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기획재정부: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내용을 "1948년 정부 수립과 함께 재무부가 발족함으로써 시작됐다.1994년 재정 경제원으로 개편됬다.1998년 2월쯤 정부조직법으로 인해..."(으)로 바꿈
태그: 대체됨
1번째 줄:
1948년 정부 수립과 함께 재무부가 발족함으로써 시작됐다.1994년 재정 경제원으로 개편됬다.1998년 2월쯤 정부조직법으로 인해 재정경제부로 명칭이 됐다.1999년 2월에 [[경제정책조정기능]]을 강화 시켰다.장관·차관·차관보는 1명씩 있다.주소는 경기도 과천시 관문로 88번지 정부과천청사에 있다.
{{좌표|36.505963|N|127.266558|E|display=title|format=dms}}
{{정부 기관 정보
|이름 = [[파일:Emblem of the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svg|23px]] 기획재정부
|현지어 이름 =
|그림 = Emblem of the Ministry of Strategy and Finance (Korean).svg
|그림크기 = 100
|그림설명 = 기획재정부 상징
|그림2 = Ministry of Strategy and Finance(South Korea).JPG
|그림크기2 =
|그림설명2 = 기획재정부 청사
|설립일 = [[2008년]] [[2월 29일]]
|전신 = [[대한민국 재정경제부|재정경제부]], [[대한민국 기획예산처|기획예산처]]
|해산일 =
|모토 = 경제부흥으로 열어가는 희망의 새시대
|후신 =
|소재지 = [[세종특별자치시]] 갈매로 477 정부세종청사
|직원 = 1,026명<ref name="정원">기획재정부와 그 소속기관 직제 별표1 및 별표4</ref>
|예산 = 세입: 273조 6380억 2089만 6000원<ref>2018년 총수입 기준</ref><ref name="세입">[http://www.openfiscaldata.go.kr/fdata/0XY022UGD797MPMB69615538266 기획재정부 열린재정 > 세입/수입 예산편성현황(총수입, 순계)]</ref> <br/> 세출: 20조 8026억 2291만 2000원<ref>2018년 총지출 기준</ref><ref name="세출">[http://www.openfiscaldata.go.kr/fdata/0XY022UGD797MPMB69615528266 기획재정부 열린재정 > 세출/수출 예산편성현황(총지출, 순계)]</ref>
|기관장 = [[홍남기]]
|기관장 이름 = [[대한민국의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장관]]
|기관장2 = [[고형권]]<small>(제1차관)</small>, [[김용진 (공무원)|김용진]]<small>(제2차관)</small>
|기관장2 이름 = [[대한민국의 기획재정부 차관|차관]]
|상급기관 =
|산하기관 = 외청 4, 소속기관 1
|웹사이트 = http://www.moef.go.kr/
|각주 =
}}
'''기획재정부'''(企劃財政部, {{lang|en|Ministry of Economy and Finance}}, 약칭: 기재부, MOEF<ref>{{웹 인용|저자=대한민국 행정자치부|제목=정부조직 영어명칭에 관한 규칙 - 중앙행정기관의 약칭과 영어명칭|url=http://www.law.go.kr/admRulBylInfoR.do?bylSeq=1769863&admRulSeq=2100000028121&admFlag=1|웹사이트=국가법령정보센터|출판사=대한민국 법제처|날짜=2015년 9월 15일|확인날짜=2017년 2월 5일}}</ref>)는 중장기 국가발전전략수립, 경제·재정정책의 수립·총괄·조정, 예산·기금의 편성·집행·성과관리, 화폐·외환·국고·정부회계·내국세제·관세·국제금융, 공공기관 관리, 경제협력·국유재산·민간투자 및 국가채무에 관한 사무를 관장하는 [[대한민국의 중앙행정기관]]이다. 2008년 2월 29일 [[대한민국 재정경제부|재정경제부]]와 [[대한민국 기획예산처|기획예산처]]를 통합하여 발족하였으며, [[세종특별자치시]] 갈매로 477 [[정부세종청사]] 4동에 위치하고 있다. 장관은 [[국무위원]]으로, 차관은 정무직공무원으로 보한다.<ref>정부조직법 제26조제2항</ref>
 
== 설치 근거 및 소관 사무 ==
=== 설치 근거 ===
* 「[[:s:정부조직법|정부조직법]]」 제26조제1항제1호
 
=== 소관 사무 ===
* 중장기 국가발전전략수립
* 경제·재정정책의 수립·총괄·조정
* 예산·기금의 편성·집행·성과관리
* 화폐·외환·국고·정부회계·내국세제·관세·국제금융에 관한 사무
* 공공기관 관리
* 경제협력·국유재산·민간투자 및 국가채무에 관한 사무
 
