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잔글 호로조2019 (토론)의 9개의 편집을 2001:E60:303C:AB93:0:47:CD3:CD01의 마지막 판으로 되돌림. (TW)
100번째 줄:
* [[2009년]] [[10월]] 첫 유무선 통합 상품인 [[FMC]](Fixed Mobile Convergence) 서비스인 QOOK&SHOW 를 출시하였다.<ref>{{뉴스 인용 |url =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003&aid=0002908135 | 제목 = KT 유무선 컨버전스 서비스 QOOK & SHOW 출시 | 날짜 = 2009-10-14 | 출판사= 뉴시스}}</ref>
* [[2009년]] [[11월]] 한국 최초로 [[애플 (기업)|애플]]사의 [[아이폰]]을 [[대한민국의 아이폰 출시|도입]]하였다.
* [[2009년]] [[12월]] 한국 최초 3W(Wi-Fi, WiBro, WCDMA) 핸드폰인 쇼옴니아를 출시하였다.
* [[2010년]] [[4월]] 한국디지털위성방송이 KT그룹에 편입하였다.
* [[2010년]] [[4월]] [[금호렌터카]](현 [[롯데렌터카]])를 인수하였다.
* [[2010년]] [[6월]] [[클라우드]] 스토리지 Ucloud 서비스를 출시하였다.
* 2010년 8월 31일자로 [[다우 존스 지속가능지수 월드]](Dow Jones Sustainability Index World)에 처음으로 편입되었다.<ref>{{웹 인용 |url = http://www.sustainability-index.com/07_htmle/data/djsiworld.html |제목 = COMPONENTS - DJSI WORLD and DJSI WORLD EX US |확인날짜 = 2011-08-11 |보존url = https://web.archive.org/web/20110719161829/http://www.sustainability-index.com/07_htmle/data/djsiworld.html |보존날짜 = 2011-07-19 |깨진링크 = 예 }}</ref>
* [[2010년]] [[9월]] [[애플 (기업)|애플]]사의 '[[아이폰4]]'와 [[3G]] 무제한데이터 요금제를 출시하였다.<ref>{{뉴스 인용 |url = http://www.eto.co.kr/?Code=20100909141852630&ts=190855 |제목 = KT, 와이파이 이어 3G데이터도 '무제한서비스’ |날짜 = 2010-09-09 |출판사 = 경제투데이 |확인날짜 = 2011-08-11 |보존url = https://web.archive.org/web/20120328062734/http://www.eto.co.kr/?Code=20100909141852630&ts=190855 |보존날짜 = 2012-03-28 |깨진링크 = 예 }}</ref>
* [[2010년]] [[11월 11일]] ~ [[11월 12일]]: 대한민국에서 개최된 G20 정상회의 주관통신사업자로 선정되었다.<ref>{{뉴스 인용 |url = http://www.munhwa.com/news/view.html?no=2010111501070624160001 | 제목 = kt 원더풀, 코리아원더풀 | 2010-11-15 |문화일보 }}</ref>
* [[2011년]] [[1월 25일]]: [[유선]]의 ‘쿡(QOOK)’, [[무선]]의 ‘쇼(SHOW)’라는 브랜드를 버리고 ‘올레(olleh)’라는 단 하나의 이름을 사용하여 [[유선]]의 ‘올레 홈(olleh home)’, [[무선]]의 '올레 모바일(olleh mobile)’이라는 [[브랜드]]를 사용하기 시작하였다.<ref>{{뉴스 인용 |url = http://www.ddaily.co.kr/news/news_view.php?uid=72925 | 제목 = [신년기획/2011 경영전략③] KT, 통합효과·고객만족도 향상에 주력
| 날짜 = 2011-01-04 | 디지털데일리}}</ref>
* [[2011년]] [[2월 10일]]: [[BC카드]] 지분 20.05%를 인수하여 2대 주주가 되었다.<ref>{{뉴스 인용 |url =http://www.moneytoday.co.kr/view/mtview.php?type=1&no=2011021810366094877&outlink=1 | 제목 =[KT,우리·부산銀 등과 본계약 체결···] | 날짜 = 2011-02-18 | 머니투데이}}</ref>
* [[2011년]] [[3월 30일]]: 사명을 한국디지털위성방송 주식회사에서 KT의 자회사인 주식회사 KT스카이라이프로 변경
* [[2011년]] [[9월 8일]]: KT가 2011년 다우존스지속가능경영지수(DJSI)가 선정한 유무선[[통신]]분야의‘글로벌 슈퍼섹터 리더’1위 업체로 선정되었다.<ref>{{뉴스 인용 |url = http://biz.chosun.com/site/data/html_dir/2011/09/16/2011091601565.html | 제목 = KT, 'DJSI 통신분야' 세계 1위 선정| 날짜 = 2011-09-16 | 조선비즈}}</ref>
* [[2012년]] [[1월 3일]]: 서울 전 지역 [[LTE]] 시작, 동시에 [[2세대 이동 통신|2G]] 종료
* [[2012년]] [[1월 18일]]: 6대 광역시, 수도권 17개시, 제주도 [[2세대 이동 통신|2G]] 종료
* [[2012년]] [[2월 2일]]: 지방 58개시, [[2세대 이동 통신|2G]] 종료
* [[2012년]] [[3월 19일]]: 대한민국 전 지역 [[2세대 이동 통신|2G]] 종료
* [[2012년]] [[9월 13일]]: KT가 2011년에 이어 2012년에 다우존스지속가능경영지수(DJSI) 평가에서 유무선을 통합한 통신 분야에서 글로벌 슈퍼섹터 리더에 올랐다.<ref>{{뉴스 인용 |url = http://biz.chosun.com/site/data/html_dir/2012/09/13/2012091302122.html| 제목 = Kt-gs건설-롯데쇼핑, ‘지속가능 성장력’ 세계 최고 인정| 날짜 = 2012-09-13 | 조선비즈}}</ref>
* [[2013년]] [[9월 15일]] KT가 1.8 GHZ 대역에서 20 MHZ 폭으로 광대역 LTE를 시작
* [[2014년]] [[1월 27일]] 황창규 대표이사 취임
*2017년 '''올레''' 브랜드를 버리고 홈과 모바일 모두 '''kt''' 브랜드 적용
* [[2017년]] [[7월 17일]] [[2018년 동계 올림픽|2018평창동계올림픽]] 이통통신사 공식후원사 지정
* [[2018년]] [[2월 1일]] 평창올림픽 대비 세계 첫 5G서비스 완료
* [[2018년]] [[2월 2일]] KT커넥티드체험관 강원도 강릉서 개관 첫 '''가상 증강현실 올림픽''' 개시
* [[2018년]] [[2월 26일]] MCN 사업자인 [[DIA TV]] 협업을 해 어린이 예능 채널 짝꿍TV 개국행사 개최
 
