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571
번
{{다른 뜻|너바나|열반의 의미|미국의 록 밴드 니르바나}}
{{불교}}
'''열반'''(涅槃, {{vie|v=Niết bàn}}, {{zh|t=涅槃|p=nièpán}}, {{llang|yue|nihppùhn}}, {{llang|ja|涅槃|네한}})은 "(바람 등이) 불기를 멈추다{{.cw}}(촛불 등을) 불어서 끄다{{.cw}}(촛불 등이) 불어서 꺼진 상태"라는 뜻의 {{llang|sa|निर्वाण|'''니르바나'''}}({{llang|pi|निब्बान|'''니바나'''}})를 음을 따라 번역한 말이다. 뜻을 따라 번역하여 '
열반은 [[번뇌]]의 불을 꺼서 [[깨우침]]의 [[지혜]]를 완성하고 완전한 정신의 [[평안함]]에 놓인 상태를 뜻하는데, [[불교]]의 [[불교의 수행|수행]]과 최고의 이상향(완성된 깨달음의 세계)를 뜻하며, 실천의 궁극적인 목적이다. 열반의 이상경(理想境)은 일체의 [[번뇌]]의 속박에서 벗어나(解脫) 있으므로 적정(寂靜)한 것이라 하여 일반적으로 '''열반적정'''(涅槃寂靜)이라고 말한다.<ref name="글로벌-열반적정">[[s: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종교·철학/세계의 종교/불 교/불교의 사상#열반적정|종교·철학 > 세계의 종교 > 불 교 > 불교의 사상 > 근본불교의 사상 > 열반적정]],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br />"열반적정: 涅槃寂靜 열반이란 니르바나(nirvana)의 음사(音寫)로서 '불어서 끄다'라는 동사에서 나온 말인데 탐욕(貪慾), 분노(憤怒), 어리석음(愚痴) 등 인간의 마음을 더럽히는 번뇌의 불이 꺼지고 아무 것에도 어지럽혀지지 않은 이상적인 상태를 말하는 것이다. 그리하여 이와 같은 열반의 이상경(理想境)에 있어서는 일체의 번뇌의 속박에서 벗어나(解脫) 있으므로 적정(寂靜)한 것이라 하여 일반적으로 '열반적정(涅槃寂靜)'이라고 말한다. 고타마는 현실의 생사의 고(苦) 세계를 '일체개고(一切皆苦)'라고 파악하였는데, 그에 대하여 고(苦)를 멸(滅)한 이상(理想)의 세계를 '열반적정(涅槃寂靜)'이라고 한 것이다. 고타마가 생존했던 시기의 인도에서는 각종 인생관이 존재하여 제각기 이상세계란 것이 제시되고 있었으나 그 이상세계가 단순한 관념으로만 끝나거나 혹은 사후에 있어서만 달성가능한 것이었던 데 비해 고타마가 이상으로 한 적정(寂靜)한 열반은 세계인생에 대한 올바른 지혜에 의해서 현세에 실현되는 것이었다."</ref> 열반적정(涅槃寂靜)은 [[일체개고]](一切皆苦){{.cw}}[[제행무상]](諸行無常){{.cw}}[[제법무아]](諸法無我)와 함께 [[불교]]의 근본 교의인 [[사법인]](四法印)에 속한다.<ref name="글로벌-열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