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문세족: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Ricador1 (토론 | 기여)
편집 요약 없음
Ricador1 (토론 | 기여)
편집 요약 없음
5번째 줄:
대부분이 고려 전기부터 있던 문벌귀족 일부와 고려 무인 정권때 성장한 고려인 무인 가문들 그리고 고려왕의 측근들의 세력을 일컫는다
 
고려 후기의 지배세력으로서 권문세족의 성립 시기는 원나라와 30년간의 전쟁을 끝내고 대원(對元) 관계가 안정되는 충렬왕대(재위 1274~1308)로 보는 것이 일반적이며, 구체적으로는 1308년에 충선왕이 복위하여 발표한 교서에서 ‘재상지종(宰相之宗)’이라 하여 왕실과 혼인할 수 있는 가문을 나열한 데서 그 존재가 확인된다. 왕실과 혼인할 수 있는 가문이란 당시 고려의 최고 가문을 뜻하므로 그것은 곧 당시 지배세력의 구성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재상지종’으로 언급된 가문은 경주 김씨(慶州金氏), 언양 김씨(彦陽金氏), 정안 임씨(定安任氏)[<nowiki/>[[장흥 임씨|장흥 임씨(長興任氏)]]], 경원 이씨(慶源李氏), 안산 김씨(安山金氏), 철원 최씨(鐵原崔氏), 해주 최씨(海州崔氏), 공암 허씨(孔巖許氏), 평강 채씨(平康蔡氏), 청주 이씨(淸州李氏), 당성 홍씨(唐城洪氏), 황려 민씨(黃驪閔氏), 횡천 조씨(橫川趙氏), 파평 윤씨(坡平尹氏), 평양 조씨(平壤趙氏) 등 고려인 가문 15개이다.
 
 
 
또한 권문세족의 하위층에는 고려인 환관들도 있는데 원나라에 파견된 고려인 환관이 원나라의 신뢰를 받고 다시 고려로 파견되어 고려왕실의 세력에 간섭하며 나라를 어지럽히기도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