== 주주 및 이사회 ==
1997년 IMF 사태에 따라 경제위기 수습을 위한 재원 마련으로 공기업 매각이 추진되어 [[1998년]] 12월 [[한국증권거래소]], [[1999년]] 5월 [[뉴욕증권시장]]에 상장되었다. [[s:전기통신사업법|전기통신사업법]]에 의해 기간통신사업자에서 외국인 주주의 의결권을 다 합쳐도 총 의결권의 49%를 넘을 수 없게 되어 있다. 이사회는 사내이사 3명, 사외이사 8명 총 11명의 이사로 구성(2013년 3월 기준)되어 있다. 사외이사는 사외이사 전원, 사내이사 1인으로 구성된 사외이사후보추천위원회에서 선임하고 있으며, 임기는 3년 이내이다. 이사회 의장은 사외이사 중에서 선출되며, 임기는 1년이다. 이사회 내에는 5개 상설 소위원회와 2개 임시 소위원회가 있다. 이사회는 필요한 경우 별도의 위원회를 추가 설치할 수 있다. 사내이사(3명)로는 황창규 대표이사, 임헌문이사, 구현모이사가 있고 사외이사(8명)로는 이사회 의장인 송도균 이사와 김종구, 차상균, 장석권, 박대근, 정동욱, 이계민, 임일이사가 있다.
 