== 연혁 ==
* 1948년 07월 17일: [[대한민국 재무부|재무부]]를 설치.<ref>법률 제1호</ref>
* 1961년 07월 22일: [[대한민국 경제기획원|경제기획원]]을 설치. 재무부 예산국과 내무부 통계국을 경제기획원으로 이관.<ref>법률 제660호</ref>
* 1961년 09월 04일: 내각기획통제관실 설치.<ref>각령 제123호</ref>
* 1963년 12월 17일: 경제기획원 조사통계국을 외국으로 분리. 내각기획통제관실을 [[대한민국 기획조정실|기획조정실]]로 개편.<ref>법률 제1506호</ref>
* 1966년 02월 28일: 내국세의 부과·감면 및 징수에 관한 사무와 국유재산 및 귀속재산의 관리에 관한 사무를 [[대한민국 국세청|국세청]]에 이관하여 분리.<ref>법률 제1750호</ref>
* 1967년 03월 30일: 경제기획원 기술관리국을 [[대한민국 과학기술처|과학기술처]]로 분리.<ref>법률 제1947호</ref>
* 1970년 08월 03일: 관세의 부과·감면·징수와 수출입물품의 통관 및 밀수단속에 관한 사무를 [[대한민국 관세청|관세청]]에 이관하여 분리.
* 1981년 12월 31일: 경제기획원의 대외경제협력에 관한 사무를 재무부로 이관. 기획조정실을 폐지하고 소관 사무를 경제기획원에 이관.<ref>법률 제3518호</ref>
* 1987년 04월 01일: [[대한민국 전매청|전매청]]을 폐지하고 소관사무를 이관받음.<ref>법률 제3854호</ref>
* 1990년 04월 01일: 독점규제 및 공정거래에 관한 사무를 [[대한민국 공정거래위원회|공정거래위원회]]에 이관.<ref>법률 제4198호</ref>
* 1990년 12월 27일: 경제기획원 조사통계국을 [[대한민국 통계청|통계청]]으로 이관하여 분리.<ref>법률 제4268호</ref>
* 1994년 12월 23일: 경제기획원과 재무부를 통합하여 [[대한민국 재정경제원|재정경제원]]을 설치.<ref>법률 제4831호</ref>
* 1998년 02월 28일: [[대한민국 재정경제부|재정경제부]], [[대한민국 기획예산위원회|기획예산위원회]]와 재정경제부의 외청인 [[대한민국 예산청|예산청]]으로 분리.<ref>법률 제5529호</ref>
* 1999년 05월 24일: 기획예산위원회와 예산청을 통합하여 [[대한민국 기획예산처|기획예산처]]를 설치.<ref>법률 제5982호</ref>
* 2008년 02월 29일: 재정경제부와 기획예산처를 통합하여 기획재정부를 설치. 재정경제부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사무는 [[대한민국 공정거래위원회|공정거래위원회]]로, 기획예산처의 양극화민생대책에 관한 사무는 [[대한민국 보건복지가족부|보건복지가족부]]로 이관.<ref>법률 제8852호</ref>
* 2013년 03월 23일: 무역협정 국내대책에 관한 사무를 [[대한민국 산업통상자원부|산업통상자원부]]로 이관.<ref>법률 제11690호</ref>
 
== 조직 ==
* 2실
=== 장관 ===
** 기획관리실
; 대변인실<ref name="나등급">고위공무원단 나등급에 속하는 일반직공무원으로 보한다.</ref>
** 세제실
* 홍보담당관실<ref name="부서기"/><ref name="임기제">임기제공무원으로 보할 수 있다.</ref>
* 6국
 
** 경제정책국
; 감사관실<ref name="나등급"/><ref name="임기제"/>
** 금융정책국
* 감사담당관실<ref name="부서기">부이사관·서기관 또는 기술서기관으로 보한다.</ref><ref name="임기제"/>
** 국고국
 
**국제금용국
; 장관비서관실<ref name="나등급"/>
**경제협력국
 
**국민국
; 장관정책보좌관실<ref>장관정책보좌관은 3명을 두며, 1명은 고위공무원단에 속하는 별정직공무원으로, 2명은 3급 상당 또는 4급 상당 별정직공무원으로 보한다. 다만, 특별한 사유가 있는 경우에는 고위공무원단 나등급에 속하는 일반직공무원 또는 4급 이상 일반직공무원으로 대체할 수 있다.</ref>
*3관
 
