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정: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태그: 각주 제거됨
72번째 줄:
절대음감을 가진 사람들 앞에서 피아노로 F 음을 치면서 "도~" 라고 노래하면, 귀에서는 '파' 가 들리는데 앞에 있는 사람이 "도" 라고 말하는 것 또는 피아노로 B 음을 치면서 "미~" 라고 노래하면, 귀에서는 '시' 가 들리는데 앞에 있는 사람이 "미" 라고 말하는 것 때문에 굉장히 혼란스러워하는 경우를 볼 수 있다, 이런 이유 때문에 절대음감을 가진 사람들은 음정을 계산할 때도 기준음을 [[계이름]] '도' 로 생각하고 계산하는 것보다 [[음이름]] F 그대로 계산하며 기준음을 [[계이름]] '미' 로 생각하고 계산하는 것보다 [[음이름]] B 그대로 계산한다.
 
만약 C 음과 어떤 다른 음의 음정을 계산해야 한다면, C Major Key (다장조) 의 Diatonic Scale (C Major Scale) 인 C D E F G A B C 와 C Major Key (다장조) 의 Diatonic Scale (C Major Scale) 에서 2, 3, 6, 7음을 반음 내린 Diatonic Scale 인 C D♭ E♭ F G A♭ B♭ C 를 떠올린 후에 비교할 음을 대입해보며 G 음과 어떤 다른 음의 음정을 계산해야 한다면, G Major Key (사장조) 의 Diatonic Scale (G Major Scale) 인 G A B C D E F♯ G 와 G Major Key (사장조) 의 Diatonic Scale (G Major Scale) 에서 2, 3, 6, 7음을 반음 내린 Diatonic Scale 인 G A♭ B♭ C D E♭ F G 를 떠올린 후에 비교할 음을 대입해보며 D 음과 어떤 다른 음의 음정을 계산해야 한다면, D Major Key (라장조) 의 Diatonic Scale (D Major Scale) 인 D E F♯ G A B C♯ D 와 D Major Key (라장조) 의 Diatonic Scale (D Major Scale) 에서 2, 3, 6, 7음을 반음 내린 Diatonic Scale 인 D E♭ F G A B♭ C D 를 떠올린 후에 비교할 음을 대입해보며 A 음과 어떤 다른 음의 음정을 계산해야 한다면 A Major Key (가장조) 의 Diatonic Scale (A Major Scale) 인 A B C♯ D E F♯ G♯ A 와 A Major Key (가장조) 의 Diatonic Scale (A Major Scale) 에서 2, 3, 6, 7음을 반음 내린 Diatonic Scale 인 A B♭ C D E F G A 를 떠올린 후에 비교할 음을 대입해보며 E 음과 어떤 다른 음의 음정을 계산해야 한다면 E Major Key (마장조) 의 Diatonic Scale (E Major Scale) 인 E F♯ G♯ A B C♯ D♯ E 와 E Major Key (마장조) 의 Diatonic Scale (E Major Scale) 에서 2, 3, 6, 7음을 반음 내린 Diatonic Scale 인 E F G A B C D E 를 떠올린 후에 비교할 음을 대입해본다. 대입해본 음을 음이름 기준으로 도수를 찾아낸 후, 대입해본 음이 C Major Scale & C Major Scale 에서 2, 3, 6, 7음을 반음 내린 Scale, G Major Scale & G Major Scale 에서 2, 3, 6, 7음을 반음 내린 Scale, D Major Scale & D Major Scale 에서 2, 3, 6, 7음을 반음 내린 Scale, A Major Scale & A Major Scale 에서 2, 3, 6, 7음을 반음 내린 Scale, E Major Scale & E Major Scale 에서 2, 3, 6, 7음을 반음 내린 Scale 에서 포함되어 있는 음인지를 확인해본다. 대입해본 음이 Major Scale 과 Major Scale 에서 2, 3, 6, 7음을 반음 내린 Scale 둘 다 포함되어있는 경우에는 도수 뒤에 붙는 성질이 '완전' 일 것이고, 대입해본 음이 Major Scale 에만 포함된 음이라면 도수 뒤에 붙는 성질이 '장' 일 것이고 Major Scale 에서 2, 3, 6, 7음을 반음 내린 Scale 에만 포함된 음이라면 도수 뒤에 붙는 성질이 '단' 일 것이고 Major Scale 과 Major Scale 에서 2, 3, 6, 7음을 반음 내린 Scale 둘 다 포함되어있지 않는 경우에는 도수 뒤에 붙는 성질이 '증, 감' 중 하나라는 것을 알 수 있다. 물론 ♯이나 ♭의 갯수에 따라 겹증, 겹감 등이 올 수도 있다. 이 때 '완전' 계열에는 G - D - A 또는 A - D - G 가 반드시 사용되고 '장으로 위 또는 단으로 아래' 계열에는 B - F♯ 가 반드시 사용되고 '단으로 위 또는 장으로 아래' 계열에는 F - B♭ 가 반드시 사용된다.
 
=== 반음 갯수 계산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