 자체를밝혀야 부정하지는 못하며부분에 그치고 있다. 지적설계론은 자연발생론(진화론)의 모순성이 계속해서 드러남(시계공 논증, "의도성"을자동차논증, 마차논증 등과 우연한 돌연변이의 우연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계속해서 발연하여 필연이 된다는 말같지도 않은 이론)에 따라 점점 지적설계에 대한 규정하는기대치가 형이상학으로서의높아만 가치만을가고 가진다있다.
 
'''지적 존재'''(知的存在, {{llang|en|designer}})는 탐구 대상이 '의도적 존재'일 경우에 당위적으로 추론되는 '의도의 발현자'이다. 지적 설계에서 지적 존재가 가지는 의미는 '결과론적 존재 여부'이다. 풀어 말하자면 "탐구 대상이 의도적 존재이므로 이러한 의도를 발현한 자가 존재한다."라는 말이며 '존재한다'에 그 엑센트가 있다. 여기서 '존재 여부'만이 논리적 추론 범주에 들어갈 뿐, 그 외에 '지적 존재의 특성', '설계 방법', '탐구 대상의 제작 방법'등은 추론이성경의 불가하므로창조론에 논외로기초하고 한다.있다
 
예를 들어, 정밀하고 복잡한 구조의 시계는 자연상태에서 발생할 수 있는 것이 아니므로 이는 설계된 것이 분명하며, 그 시계가 설계되었다면 이를 설계한 설계자(지적존재)가 존재해야 한다는 논리로, 이는 [[윌리엄 페일리]]의 "시계공 논증"에 기초하고 있다. 요약하자면 [[:en:Argument from ignorance|무지에 호소]]하는 논증의 일종이다.
 
== 역사 ==
16번째 줄:
 
=== 한국 ===
한국에서는 2004년 8월 지적설계연구회(회장: 이승엽 서강대학교 기계공학과 교수)가 설립되어 매년 심포지움을 열어 마이클 비히 등의 지적설계론 연구자들을 초빙하는 등의 지적설계론 홍보활동을 하고 있으나, [[사이비한국 과학]]적과학계의 활동으로서무지로 전혀인해 연구활동은국가적(초,중,고교의 이루어지고이론으로)으로 있지연구하지 않다.못하고 있는 실정이다<ref>http://intelligentdesign.or.kr</ref>
 
== 개념 ==
{{참고|en:Teleological argument}}
대체로 "고도로 복잡하고 정교한 시스템은 설계자가 존재할 수밖에 없다" 라는 시계공 논증과 "발생 과정을 알 수 없는 것은 거기에 신이 관여했기 때문이다" 라는 [[틈새의 신]] 논증이 주요 골격을 이루고 있으며, [[하나님|그현대 존재나생물학과 부재를유전학, 증명할물리학, 화학 없는등에서 초월적인무수한 지성적우연의 존재]]를탄생과 전제한발생을 논증이므로말하는 결국진화론에 현상의대한 원리에상당한 관한반박과 과학적 논증이증명이 아니라발현되어 [[:en:Argument from ignorance|무지에 호소]]하여 존재의 근본을 추론하는 형이상학 논증에 가깝다고 할 수가고 있다. 게다가 많은 경우 실제로 알려진 과학적 사실을 짜깁기하여 유사하지만 오류가 있는 다른 이론으로 변형하고, 이를 과학계의 정설인 것처럼 내세운 다음 이를 공격하는 [[허수아비 때리기 오류]]를 자주 범하고 있다.<ref name="Marshall">{{저널 인용|url=http://www.sciencemag.org/content/341/6152/1344.1.full|저자=Charles R. Marshall|제목=Science and Religion: When Prior Belief Trumps Scholarship|날짜=2013-09-20|저널=Science|권=341|호=6152|페이지=p. 1344|출판사=AAAS|doi=10.1126/science.1244515|인용문=''Darwin's Doubt'' is compromised by Meyer's lack of scientific knowledge, his “god of the gaps” approach, and selective scholarship}}</ref>
 
=== 환원 불가능한 복잡성 ===
29번째 줄:
비히가 주장한 환원 불가능한 복잡성의 한 예는 박테리아 편모의 구조이다. 편모는 [[박테리아]]의 운동기관으로 플라젤럼으로 구성된 섬유질이 회전하면서 추진운동을 도와준다.(진핵생물의 튜블린 편모 채찍운동과는 다르다.) 비히의 주장에 따르면 편모를 회전시키기 위한 기관은 박테리아 세포벽 안에 묻혀있는데 구성성분을 살펴볼 때 섬유질을 구성하는 대부분의 단백질과 상이하다. 그 구조와 작동원리는 공학적인 시스템인 모터와 상당히 유사하다. 비록 크기는 수 나노미터에 불과하지만 고정된 링인 고정자 속에서 회전자를 가진다. 더욱 놀라운 것은 이 구조의 효율인데 분당 15000번 회전할 정도로 고에너지 효율을 가진다. 즉, 비히는 이 모터와 같은 기관은 다른 부분에 비해 비정상적으로 발전하였다고 결론내린다.<ref>Irreducible complexity of these examples is disputed; see Kitzmiller, pp. 76–78, and Ken Miller Webcast</ref>
 