**공보관
{{col-begin}}
{{col-3}}
=== 제1차관 ===
* 인사과<ref name="부서기"/>
* 운영지원과<ref name="부서기"/>
 
; 차관보<ref name="가등급">고위공무원단 가등급에 속하는 일반직공무원으로 보한다.</ref>
 
; 국제경제관리관실<ref name="가등급"/>
 
; 세제실<ref name="가등급"/>
* 조세총괄정책관실<ref name="나등급"/>
** 조세정책과<ref name="부서">부이사관 또는 서기관으로 보한다.</ref>
** 조세분석과<ref name="부서"/>
** 조세특례제도과<ref name="부서"/>
** 조세법령운용과<ref name="부서"/>
* 소득법인세정책관실<ref name="나등급"/>
** 소득세제과<ref name="부서"/>
** 법인세제과<ref name="부서"/>
** 금융세제과<ref name="부서"/>
* 재산소비세정책관실<ref name="나등급"/>
** 국제조세제도과<ref name="부서"/><ref name="임기제"/>
** 재산세제과<ref name="부서"/>
** 부가가치세제과<ref name="부서"/>
** 환경에너지세제과<ref name="부서"/>
* 관세정책관실<ref name="나등급"/>
** 관세제도과<ref name="부서"/>
** 산업관세과<ref name="부서"/>
** 관세협력과<ref name="부서"/>
** 자유무역협정관세이행과<ref name="부서"/>
 
; 경제정책국<ref name="나등급"/>
* 민생경제정책관실<ref name="나등급"/><ref name="임기제"/>
** 종합정책과<ref name="부서"/>
** 경제분석과<ref name="부서"/>
** 자금시장과<ref name="부서"/>
** 물가정책과<ref name="부서"/>
** 정책기획과<ref name="부서"/>
** 거시정책과<ref name="부서"/>
 
; 정책조정국<ref name="나등급"/>
* 혁신성장정책관실<ref name="나등급"/>
** 정책조정총괄과<ref name="부서기"/>
** 산업경제과<ref name="부서기"/>
** 신성장정책과<ref name="부서기"/>
** 서비스경제과<ref name="부서기"/>
** 지역경제정책과<ref name="부서기"/>
** 기업환경과<ref name="부서기"/><ref name="임기제"/>
 
; 경제구조개혁국<ref name="나등급"/>
* 경제구조개혁총괄과<ref name="부서"/>
* 일자리경제정책과<ref name="부서"/>
* 일자리경제지원과<ref name="부서"/><ref name="평가조직1">「행정기관의 조직과 정원에 관한 통칙」 제31조제1항에 따른 평가대상 조직으로 평가기간은 2020년 9월 30일까지다.</ref>
* 인구경제과<ref name="부서"/>
* 복지경제과<ref name="부서"/>
 
; 장기전략국<ref name="나등급"/>
* 미래전략과<ref name="부서기"/>
* 사회적경제과<ref name="부서기"/>
* 협동조합과<ref name="부서기"/>
 
; 국제금융국<ref name="나등급"/>
* 국제금융심의관실<ref name="나등급"/><ref name="임기제"/>
** 국제금융과<ref name="부서"/>
** 외화자금과<ref name="부서"/>
** 외환제도과<ref name="부서"/><ref name="임기제"/>
** 국제통화과<ref name="부서"/><ref name="임기제"/>
** 다자금융과<ref name="부서"/>
 
; 대외경제국<ref name="나등급"/>
* 대외경제총괄과<ref name="부서"/>
* 국제경제과<ref name="부서"/>
* 통상정책과<ref name="부서"/>
* 통상조정과<ref name="부서"/>
* 경제협력기획과<ref name="부서"/><ref name="평가조직2">「행정기관의 조직과 정원에 관한 통칙」 제31조제1항에 따른 평가대상 조직으로 평가기간은 2019년 2월 28일까지다.</ref>
* 남북경제과<ref name="부서"/>
 
; 개발금융국<ref name="나등급"/>
* 개발금융총괄과<ref name="부서"/>
* 국제기구과<ref name="부서"/>
* 개발협력과<ref name="부서"/>
* 녹색기후기획과<ref name="부서"/>
 
