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자: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TedBot (토론 | 기여)
잔글 봇: 미사용 변수 제거
Choboty (토론 | 기여)
잔글 봇: 산둥 성 출신을(를) 산둥성 출신(으)로 분류 대체함; 예쁘게 바꿈
30번째 줄:
 
=== 탄생과 가계 ===
[[파일:Confuciustombqufu.jpg|섬네일|left왼쪽|산둥 성의 공자 묘]]
공자는 [[기원전 551년]] [[9월 28일]] [[노나라]] [[곡부]](曲阜)에서 떨어진 시골인 창평향(昌平鄕) 추읍(郰邑)에서 부친 [[숙량흘]]이 그의 노년에 모친 안징재(顔徵在)를 맞아 공자를 낳았다.
 
65번째 줄:
공자는 제나라의 왕 경공(景公)과 신하들에게 여러 모로 진리를 가르쳤다. 그는 그 곳에서 음악을 논하고 경공에게 정명주의(正名主義)에 입각한 정치 이상을 말하였다. 공자의 박학다식함과 고매한 인품에 매료돼 그를 흠모하게 된 경공은 그를 자신의 정치적 고문으로 기용하려 했으나, 공자의 높은 학식과 덕망으로 인해 자신의 지위가 위태로워지는 것을 꺼린 제나라 재상 안영(晏嬰)의 적극적인 반대로 좌절되었다.
 
[[파일:Chunqiu map-zh-classical.png|섬네일|right오른쪽|350px|춘추 시대 (기원전 770~403)의 [[중국]]]]
 
이로 인해 2년 만에 귀국한 공자는 제자들을 가르치다가 46세 무렵 [[노나라]] 왕의 측근 배신(陪臣)인 [[양호 (춘추)|양호]]가 세력을 잃고 물러나게 되면서 중도재(中道宰<ref>이하 관직 명</ref>)가 되었다. 52세 무렵에는 대사구(大司寇)로 지위가 올랐다. 그 이듬해 노나라의 정공을 따라가 참석한 제나라와의 강화 회의에서 예전에 제나라에 빼앗긴 노나라의 땅을 돌려 주도록 요구하여 이를 관철시켰으며, 난신대부 [[소정묘]](少正卯)를 축출하는 데 참여하였다고도 한다([[기원전 496년]]. 그러나 실제로는 그러한 일이 없다는 주장도 있다.).
72번째 줄:
 
=== 정치 활동 ===
[[파일:马远绘孔子像.jpg|left왼쪽|섬네일|120px|공자상 [[송나라]] 때 마원(馬遠)작]]
 
공자의 인망은 해를 더할수록 거듭 높아져 [[기원전 499년]]에는 대사구(현재의 법무부 장관) 벼슬에 기용되었고 최고 재판관 및 외교관직도 겸하게 되었다.
117번째 줄:
이후 증자의 문인들과 그 제자이자 공자의 손자인 [[자사]]의 문인들, 자사학파에서 갈려 나온 [[맹자]]의 학파, 자궁의 학파, 자궁의 학파에서 분파된 [[순자]]의 학파가 크게 융성하였다. 이후 유학의 사상은 인간의 본성은 선하므로 교육을 통해 선한 본성을 보존하는 데 힘을 쏟아야 한다는 맹자의 [[성선설]]과, 인간의 본성은 악하므로 예로써 악한 본성을 억제하여야 한다는 순자의 [[성악설]]로 나뉘어 발전하게 된다.
 
[[파일:Stamps Confucius, 1961 issue Vietnam.jpg|섬네일|right오른쪽|[[베트남]]에서 발행된 공자 우표]]
 
[[738년]] [[당 현종]]은 공자를 왕으로 추봉하여 '문선왕'(文宣王)의 시호를 내렸다. [[1008년]] [[송 진종]]은 시호 지성(至聖)을 추시하여 '지성문선왕'(至聖文宣王)이 되었다. [[원나라]]에와서는 '대성지성문선왕'(大成至聖文宣王)이 되었다.
126번째 줄:
 
== 사상 ==
[[파일:Konfuzius standbild 2008.jpg|섬네일|right오른쪽|200px|[[독일]] [[베를린]]에 세워진 공자상]]
 
공자의 중심 사상은 그가 제자들과 나눈 문답 형식의 언행집인 《[[논어]]》에 들어 있다. 이를 요약하면 인간이 취하여야 할 모든 행동의 궁극적 지향점은 인(仁)에 있다고 할 수 있다.
146번째 줄:
 
=== 철학 ===
[[파일:LifeAndWorksOfConfucius1687.jpg|섬네일|left왼쪽|130px|1687년 [[프랑스]] [[파리 (프랑스)|파리]]에 소개된 공자의 일대기인《공자생활의 성취》의 일부, Prospero Intorcetta 저]]
 
공자의 군자교육(君子敎育)에서 중심이 되는 것은 '인'이였다. 공자 사상의 핵심인 '인(仁)'은 하나의 문장으로서 명백히 개념이 규정되지는 않았으나, 대체로 [[박애]],도(道),덕,선 등의 뜻을 지니고 있는 심오한 [[휴머니즘]]으로서, 정치적으로는 이름을 바르게 하고, 이에 따라 임금은 임금답게, 신하는 신하답게 책임과 본분을 다 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261번째 줄:
{{전거 통제}}
 
[[분류:공자| ]]
[[분류:기원전 551년 태어남]]
[[분류:기원전 479년 죽음]]
줄 278 ⟶ 279:
[[분류:지폐의 인물]]
[[분류:한국어 전집이 출간된 저자]]
[[분류:산둥 성산둥성 출신]]
[[분류:공자| ]]
[[분류:곡부 공씨]]
[[분류:정치철학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