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광 (경시):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잔글편집 요약 없음
잔글편집 요약 없음
8번째 줄:
용릉에서 전한의 종실 [[유인 (제무왕)|유인]]이 용릉병을 일으키고 녹림군과 연합하려 하자, 평림병의 지도자 진목(陳牧) 등과 함께 호응해 함께 신나라와 싸웠다. 그러나 소장안취에서 신나라의 전수대부 진부와 전수속정 양구사에게 참패하자 신시병과 평림병은 회군하려 했다. 유인은 녹림군의 다른 일파인 하강병을 끌어들였고, 결국 지황 4년(23년) 정월에 녹림 연합군은 함께 신나라 군을 무찌르고 진부와 양구사를 모두 베었다. 이후 녹림군에서 황제를 추대할 때 신시병과 평림병의 장군들은 유인의 위명을 꺼려서 유약한 평림병 소속 경시장군 유현을 지지했고, 결국 유현이 황제가 됐다.<ref>범엽: 《후한서》 권14 종실삼왕사후열전 중 제무왕</ref> 왕광은 정국상공(定國上公)에 봉해졌다.
 
경시 원년(23년) 8월, 신나라에서 태사 [[왕광 (王匡태사)|왕광]]과 국장 애장(哀章)으로 낙양을 지키게 하자, 경시제의 명령으로 낙양을 공격했다. 신나라 황제 왕망이 살해된 9월, 낙양을 함락해 신나라의 왕광과 애장을 생포해 서울 완으로 보내니, 완에서는 이들을 모두 베었다.
 
경시 2년(24년) 2월, 경시제가 장안으로 천도하고 이성제후왕을 봉하면서 비양왕(比陽王)에 봉해졌다. 이후에는 장앙과 함께 삼보에서 횡포를 부렸다. 12월, 적미가 입관했다. 이 무렵 양읍왕(襄邑王) 성단(成丹)과 항위장군 유균(劉均) 등과 함께 [[하동군 (중국)|하동군]]과 [[홍농군]]에 나눠 주둔하면서 적미를 막았으나, 적미의 무리가 너무 많아서 당해낼 수 없었다. 후한 광무제는 경시제 정권이 적미군을 못 당해낼 것이라고 보고 [[등우]]를 보냈고, 등우는 건무 원년(25년) 정월 하동군에 진입해 하동도위와 경시제의 대장군 번참(樊參)을 연이어 무찔렀다. 왕광은 성단과 유균 등과 군사를 합쳐 10여 만을 거느리고 등우와 싸워 이겼다. 등우 군에서는 퇴각을 권했으나 등우는 듣지 않았다. 다음날 기해일, 육갑에 따르면 궁일(窮日)이라 출진하지 않았고, 그 사이 등우군은 재정비를 했다. 그 다음날, 전군을 거느리고 등우를 쳤는데, 등우는 군대가 경거망동하지 못하게 하다가 왕광 등의 군대가 영채 아래에 이르렀을 때에 일제히 북을 치고 공격하니 왕광 등이 대패해 군을 버리고 장안으로 달아났다. 유균과 하동태수 양보, 지절중랑장 미강 등이 사로잡혀 참수됐고, 하동군은 광무제에게 평정되었다.<ref name=":0">범엽: 《후한서》 권16 등구열전제6 중 등우</ref> 6월 갑자일, 안읍에서 등우에게 대패했다.<ref>범엽: 《후한서》 권1 상 광무제기제1 상</re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