{{col-3}}
=== 제2차관 ===
; 재정관리관실<ref name="가등급"/><ref name="임기제"/>
 
; 기획조정실<ref name="가등급"/>
* 정책기획관실<ref name="나등급"/>
** 기획재정담당관실<ref name="부서기"/>
** 혁신정책담당관실<ref name="부서기"/>
** 규제개혁법무담당관실<ref name="부서기"/>
** 정보화담당관실<ref name="부서기"/><ref name="임기제"/>
* 비상안전기획관실<ref>고위공무원단 나등급에 속하는 임기제공무원으로 보한다.</ref>
 
; 예산실<ref name="가등급"/>
* 예산총괄심의관실<ref name="나등급"/>
** 예산총괄과<ref name="부서기"/>
** 예산정책과<ref name="부서기"/>
** 예산기준과<ref name="부서기"/>
** 기금운용계획과<ref name="부서기"/>
** 예산관리과<ref name="부서기"/>
* 사회예산심의관실<ref name="나등급"/>
** 고용환경예산과<ref name="부서기"/>
** 교육예산과<ref name="부서기"/>
** 문화예산과<ref name="부서기"/>
** 총사업비관리과<ref name="부서기"/>
* 경제예산심의관실<ref name="나등급"/
** 국토교통예산과<ref name="부서기"/>
** 산업정보예산과<ref name="부서기"/>
** 농림해양예산과<ref name="부서기"/>
** 연구개발예산과<ref name="부서기"/>
* 복지예산심의관실<ref name="나등급"/>
** 복지예산과<ref name="부서기"/>
** 연금보건예산과<ref name="부서기"/>
** 지역예산과<ref name="부서기"/>
* 행정안전예산심의관실<ref name="나등급"/>
** 행정예산과<ref name="부서기"/>
** 안전예산과<ref name="부서기"/>
** 국방예산과<ref name="부서기"/>
** 방위사업예산과<ref name="부서기"/><ref>「행정기관의 조직과 정원에 관한 통칙」 제31조제1항에 따른 평가대상 조직으로 평가기간은 2020년 3월 31일까지다.</ref>
** 법사예산과<ref name="부서기"/>
 
; 국고국<ref name="나등급"/>
* 국유재산심의관실<ref name="나등급"/>
** 국고과<ref name="부서"/>
** 국채과<ref name="부서"/>
** 국유재산정책과<ref name="부서"/>
** 국유재산조정과<ref name="부서"/><ref name="임기제"/>
** 출자관리과<ref name="부서"/>
** 계약제도과<ref name="부서"/>
 
; 재정혁신국<ref name="나등급"/>
* 재정기획심의관실<ref name="나등급"/><ref name="임기제"/>
** 재정전략과<ref name="부서"/>
** 지출혁신과<ref name="부서"/>
** 재정제도과<ref name="부서"/>
** 재정건전성과<ref name="부서"/>
** 재정정보과<ref name="부서"/><ref name="임기제"/>
** 참여예산과<ref name="부서"/><ref name="임기제"/>
 
; 재정관리국<ref name="나등급"/>
* 재정성과심의관실<ref name="나등급"/><ref name="임기제"/>
** 재정관리총괄과<ref name="부서기"/>
** 재정성과평가과<ref name="부서기"/>
** 타당성심사과<ref name="부서기"/>
** 민간투자정책과<ref name="부서기"/>
** 회계결산과<ref name="부서기"/>
** 재정집행관리과<ref name="부서기"/><ref name="평가조직2"/>
 
; 공공정책국<ref name="나등급"/>
* 공공혁신심의관실<ref name="나등급"/><ref name="평가조직1"/>
** 정책총괄과<ref name="부서기"/>
** 제도기획과<ref name="부서기"/>
** 재무경영과<ref name="부서기"/>
** 평가분석과<ref name="부서기"/>
** 인사운영과<ref name="부서기"/>
** 윤리경영과<ref name="부서기"/><ref name="평가조직1"/>
** 공공혁신과<ref name="부서기"/><ref name="평가조직1"/>
** 경영정보과<ref name="부서기"/><ref name="평가조직2"/>
 
{{col-3}}
=== 소속기관 ===
* [[복권위원회|복권위원회 사무처]]
 
=== 소속 위원회 ===
{{참고|대한민국의 기획재정부 소속 위원회 목록}}
 
=== 외청 ===
* [[대한민국 국세청|국세청]]
* [[대한민국 관세청|관세청]]
* [[대한민국 조달청|조달청]]
* [[대한민국 통계청|통계청]]
{{col-end}}
 
