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48,689
번
(내용 추가) 태그: m 모바일 웹 |
(문서 정리) |
||
{{출처 필요|날짜=2018-01-18}}
'''함원전'''(含元殿)은 [[경복궁]]에 위치한 전각이며, 왕비의 침전인 [[교태전]] 서쪽, 흠경각 북쪽에 위치한다.‘'''함원'''’은 ‘원기를 간직하다.’라는 의미이다. 정면 6칸, 단층의 팔작지붕이다.
== 연혁 ==
정확한 연도는 알 수 없으나 ‘조선왕조실록’의 기록으로 미루어 보아 [[조선 세종|세종]] 때 지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불상을 모셔두고 주로 불교의식과 행사를 열었으며, [[조선 단종|단종]]이 거처했던 곳으로 전해진다.
▲임진왜란의 전화로 소실되었다가 1867년 (고종 4년)에 흥선대원군의 경복궁 중건 때 재건하여 복원되었다.
1876년(고종13년)에 발생한 화재로 소실된 것을 2년 뒤에 복원되었다.
일제강점기 창덕궁
1995년 경복궁 복원사업으로 복원되었다.
== 성격 및 의의 ==
유교를 중심 사상으로 했던 조선을 생각하면 이상할 수 있지만 조선 초기는 부국강병을 목표로 중앙집권을 위해서라면 과학 기술과 다른 여타 사상도 수용했던 것을 볼 수 있다. 16세기 중엽 이후 조선이 성리학 지상주의 사회로 변하면서 과학 기술과 모든 여타 사상을 배척했다. 또한 불교 사상은 조선 초기에 큰 영향력을 지니고 있었다는 것도 밝혀졌다.
[[분류:경복궁]]
[[분류:조선의 건축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