델타 중입자: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잔글 번역:en:Delta_baryon
1번째 줄:
'''델타 중입자'''({{llang|en|Delta baryon}} 또느 '''Δ 중입자''')는 [[위 쿼크]]나 [[아래 쿼크]](u 또는 d 쿼크) 셋으로 이뤄진 [[아원자 입자]] 족이다.
{{입자 정보
| 이름 = 델타 중입자
| 구성 = <math>
\begin{matrix}
\Delta^-&: & ddd\\
\Delta^0&: & udd\\
\Delta^+&: & uud\\
\Delta^{++}&: & uuu
\end{matrix}
</math>
| 가족 = [[페르미온]]| 무리 = [[중입자]]
| 세대 = 1
| 발견 =
| 기호 = Δ⁻, Δ⁰, Δ⁺, Δ⁺⁺
| 질량 =1232(1) MeV/''c''²
| 색전하 = 0
| 전하=Δ⁻:−1, Δ⁰: 0, Δ⁺: +1, Δ⁺⁺: +2
| 스핀 = 1½
}}
 
Δ 중입자와 관련된 것이 넷 있다: {{SubatomicParticle|Delta++}} (쿼크 구성: uuu), {{SubatomicParticle|Delta+}} (uud), {{SubatomicParticle|Delta0}} (udd), 그리고 {{SubatomicParticle|Delta-}} (ddd), 각각 전하가 +2&nbsp;[[기본 전하|''e'']], +1&nbsp;''e'', 0&nbsp;''e'', 그리고 &minus;1&nbsp;''e''이다. Δ 중입자는 질량이 약 {{val|1232|u=MeV/c2}}이고, [[스핀 (물리학)|스핀]]은 {{frac|3|2}}이며, [[아이소스핀]]은 {{frac|3|2}}이다. 반면 일반적인 양성자와 중성자([[핵자]] (기호: N))는 질량이 {{val|939|u=MeV/c2}}이고, [[스핀 (물리학)|스핀]]은 {{frac|1|2}}이며, [[아이소스핀]]은 {{frac|1|2}}이다. {{SubatomicParticle|Delta+}} (uud) 와 {{SubatomicParticle|Delta0}} (udd) 입자는 각각 더 질량이 큰 들뜬 [[양성자]] ({{SubatomicParticle|Nucleon+}}, uud)와 [[중성자]] ({{SubatomicParticle|Nucleon0}}, udd)이다. 하지만 {{SubatomicParticle|Delta++}}와 {{SubatomicParticle|Delta-}}는 유사한 핵자가 없다.
'''델타 중입자'''(Delta baryon)는 [[위 쿼크]]와 [[아래 쿼크]]로 만들어진, [[스핀 (물리학)|스핀]] 1½과 [[아이소스핀]] 1½의 [[중입자]]다. 전하에 따라 전하 −1부터 2까지 총 4종이 있다. [[팔정도 (물리학)|중입자 십중항]]의 일부를 이룬다. 기호는 그리스 대문자 델타(Δ). 4종의 델타 중입자는 전하를 빼고는 질량이나 수명 등 여러 성질이 거의 같다.
 
이 상태는 1950년 중반에 [[시카고 대학교]]의 [[사이클로트론]]<ref> H. L. Anderson, E. Fermi, E. A. Long, and D. E. Nagle, “Total Cross Sections of Positive Pions in Hydrogen.” Phys. Rev., 85, 936 (1952). and ibid. p. 934.</ref>과 [[카네기 멜런 대학교]]의 [[싱크로사이클로트론]]<ref>J. Ashkin et al., “Pion Proton Scattering at 150 and 170 MeV.” Phys. Rev., 101, 1149 (1956).</ref>에서 수소 표적에 가속된 [[파이온]]+를 사용해 실험적으로 발견되었다. 특수하게 +2의 전하를 지니는 {{SubatomicParticle|Delta++}}의 존재는 [[쿼크 모형]]의 발전에 중요한 단서가 되었다.
 
여기서 다뤄진 델타 상태는 양성자와 중성자의 가장 작은 질량을 가진 들뜬 양자이다. 더 큰 질량에서는 다른 델타 상태가 나타나고, 모두 아이소스핀은 {{frac|3|2}} 단위를 가지지만, 스핀 양자수는 {{frac|1|2}}, {{frac|3|2}}, {{frac|5|2}}, ... {{frac|11|2}}를 포함한다. 이 모든 상태들의 전체 속성 목록은 참고 문헌에서 찾을 수 있다.<ref name=PDGDelta></ref>.
 
반대 전하를 가지고 대응하는 반 쿼크로 이루어진 [[반입자|반]] 델타 상태 가 존재한다.
 
==생성과 붕괴==
델타 상태는 [[양성자]]나 [[파이온]]과 같은 에너지가 충분한 입자가 양성자나 중성자에 충돌할 때나 에너지가 충분한 중성자 쌍이 충돌할 때 생성된다.
 
All of the Δ 중입자는 모두 질량이 1232 MeV 정도로 [[강력]]을 통해 [[핵자]]([[양성자]]나 [[중성자]])와 적절한 전하를 가진 [[파이온]]으로 붕괴한다. 가능한 마지막 전하 상태의 상대적인 확률은 그 상대적인 [[클렙슈-고르단 계수|아이소스핀 결합 상수]]에 의해 주어진다. {{SubatomicParticle|Delta+}}는 더 드물고 더 느리게 [[양성자]]와 [[광자]]로 붕괴하고 {{SubatomicParticle|Delta0}}는 [[중성자]]와 [[광자]]로 붕괴한다.
 