== 정원 ==
기획재정부에 두는 공무원의 정원은 다음과 같으며, 이 중 정원에서 1명(5급 1명)은 행정안전부, 1명(5급 1명)은 농림축산식품부, 1명(5급 1명)은 산업통상자원부 소속 공무원으로 각각 충원하여야 한다.<ref name="정원"/>
 
{| class="wikitable"
|-
! colspan=2 | 총계 !! 1,026명
|-
| colspan=2 style="border-bottom:none" align="center" | 정무직 계
| 3명
|-
| style="border-top:hidden" |
| 장관 || 1명
|-
| style="border-top:hidden" |
| 차관 || 2명
|-
| colspan=3 |
|-
| colspan=2 style="border-bottom:none" align="center" | 별정직 계
| 7명
|-
| style="border-top:hidden" |
| 고위공무원단 || 1명
|-
| style="border-top:hidden" |
| 3급 상당 이하 5급 상당 이상 || 2명
|-
| style="border-top:hidden" |
| 6급 상당 이하 || 4명
|-
| colspan=3 |
|-
| colspan=2 style="border-bottom:none" align="center" | 일반직 계
| 1,016명
|-
| style="border-top:hidden" |
| 고위공무원단 || 38명
|-
| style="border-top:hidden" |
| 3급 이하 5급 이상 || 643명<ref>한시정원 3명 포함.</ref>
|-
| style="border-top:hidden" |
| 6급 이하 || 332명<ref>시간선택제채용공무원 7.0명 포함.</ref>
|-
| style="border-top:hidden" |
| 전문경력관 || 3명
|}
 
== 재정 ==
총수입·총지출 기준 2018년 재정 규모는 다음과 같다.<ref name="세입"/><ref name="세출"/>
 
{{col-begin}}
{{col-2}}
{| class="wikitable"
|-
! 구분 !! 2018년 예산 !! 작년 대비 증감
|-
| 일반회계 || 263조 9764억 6089만 6000원 || +10.8%
|-
| 지역발전특별회계 || 3조 4941억 원 || +0.5%
|-
| 공공자금관리기금 || 5865억 1600만 원 || -27.6%
|-
| 국유재산관리기금 || 9333억 2500만 원 || -12.1%
|-
| 대외경제협력기금 || 1678억 100만 원 || +20.1%
|-
| 복권기금 || 4조 4798억 1800만 원 || +10.7%
|-
| colspan=3 |
|-
| 합계 || 273조 6380억 2089만 6000원 || +10.5%
|}
 