== 그룹 경영 체계 및 자회사 ==
유무선 통신 전문 공기업에서 출발한 KT는 민영화 이후 [[2015년]] 그룹 매출 40조원 달성을 목표로 렌탈, 부동산, 경비, 교육, 신용카드 등 다양한 비통신 시장으로 진입하고 있다. 2015년 9월 30일 기준으로 [[BC카드]] 등 41개의 자회사<ref>http://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151116001665</ref> 를 운영중이다.
{|
| style="vertical-align: top;" width="20%"|
* KT<ref>{{웹 인용 |url=http://www.kt.com/# |제목=보관 된 사본 |확인날짜=2009-06-01 |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100212170441/http://www.kt.com/# |보존날짜=2010-02-12 |깨진링크=예 }}</ref><ref>http://blog.kt.com/</ref>
* KT service
* [[KT파워텔|KT 파워텔]]<ref>http://www.ktp.co.kr/</ref>
* KT 이엔지코어
* KT 링커스<ref>http://www.ktlinkus.co.kr/</ref>
* [[KTH]]
* KT 서브마린<ref>http://www.ktsubmarine.co.kr/</ref>
* KT 커머스<ref>http://www.ktcommerce.kr/{{깨진 링크|url=http://www.ktcommerce.kr/ }}</ref>
* KT 엠하우스<ref>http://www.mhows.com/</ref>
* KT 텔레캅<ref>{{웹 인용 |url=http://www.telecop.co.kr/# |제목=보관 된 사본 |확인날짜=2013-11-07 |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131107051647/http://www.telecop.co.kr/# |보존날짜=2013-11-07 |깨진링크=예 }}</ref>
* KT 엠앤에스
* 나스미디어<ref>http://www.nasmedia.co.kr/</ref>
* [[지니뮤직]]<ref>http://www.genie.co.kr/</ref>
* KT 디에스<ref>http://www.ktds.com/</ref>
* KT 씨에스<ref>http://www.ktcs.co.kr/</ref>
* KTIS<ref>{{웹 인용 |url=http://www.ktis.co.kr/# |제목=보관 된 사본 |확인날짜=2013-11-07 |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130813235052/http://www.ktis.co.kr/# |보존날짜=2013-08-13 |깨진링크=예 }}</ref>
* [[KT스카이라이프]]<ref>http://www.skylife.co.kr/ (방송법령에 의한 [[위성방송]] 사업자)</ref>
**(주)스카이라이프티브이<ref>http://www.skylifetv.co.kr</ref>
* [[애니맥스 (대한민국)|애니맥스브로드캐스팅코리아(유)]]
* KT 에스테이트<ref>{{웹 인용 |url=http://www.ktestate.com/# |제목=보관 된 사본 |확인날짜=2013-11-07 |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130820064738/http://www.ktestate.com/# |보존날짜=2013-08-20 |깨진링크=예 }}</ref>
* KT 와이브로 인프라
| style="vertical-align: top;" width="20%"|
* KT 넥스알<ref>{{웹 인용 |url=http://www.nexr.co.kr/# |제목=보관 된 사본 |확인날짜=2013-11-07 |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130810171402/http://www.nexr.co.kr/# |보존날짜=2013-08-10 |깨진링크=예 }}</ref>
* 스마트채널
* [[비씨카드]]
* 주식회사 HNC 네트워크<ref>{{웹 인용 |url=http://www.hncnet.co.kr/ |제목=Untitled |확인날짜=2013-11-07 |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131208045036/http://www.hncnet.co.kr/ |보존날짜=2013-12-08 |깨진링크=예 }}</ref>
* VP 주식회사<ref>http://www.vp.co.kr/home/index.html</ref>
* 이니텍 주식회사<ref>http://www.initech.com/www/html/index.html</ref>
* 주식회사 스마트로<ref>http://www.smartro.co.kr</ref>
* KT AMC
* 주식회사 센티오스<ref>{{웹 인용 |url=http://www.centiosglobal.com/ |제목=Untitled |확인날짜=2013-11-07 |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131107034257/http://www.centiosglobal.com/ |보존날짜=2013-11-07 |깨진링크=예 }}</ref>
* KT SB 데이터서비스 주식회사
* 유스트림 코리아 주식회사<ref>http://www.ustream.tv/</ref>
* 주식회사 KT 이노에듀<ref>http://www.ktinnoedu.com/</ref>
* 주식회사 후후앤컴퍼니
* KT sat
* 케이디리빙
* [[KT스포츠]]<ref>{{웹 인용 |url=http://sports.kt.com/ |제목=보관 된 사본 |확인날짜=2012-01-10 |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111227072404/http://sports.kt.com/ |보존날짜=2011-12-27 |깨진링크=예 }}</ref>
** [[부산 KT 소닉붐]] 농구단
** [[KT 롤스터]] 게임단
** KT 사격단
** KT 하키단
** KT 골프단
** [[kt 위즈]]
* 오토피온
* KT 엠모바일
|}
 
== 논란 ==
=== 인터넷 종량제 논란(2003년~2005년) ===
2003년 진대제 정보통신부(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의 종량제 찬성 인터뷰에서 촉발한 종량제 논의가 EBS 인터넷 수능 동영상 강의 등 트래픽 유발 서비스 확대와 스팸 메일, 인터넷 중독 등의 사회적 논란 등을 겪으면서 2005년까지 계속되었다. 2005년 KT 이용경 사장이 정보통신부(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의 네티즌과의 대화에서 밝힌 인터넷 종량제 정책 추진 등에 부응하여 인터넷 요금의 종량제 필요성을 함께 주장하여 사회적인 논란이 확대되었다.
 