하지만 여러 [[진화생물학자]]들은 이 기관이 진화를 통해 충분히 생성될 수 있음을 증명은 하지 못하고 주장만 하고 있다. 마이클 비히는 이 기관은 단순히 추진기관이라 생각했다, 이를 반박하는 [[진화생물학자]]들은 박테리아의 마지막 진화단계에서 이 기관을 추진하는 기능을 가지도록 수만년동안 진화했을 가능성이 있다는 말도 안되는 주장을 하고 있다 우연을 만들려다 보니 처음에는 수백년, 수천년, 수만년, 수억년의 세월이 필요할 뿐이다.
하지만 여러 [[진화생물학자]]들은 이 기관이 진화를 통해 충분히 생성될 수 있음을 주장했다. 마이클 비히는 이 기관은 단순히 추진기관이라 생각했지만 실제로 여러 기능을 가지고 있었고 박테리아의 마지막 진화단계에서 이 기관을 추진하는 기능을 가지도록 진화했을 가능성이 있다.<ref>[http://udel.edu/~mcdonald/mousetrap.html John H. McDonald's "reducibly complex mousetrap"]</ref> 또한 [[:en:Kitzmiller v. Dover Area School District|키츠밀러 대 도버 교육청 재판]]에서는 마이클 비히가 인용했던 논문의 저자가 나와서 마이클 비히의 주장은 옳지 않으며, 편모는 진화를 통해 형성된 것이라는 것을 밝힘으로써 환원불가능한 복잡성에 대한 그의 주장은 [http://www.korean.go.kr/nkview/nklife/1999_1/9_14.html 반증] 되었다. 또한, 편모 운동을 일으키는 메인 원동력인 이온전하차에 의한 ATP생성은 실제 일반적으로 관찰되는 이온채널의 조합에서 나온 것이며, 채널의 진화과정에 대해서 알려진 것은 매우 많다.<ref>[http://www.pnas.org/content/91/9/3484.full.pdf 이온 채널의 진화, PNAS (1994)]</ref> 또한, 그 이후 현재까지 밝혀진 바에 따르면, 이 편모의 구조의 형성 자체가 각 스텝마다 진화의 과정을 통해 이루어진 것이 밝혀진 상태이며, 각각의 단백질을 코딩하는 유전자의 수평 이동 과정까지 밝혀진 상태이며, 이러한 과학적 증거는 비히의 환원불가능한 복잡성을 [http://www.korean.go.kr/nkview/nklife/1999_1/9_14.html 반증] 한다.<ref name="pnas.org">Renyi Liu and Howard Ochman, Stepwise formation of the bacterial flagellar system, http://www.pnas.org/content/104/17/7116.full</ref><ref name="sciencedirect.com">Evolution of bacterial type III protein secretion systems,http://www.sciencedirect.com/science/article/pii/S0966842X04000174</ref>
 
==== 혈액 응고 과정 ====
39번째 줄:
한편, 비히가 주장한 환원 불가능한 복잡성의 핵심은 "어떻게" 그것이 조립되었는가를 말하는 것이라고 원래의 개념을 재정의하는 경우도 있다. 예를 들어 조직화 이전의 개체들이 고유의 기능이 있었다고 하더라도, 그 개체들이 원래 하던 기능을 버리고, 새로운 기능을 하기 위해 다른 개체들과 복잡한 형태로 조직화되는 것은, 특정한 "목적성"을 띈 것이라고 봐야 한다는 주장이다.
 
그러나 이는 전형적인 "무지에 호소"하는 논증으로, 진화의 메커니즘 중에서 공진화라는 과정을 통해 이러한 기능들의 상보적 복잡성이 형성되는 방식에 대해서는 이미 밝혀져 있다.<ref name="pnas.org">Renyi Liu and Howard Ochman, Stepwise formation of the bacterial flagellar system, http://www.pnas.org/content/104/17/7116.full</ref><ref name="sciencedirect.com">Evolution of bacterial type III protein secretion systems,http://www.sciencedirect.com/science/article/pii/S0966842X04000174</ref> 즉, 이미 알려진 사실에 대해 무지에 호소하는 논증은 성립될 수 없으므로, 원래의 개념 자체를 재정의한다고 해도 이 경우에는 "환원 불가능한 복잡성" 즉 무지에 호소하는 "목적론적 논증"의 기본 전제가 반증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 특정 복잡성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