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516,441
번
편집 요약 없음 |
잔글 (봇: 저장 성 출신을(를) 저장성 출신(으)로 분류 대체함; 예쁘게 바꿈) |
||
==== 아르테미시닌의 구조 ====
[[파일:Artemisinin.jpg|프레임|250 px|아르테미시닌(파란 색으로 표시된 부분은 트리옥세인 구조이고 빨간 색으로 표시된 부분이 엔도페록시드부분이다.)]]
아르테미니신의 구조는 오른쪽 그림과 같으며, [[하이드록시기]]와 같은 [[친수성]] 작용기가 적어 [[에터]]({{lang|en|Ether}}) 등의 유기 용매에 잘 녹아 추출이 가능하다<ref name=
|date=December 2002|pmid=12435450}}</ref>. 아르테미시닌은 그 자체로 독성이 강해 추출할 때에도 약의 작용과 상관없는 산성 부분을 없앤 뒤 추출하며, 이후 다른 여러 가지 형태로 전환해 독성을 줄인다.
또한, 아르테미시닌은 락톤([[:en:Lactone|lactone]]) 구조를 갖고 있어 이 부분으로 인해 아르테미시닌의 안정성과 물에 대한 용해성이 떨어진다. 이외에도 아르테미시닌에는 트리옥세인([[:en:Trioxane|Trioxane]]) 구조가 있고, 그 안에 [[산소]] 원자 두 개가 일렬로 연결되어 있는 구조인 엔도페록시드({{lang|en|Endoperoxide}})가 있다. 이 엔도페록시드 부분이 말라리아 기생충을 없애는 데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 아르테미시닌의 작용 ====
* 아르테미시닌의 활성화({{lang|en|Bioactivation of artemisinin}})
:아르테미시닌은 트리옥세인([[:en:Trioxane|Trioxane]]) 부분의 엔도페록시드({{lang|en|Endoperoxide}})가 분해가 되면서 [[유리기]]([[:en:radical|free radical]])이 생긴다. 이 [[유리기]]가 기생충을 공격해 항말라리아 작용을 하게 된다<ref name=
:# [[헴]]([[:en:Heme|Heme]])에 의한 활성화
:# [[철]]('''Fe''', {{llang|la|ferrum}}, [[:en:Iron|Iron]]) 이온에 의한 활성화
: 말라리아 기생충은 [[적혈구]]([[:en:Red blood cell|Red blood cell]])에 기생하면서, [[적혈구]] 속의 [[헤모글로빈]]([[:en:Hemoglobin|Hemoglobin]])을 분해한다. 기생충은 분해된 [[헤모글로빈]]에서 얻은 [[아미노산]]([[:en:Amino acid|Amino acid]])을 자신의 에너지원으로 사용한다<ref name = "bioactivation"/>. [[헴]]과 [[철]] 이온은 헤모글로빈에 풍부하기 때문에 기생충 몸 속에도 [[헴]] 분자와 [[철]] 이온이 많이 있게 된다. 따라서 두 가설 모두 아르테미시닌이 말라리아 기생충만을 선택적으로 공격할 수 있는 이유에 대한 설명으로 타당하다.
* 아르테미시닌의 공격 대상({{lang|en|target}})
: 아르테미시닌이 말라리아 기생충의 어떤 부분을 공격하는 지에 관한 원리는 아직 밝혀지지 않았으나 유력한 네 가지의 가설이 있다<ref name = "bioactivation"/>.
==== 아르테미시닌을 이용한 약 ====
* 유도체
: 아르테미시닌 자체는 락톤([[:en:Lactone|lactone]]) 구조에 의해 분자의 안정성과 물에 대한 용해도가 낮다. 따라서 기본적인 구조는 모두 아르테미시닌과 동일하면서 락톤 구조만을 변형한 유도체를 약으로 사용한다<ref name=
: [[파일:Artemisinin lactone.jpg|200 px|락톤 부분이 표시된 아르테미시닌]]
::* 락톤 부분이 표시된 아르테미시닌
:[[파일:Dihydroartemisinin.svg|200 px|디하이드로아르테미시닌]]
::* 디하이드로아르테미시닌([[:en:Dihydroartemisinin|Dihydroartemisinin]])
:[[파일:Artemether.svg|200 px|아르테메터]]
::* 아르테메터([[:en:Artemether|Artemether]])
:[[파일:Artemotil.svg|200 px|아르테모틸]]
::* 아르테모틸([[:en:Artemotil|Artemotil]])
:[[파일:Artesunate.svg|200 px|아르테서네이트]]
::* 아르테서네이트([[:en:Artesunate|Artesunate]])
[[분류:베이징 대학 동문]]
[[분류:노벨 생리학·의학상 수상자]]
[[분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