=== 2G 사용자 강제 종료 ===
KT는 미래창조과학부(현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최종 승인으로 2011년 12월 8일 2G 서비스 종료를 한다고 발표했다. 하지만, 4G LTE 주파수 재배치 문제로, 이 과정에서 기존 01x 번호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의사와 전혀 상관 없이, 강제 종료를 한다는 논란의 소지가 있었다. KT의 2G 서비스는 당초 2011년 12월 8일에 전국적으로 일제히 종료 할 예정이였으나, 서울행정법원의 합법적인 절차로 순연되어, 같은해, 12월 26일 서울고등법원의 즉각 중단 가능 결정으로 2012년 1월 3일 오전 10시경, 수도권 및 부산/경남권 지역부터 순차적으로 2G서비스가 종료되고 4G LTE서비스가 시작되었다.
 
=== 낙하산 인사 논란 ===
정관계 인사들의 KT 고위 임원에의 연이은 취임이 2010년 12월 김은혜 전 청와대 대변인의 KT 전무 취임으로 사회적으로 확산되었다. 또한 이를 비판한 직원의 발언이 PD 수첩 등에 방영 된후 해당 직원에 대한 보복 인사에 대한 논란도 있다.<ref>[http://www.pressian.com/article/article.asp?article_num=30110221131510&section=02 KT, '김은혜 전무 낙하산' 비판한 직원 보복인사 논란] 프레시안 뉴스 2011년 2월 21일</ref><ref>[http://biz.chosun.com/site/data/html_dir/2010/12/01/2010120102046.htmlKT 전무 된 39세 김은혜 前청와대 대변인… '낙하산 논란']{{깨진 링크|url=http://biz.chosun.com/site/data/html_dir/2010/12/01/2010120102046.htmlKT }} 조선일보, 2010년 12월 2일</ref><ref>[http://news.hankooki.com/lpage/politics/201012/h2010120121133021000.htm 민주 "김은혜 前 靑대변인 KT 낙하산 인사" 비판] {{웨이백|url=http://news.hankooki.com/lpage/politics/201012/h2010120121133021000.htm |date=20111118114451 }} 한국일보,2010년 12월 1일</ref> 이석채 회장은 비통신 전문가인 외부 인사 영입에 대한 논란에 대해 2011년 1월 20일 기자 간담회에서 내부에 인재가 없어 외부 영입을 하는 것이 무엇이 문제냐는 입장으로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의 신사업을 할 수 있는 KT 내부 직원은 없다고 단언하며 외부 인사 영입 논란을 일축하였다.<ref>[http://www.sisakorea.kr/sub_read.html?uid=4377&section=sc22 KT는 MB정권의 낙하산 집합소? KT 이석채 회장의 낙하산 인사 '현재 진행형'] 시사코리아 2011년 1월 28일</ref><ref>[http://weekly.chosun.com/client/news/viw.asp?nNewsNumb=002134100018&ctcd=C05 “낙하산 최소 40명은 될 것” 파문, 올레(olleh)~ KT “실세들 올래?”] 주간조선 2010년 12월 6일</ref>
* [[이석채]] 회장 - LG 전자, SKC&C 사외 이사 역임, "회사와 경쟁관계에 있는 회사 및 그와 공정거래법상 동일한 기업 집단에 속하는 회사의 임·직원 또는 최근 2년 이내에 임·직원이었던 자는 회사의 이사가 될 수 없고, 이사가 되더라도 그 직을 상실케 하는" KT의 기존 정관을 삭제 후 취임.<ref>[http://www.sisakorea.kr/sub_read.html?uid=4377&section=sc22 KT는 MB정권의 낙하산 집합소?] 시사코리아 2011년 1월28일</ref>
* 이춘호 사외 이사 - 이명박 정부 초대 여성부 장관 후보, 부동산 투기와 재산 축소 의혹으로 후보 사퇴
* 허증수 사외 이사 - 대통령직 인수위원회 기후변화·에너지TF 팀장으로 대운하 사업 등 담당, 인천시로부터 법인카드 제공, 향응 수수 논란으로 인수위 사퇴
* 박병원 사외 이사 - 청와대 경제 수석
* 석호익 전 부회장 - 전 정보통신부(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정책홍보실장, 18대 한나라당 경북 고령‧성주‧칠곡 국회의원 후보(낙선)
* 김규성 KT엠하우스 사장 - 이명박 대통령 후보 캠프 모바일 팀장, 대통령직인수위 경제2분과 상임자문위원
* [[김은혜 (1971년)|김은혜]] - 전 그룹미디어커뮤니케이션 전략실장 전무, 현 커뮤니케이션실장 (전무) - 청와대 대변인
* 서종률 (전) KT 미디어본부장 - 대통령직인수위 경제2분과 전문위원
* 이태규 KT 경제경영연구소 전무 - 청와대 대통령실 연설 비서관
* 윤종화 KT캐피탈 감사 - 재정경제원 정책심의관, 청와대 경제행정실 행정관
* 최수영 ktis 감사 - 전 한나라당 성북을 지구당 위원장
* 김성익 스카이라이프 감사 - 전 5공화국 공보비서관
* 장치암 커스토머부문 상무보 - 청와대 민정수석실 선임행정관
* 임현규 부사장: 전 MB 특보
* 윤정식 부사장: 전 청주MBC 사장-김재철 전 MBC 사장 핵심
* 이석조 kt 렌탈 경영고문 이석채 사장 사촌 동생
* 홍사덕 kt 경영고문 전국회의원 친박라인
* 김병관 kt 경영고문 전 국회의원 친박라인
* 이성해 kt 경영고문 전 정통부 국장
* 허준영 kt 경영고문 전 경찰청장
* 김정관 kt렌탈 마케팅홍보총괄본부장 전 박근혜 후보 캠프 미디어팀장
 
