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성 김씨: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18번째 줄:
<ref>시조 김석이 의성군 책봉되었다는 점은 시대성을 갖추고 있다 하더라도 의성을 본관으로 처음 쓰기 시작한 것인지, 아니면 후대에 이르러 누군가가 김석 계열을 의성 김씨로 쓰게 된 것인지가 불분명한 것이다. 이러한 문제는 의성 김씨 뿐 아니라 여러 성씨에게서 다 동일하게 나타나는 것이라고 하겠다. 시조 김석으로부터 4세까지의 선계(석-일-홍술-공우)가 불분명하고, 역사서에 의성을 본관으로 처음 쓰기 시작한 것은 5세 김용비(1992에 간행된 대동보에는 9세라 한다)에 이르러서 부터이다. 경자보 중 하나에는 3세 홍술이 빠지고 국-경진-언미-습광으로 이어지는 4대가 첨가되었다. 그러나 구보인 ≪종파보≫는 '착오가 두려워 세계 속에 편입시키지 않는다'는 태도를 취하고 있다.</ref>
 
후손 김공우(金公瑀)대에 와서 크게 번창하였는데, 그의 아들 김용비용비(龍庇)·용필(龍弼)·용주(龍珠) 형제대에 이르러 세계가세계(世系)가 갈린다. 장자 '''김용비'''(金龍庇)는 [[고려]] 말 [[공민왕]] 때 홍건적의 침입으로 [[안동]]으로 몽진했을 때 의성 일원에서 도적들을 물리치고 민심을 수습한 공으로 추절 보절공신 '의성군'(義城君)에 책봉되었으며, 금자 광록대부(金紫 光祿大夫) 태자 첨사(太子 詹事)를 지냈다. 차자 '''김용필'''(金龍弼)은 수사공(守司空), 3자 '''김용주'''(金龍珠)는 평장사(平章事)를 역임하였다.
후손들이 그를 중시조로 삼았다.
고 분적되었다.
 
장자 김용비(金龍庇)계에서 조선 전기 무신 맹암(孟巖) 김영렬(金英烈), 무신 남파(南坡) 김광부(金光富), 무신 문절(文節) 김용초(金用超), 문신 괴정(槐亭) 김숙검(金叔儉), 오봉(鰲峯) 김제민(金齊閔), 학봉(鶴峰) [[김성일 (1538년)|김성일]](金誠一), 칠봉(七峯) 김희삼(金希參), 개암(開岩) 김우굉(金宇宏), 동강(東岡) [[김우옹]](金宇顒), 태천(苔川) 김지수(金地粹), 조선말 유학자 김흥락(金興洛)과 일제 강점기 독립운동가 [[김창숙]](金昌淑)등이 배출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