{{col-2}}
{| class="wikitable"
|-
! colspan=3 | 구분 !! 2018년 예산 !! 작년 대비 증감
|-
| colspan=3 style="border-bottom:none" | 일반회계 || 3조 4401억 4791만 2000원 || +0.1%
|-
| style="border-top:hidden;width:2em" |
| colspan=2 | 재정·금융 || 4221억 4791만 2000원 || +0.6%
|-
| style="border-top:hidden" |
| colspan=2 | 물류등기타 || 180억 원 || +0.0%
|-
| style="border-top:hidden;width:2em" |
| colspan=2 | 예비비 || 3조 원 || +0.0%
|-
| colspan=3 style="border-bottom:none" | 공공자금관리기금 || 12조 1227억 7900만 원 || +1.2%
|-
| style="border-top:hidden;width:2em" |
| colspan=2 | 지방행정·재정지원 || 1000억 원 || -16.7%
|-
| style="border-top:hidden;width:2em" |
| colspan=2 | 재정·금융 || 12조 126억 5000만 원 || +1.4%
|-
| style="border-top:hidden;width:2em" |
| colspan=2 | 취약계층지원 || 65억 1800만 원 || -21.1%
|-
| style="border-top:hidden;width:2em" |
| colspan=2 | 보육·가족및여성 || 36억 1100만 원 || -39.4%
|-
| colspan=2 | 에너지및자원사업특별회계 || 재정·금융 || 9억 4100만 원 || -4.9%
|-
| colspan=3 style="border-bottom:none" | 국유재산관리기금 || 9474억 1700만 원 || -6.1%
|-
| style="border-top:hidden;width:2em" |
| colspan=2 | 입법및선거관리 || 359억 9400만 원 || +19.8%
|-
| style="border-top:hidden;width:2em" |
| colspan=2 | 재정·금융 || 1356억 4000만 원 || -26.7%
|-
| style="border-top:hidden;width:2em" |
| colspan=2 | 일반행정 || 431억 3800만 원 || +31.4%
|-
| style="border-top:hidden;width:2em" |
| colspan=2 | 법원및헌재 || 910억 4000만 원 || -25.6%
|-
| style="border-top:hidden;width:2em" |
| colspan=2 | 법무및검찰 || 1343억 7700만 원 || +10.0%
|-
| style="border-top:hidden;width:2em" |
| colspan=2 | 경찰 || 2876억 3500만 원 || -14.9%
|-
| style="border-top:hidden;width:2em" |
| colspan=2 | 해경 || 217억 7100만 원 || -13.6%
|-
| style="border-top:hidden;width:2em" |
| colspan=2 | 재난관리 || 877억 9600만 원 || +53.6%
|-
| style="border-top:hidden;width:2em" |
| colspan=2 | 통일 || 58억 8900만 원 || +734.1%
|-
| style="border-top:hidden;width:2em" |
| colspan=2 | 외교·통상 || 505억 8000만 원 || +33.8%
|-
| style="border-top:hidden;width:2em" |
| colspan=2 | 병무행정 || 10억 원 || +184.9%
|-
| style="border-top:hidden;width:2em" |
| colspan=2 | 노동 || 71억 7700만 원 || +83.3%
|-
| style="border-top:hidden;width:2em" |
| colspan=2 | 보훈 || 4100만 원 || +98.4%
|-
| style="border-top:hidden;width:2em" |
| colspan=2 | 보건의료 || 47억 5500만 원 || -8.1%
|-
| style="border-top:hidden;width:2em" |
| colspan=2 | 농업·농촌 || 337억 9100만 원 || +17.0%
|-
| style="border-top:hidden;width:2em" |
| colspan=2 | 임업·산촌 || 23억 5800만 원 || -52.4%
|-
| style="border-top:hidden;width:2em" |
| colspan=2 | 산업·중소기업일반 || - || -100.0%
|-
| style="border-top:hidden;width:2em" |
| colspan=2 | 물류등기타 || 15억 3700만 원 || -51.5%
|-
| style="border-top:hidden;width:2em" |
| colspan=2 | 과학기술일반 || 28억 9800만 원 || -66.2%
|-
| colspan=2 | 대외경제협력기금 || 외교·통상 || 1조 897억 9400만 원 || +10.4%
|-
| colspan=3 style="border-bottom:none" | 복권기금 || 3조 2015억 4400만 원 || +10.6%
|-
| style="border-top:hidden;width:2em" |
| colspan=2 | 지방행정·재정지원 || 2040억 4800만 원 || +13.2%
|-
| style="border-top:hidden;width:2em" |
| colspan=2 | 재정·금융 || 2조 6101억 5800만 원 || +10.9%
|-
| style="border-top:hidden;width:2em" |
| colspan=2 | 취약계층지원 || 2728억 7800만 원 || +6.5%
|-
| style="border-top:hidden;width:2em" |
| colspan=2 | 보훈 || 392억 6700만 원 || -3.7%
|-
| style="border-top:hidden;width:2em" |
| colspan=2 | 사회복지일반 || 289억 원 || +1.9%
|-
| style="border-top:hidden;width:2em" |
| colspan=2 | 임업·산촌 || 462억 9300만 원 || +36.7%
|-
| colspan=5 |
|-
| colspan=3 | 합계 || 20조 8026억 2291만 2000원 || +2.4%
|}
{{col-end}}
 
== 같이 보기 ==
* [[대한민국의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 [[대한민국의 기획재정부 차관|기획재정부 차관]]
* [[대한민국의 기획재정부 차관보|기획재정부 차관보]]
* [[대한민국 미래창조과학부|미래창조과학부]]
* [[대한민국 산업통상자원부|산업통상자원부]]
* [[대한민국 금융위원회|금융위원회]]
* [[대한민국 금융감독원|금융감독원]]
* [[한국은행]]
* [[모피아]]
 
== 각주 ==
{{각주|2}}
 
== 외부 링크 ==
* {{공식 웹사이트|http://www.moef.go.kr/}}
* {{공식 블로그|http://www.mosfnet.blog.me/}}
* {{페이스북|https://www.facebook.com/moefkorea?ref=hl}}
 
{{둘러보기 상자 묶음
|상태 = collapsed
|제목 = {{BASEPAGENAME}} 관련 항목
|내용1=
{{대한민국 기획재정부}}
{{대한민국 행정부}}
}}
{{전거 통제}}
 
[[분류:대한민국 기획재정부| ]]
[[분류:2008년 설립|기획재정부]]
[[분류:세종특별자치시 소재의 관공서|기획재정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