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 국가: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7번째 줄:
그러나 근대와는 달리 현대에는 [[국민]]들의 [[민족]] 구성이 갈수록 다양해지고 있다. 그에 따라 [[일본]] 등 학계 일부에서는 국민국가를 민족국가와 조금 다른, 민족을 배제한 개념으로 쓰고 있다. 이 경우 국민 정체성은 혈통이 아니라 공통의 문화를 근간으로 한 넓은 의미로 해석되며, 국민 국가는 일정한 영토를 기반으로 국민을 통합하는 모든 근대 국가를 의미한다. 보편적 국가 형태로서 광의의 국민 국가는 국제정치의 기본 단위이다.<ref>{{서적 인용|저자1=유현석 |제목=국제정세의 이해 |출판사=한울아카데미 |날짜=2014 |쪽=245 |판=4}}</ref>
 
국민국가는국민 국가는 국민([[문화]]적인 주체)에게 [[주권]]적인 영토를 제공하기 위하여 존재하며 그러한 목적이 국민 국가의 정당성을 제공한다. 이를 위해 단일 국가의 형태를 가지며 통일된 [[법]]과 [[정부]] 체계를 갖춘다. 주권적베버적 공동체로서국가 개념인 국민 국가는 주권적 공동체로서 국가 위에 다른 권력이 존재하지 않는다않으며, 합법적으로 폭력을 독점하고 국민을 결속시키는 자율적 존재이다.<ref>이연호, op. cit., 23-24쪽.</ref>
 
== 역사 ==
16번째 줄:
nation은 본래 "탄생"이라는 뜻의 [[라틴어]] natio (nātĭō)에서 유래한 단어로,<ref name="etymonline">{{웹 인용 |성=Harper |이름=Douglas |url=http://www.etymonline.com/index.php?term=nation |제목=Nation |작품=Online Etymology Dictionary |확인날짜=2018-12-30}}.</ref> 어원상 혈통과 연관된 단어이다. 혈통 중심 민족 공동체를 이르던 말인 nation은 시간이 흐르면서 혈통과 관계 없이 출신 지역에 따른 인구 집단을 이르는 말로 의미가 확대되었고,<ref name="Connor"/> 부르주아 시민계층의 성장과 함께 정치적으로 동원된다. [[프랑스 혁명]]은 주권의 소재가 국민(nation)에 있다고 선언함으로써 국민 공동체를 중심으로 한 국민 국가의 이념을 확산시켰다.<ref name="변환"/>
 
반면 state는 일정한 영토를 통제하는 통치기구를 일컫는 말로, 종교적 규범성을 바탕으로 인적 지배를 하던 [[중세]] 봉건국가와 달리 영토적 통치능력을 바탕으로 제도적 지배를 하는<ref name="변환"/> [[막스 베버|베버적]] 근대국가이다. [[30년 전쟁]]의 결과 체결된 [[베스트팔렌 조약]]으로 영토를 기준으로 대내적으론 절대적이고 대외적으론 독립적인 [[주권 펑등 원칙|근대 주권 국가]]의 개념이 제시되었다. 15~16세기 [[절대왕정]]의 시기를 거치며 [[관료제]]와 [[상비군]] 등 영토의 통치를 위한 [[중앙집권]]적 제도가 더욱 확고해졌으며, [[중상주의]] 정책이 추진되며 영토를 기반으로 국부를 증진시키고 구성원을 동질화하는 국민국가수립작업이 본격화된다.<ref>{{서적 인용|저자1=이연호, |제목=발전론 |출판사=연세대학교 대학출판문화원 |날짜=2009op. |쪽=33cit., |판=1}}33쪽.</ref>
 
한편 nation과 state 중 어느 것이 역사적으로 먼저 출현한 개념인지는 학계의 오랜 논쟁거리였다. 시원주의에 따르면 nation은 고대부터 존재한 영속적인 집단이며, 민족에 기반하여 국가가 만들어진다. 반면 [[에릭 홉스봄|홉스봄]], [[베네딕트 앤더슨|앤더슨]] 등 근대주의에 따르면 nation은 근대의 발명품이자 "상상의 공동체"<ref>{{서적 인용|성1=Anderson|이름1=Benedict |제목=Imagined Communities |날짜=2006 |출판사=Verso}}</ref>이며, 국가가 먼저 존재하고 국가가 만든 이데올로기가 민족을 만들어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