== 목록 ==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text-align: center;"
|+델타 중입자
|-
! class=unsortable|입자<br>이름
! 기호
! class=unsortable|쿼크<br>구성
! [[질량]]<br>([[전자볼트|MeV]]/[[광속|c]]<sup>2</sup>)
! [[아이소스핀|''I''<sub>3</sub>]]
! [[총 각운동량 양자수|''J'']]<sup>[[반전성|''P'']]</sup>
! [[전하 (물리학)|''Q'']]([[기본 전하|''e'']])
! [[기묘도|''S'']]
! [[맵시 (양자수)|''C'']]
! [[바닥 (양자수)|''B′'']]
! [[꼭대기 (양자수)|''T'']]
! [[지수적 감쇠#평균 수명|평균 수명]]([[초|s]])
! class=unsortable|일반적인<br>붕괴 입자
|- style="height:40px"
|align="left"| 델타<ref name=PDGDelta>J. Beringer ''et al''. (2013): [http://pdg.lbl.gov/2013/listings/rpp2013-list-Delta-1232.pdf Particle listings – {{SubatomicParticle|Delta}}(1232)]</ref>
| {{SubatomicParticle|Delta++}}(1232)
| {{SubatomicParticle|link=yes|Up quark}}{{SubatomicParticle|link=yes|Up quark}}{{SubatomicParticle|link=yes|Up quark}}
| 1,232&nbsp;±&nbsp;2
| +{{frac|3|2}}
| {{frac|3|2}}<sup>+</sup>
| +2
| 0
| 0
| 0
| 0
| {{val|5.63|0.14|e=-24}}<sup>{{ref|Lifetime|[a]}}</sup>
| align="left" | {{nowrap|{{SubatomicParticle|link=yes|Proton+}} + {{SubatomicParticle|link=yes|Pion+}}}}
|- style="height:40px"
|align="left"| 델타<ref name=PDGDelta/>
| {{SubatomicParticle|Delta+}}(1232)
| {{SubatomicParticle|link=yes|Up quark}}{{SubatomicParticle|link=yes|Up quark}}{{SubatomicParticle|link=yes|Down quark}}
| 1,232&nbsp;±&nbsp;2
| +{{frac|1|2}}
| {{frac|3|2}}<sup>+</sup>
| +1
| 0
| 0
| 0
| 0
| {{val|5.63|0.14|e=-24}}<sup>{{ref|Lifetime|[a]}}</sup>
| align="left" | {{nowrap|{{SubatomicParticle|link=yes|Pion+}} + {{SubatomicParticle|link=yes|Neutron0}}, ''or''}} <br/>
{{nowrap|{{SubatomicParticle|link=yes|Pion0}} + {{SubatomicParticle|link=yes|Proton+}}}}
|- style="height:40px"
|align="left"| 델타<ref name=PDGDelta/>
| {{SubatomicParticle|Delta0}}(1232)
| {{SubatomicParticle|link=yes|Up quark}}{{SubatomicParticle|link=yes|Down quark}}{{SubatomicParticle|link=yes|Down quark}}
| 1,232&nbsp;±&nbsp;2
| −{{frac|1|2}}
| {{frac|3|2}}<sup>+</sup>
| 0
| 0
| 0
| 0
| 0
| {{val|5.63|0.14|e=-24}}<sup>{{ref|Lifetime|[a]}}</sup>
| align="left" | {{nowrap|{{SubatomicParticle|link=yes|Pion0}} + {{SubatomicParticle|link=yes|Neutron0}}, ''or''}} <br/>
{{nowrap|{{SubatomicParticle|link=yes|Pion-}} + {{SubatomicParticle|link=yes|Proton+}}}}
|- style="height:40px"
|align="left"| 델타<ref name=PDGDelta/>
| {{SubatomicParticle|Delta-}}(1232)
| {{SubatomicParticle|link=yes|Down quark}}{{SubatomicParticle|link=yes|Down quark}}{{SubatomicParticle|link=yes|Down quark}}
| 1,232&nbsp;±&nbsp;2
| −{{frac|3|2}}
| {{frac|3|2}}<sup>+</sup>
| −1
| 0
| 0
| 0
| 0
| {{val|5.63|0.14|e=-24}}<sup>{{ref|Lifetime|[a]}}</sup>
| align="left" | {{nowrap|{{SubatomicParticle|link=yes|Pion-}} + {{SubatomicParticle|link=yes|Neutron0}}}}
|-
|}
<sup>[a]</sup> {{note|Lifetime2}} PDG는 [[공명폭]] (Γ)을 발표했다. 여기에서는 그 대신 변환값 <math display="inline">\tau = \frac{\hbar}{\Gamma}</math>을 기술했다.
 
<!--[[팔정도 (물리학)|중입자 십중항]]의 일부를 이룬다.-->
 
== 참고 문헌 ==
{{각주}}
 
=== 서지학 ===
 
* {{저널 인용|author=C. Amsler et al. ([[Particle Data Group]]) |title=Review of Particle Physics |journal=[[Physics Letters B]] |volume=667 |issue=1 |pages=1 |year=2008 | doi=10.1016/j.physletb.2008.07.018|bibcode = 2008PhLB..667....1A }}
 
{{기본입자}}
{{토막글|물리학}}·
 
[[분류:중입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