=== 4대 종편 투자 정부 개입 의혹 ===
2011년 11월 9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에 따르면, KT가 100% 지분을 갖고 있는 자회사인 [[KT캐피탈]]은 2011년 3월 9일 조선일보 종편에 20억원을 출자했다. 이어 4월 1일에는 중앙일보와 매일경제 종편에 각각 20억원씩 출자했고 엿새 뒤인 4월 7일에는 당시 납입 자본금을 완납하지 못해 종편 승인이 연기된 동아일보 종편에 앞의 종편들보다 많은 23억9천만원을 출자했다.
 
문제는 KT가 2010년 말까지만 해도 전담팀에서 사업성을 평가한 결과 사업성이 없어 종편에 투자하지 않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다는 점에서 입장을 바꿔 4대 종편 모두에 무더기투자를 한 배경에는 정부의 입김이 작용한 게 아니냐는 의혹을 낳고 있다.<ref>[http://www.viewsnnews.com/article/view.jsp?seq=80482 KT, 4대 종편에 무더기 출자. 정부 입김 의혹]《뷰스앤뉴스》2011년 11월 9일 박태견 기자</ref>
 
=== 인력퇴출 프로그램과 노동자 사망에 관한 논란 ===
2012년 4월 25일 노동시민사회단체인 KT노동인권센터가 발표한 바에 따르면 KT에서 인력퇴출프로그램이 시행된 2006년부터 2012년까지 6년 동안 KT 재직·퇴직 노동자 가운데 204명이 숨졌다. 이 중 재직중에 숨진 노동자가 110명이며 퇴직자(58세 이하)가 94명, 사내협력업체 12명이다. 사망 원인별로는 백혈병 등 각종 암으로 숨진 노동자가 84명으로 가장 많았고 돌연사(뇌출혈·심장마비)가 62명, 사고 및 기타 질병 44명, 자살 14명이었다. KT노동인권센터는 인력보충 없는 강제명퇴와 무한경쟁 등을 초래한 민영화가 노동자들의 잇따른 사망의 원인이라고 주장했다. 한편 [[고용노동부]]는 2011년 10월 국정감사에서 KT 노동자의 인권침해 문제가 제기된 후 노조의 고소·고발이 이어지자 2012년 2월부터 한 달간 150여개 지사를 대상으로 특별감독을 벌였지만 2012년 4월까지 별다른 조치가 취해지지 않고 있다.<ref>[http://media.daum.net/society/others/newsview?newsid=20120425100209922&cateid=1067 KT 6년간 204명 사망…사법조치 없어] 뉴시스, 2012년 4월 25일</ref>
 
== 각주 ==
{{각주|2}}
 
== 외부 링크 ==
{{위키공용분류|KT Group}}
* [http://www.kt.com/ KT 공식 웹사이트]
 
{{KT}}
{{재벌}}
{{대한민국의 기간통신사업자}}
{{코스피200 지수 구성 종목}}
{{대한민국의 민영화된 공기업}}
 
[[분류:KT| ]]
[[분류:1981년 설립된 기업]]
[[분류:경기도의 기업]]
[[분류:클라우드 컴퓨팅 제공자]]
[[분류:대한민국의 지주회사]]
[[분류:대한민국의 브랜드]]
[[분류:1981년 설립된 기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