엠마 골드만: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Choboty (토론 | 기여)
잔글 영어판 분류 정보를 이용.+분류:미국의 자서전 작가
46번째 줄:
골드만은 국가를 본질적이고 필연적인 지배와 통제의 도구로 보았다. 이런 입장에 근거하여 골드만은 투표란 기껏해야 무의미한 행위이며 최악의 경우엔 위험할 수도 있다고 생각했다. 그녀는 투표가 진정한 지배구조를 은폐하면서 무언가에 참여하고 있다는 환상을 심어주고 있다고 주장했다. 대신에 골드만은 파업이나 시위 형태의 구체적 저항을 옹호했고 “우리의 도덕률에 대한 침략적이고 간섭적인 권위에 대한 직접행동”이 필요하다고 했다.<ref name="WexInt91">Wexler, ''Intimate'', p. 91.</ref> 1930년대 많은 스페인 아나코 생디칼리스트들이 자유지상주의적 가능주의(Libertarian possibilism)라는 입장에 따라 자유주의 공화국의 형성에 찬성표를 던졌을때 조차 그녀는 투표에 반대하는 입장을 고수했다. 골드만은 아나키스트 세력의 힘이 투표권을 행사하는 것이 아니라 전국에 걸쳐 파업을 일으키는 힘으로써 사용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ref>Wexler, ''Exile'', p. 167.</ref> 그녀는 여성 서프러제트 운동 같은 여성 투표권 요구 운동에 동의하지 않았다. 그녀의 에세이 "Woman Suffrage"에서 여성의 참여가 국가를 좀더 정당한 방향으로 이끌것이라는 생각을 조롱한다. “여성이라면 투표권을 팔지 않을 것이라는 말인가, 여성 정치인들은 매수되지 않을 것이라는 말인가!”<ref>Goldman, ''Anarchism'', p. 205.</ref> 그녀는 서프러제트 운동가들의 남성과 여성은 평등하다는 주장에는 동의했지만, 단지 그것이 국가를 좀더 정의로운 것으로 만드는 것은 아니라고 여겼다. “어떤 것으로도 정화되지 않았던 것을, 그저 여성이라서 정화해낼 수 있다고 가정하는 것은, 여성을 초자연적 존재로서 숭배하는것에 불과하다”<ref>Goldman, ''Anarchism'', p. 198.</ref>
 
골드만은 또한 재소자의 열악한 처우와 범죄가 발생하는 사회적 원인을 비판하면서 [[감옥 폐지 운동|감옥제도를 맹렬히 비판했다비판]]했다. 골드만은 범죄를 경제 시스템의 불의에서 발생하는 자연적인 파생물로 간주했으며, 그녀의 에세이 “Prisons: A Social Crime and Failure”에서 19세기 작가인 [[도스토옙스키]]와 [[오스카 와일드]]의 감옥에 대한 시각을 인용하며 글을 써내려간다.
 
<blockquo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