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좌부 불교: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Haegong (토론 | 기여)
잔글 띄어쓰기
Haegong (토론 | 기여)
잔글 니까야와 아함경은 다른 부분이 있음
2번째 줄:
'''상좌부 불교'''(上座部佛敎) 또는 '''테라바다''' 또는 테라와다(Theravada)<ref>알파벳으로 Theravada로 표시하는 글자에서 v발음은 영어의 v가 아니라 우리말의 순경음ㅂ(ᄫ)으로, 남방불교 지역에서는 '우/오'로 발음된다. 즉 우리말로 보다 정확한 표기는 '테라ᄫᅡ다'이며 실제 발음은 '테라와다'이다. vipassana의 실제 발음이 '위빳사나'인 것과 같다. 우리말에서도 15세기 말을 일부 간직하는 경상도말에서는 아직도 "덥어라[더ᄫㅓ라]" "고맙아[고마ᄫᅡ]"하는 것을 현대의 서울말에선 "더워라," "고마와"라고 하는 것과 같다.</ref>는 [[부처]]의 계율을 원칙대로 고수하는 불교를 말한다.<ref>윤대헌.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3&oid=144&aid=0000017894 ‘불교성지’ 미얀마…2500년 佛밝힌 ‘신비탐험’]. 스포츠경향. 기사입력 2006년 6월 7일. 최종수정 2008년 12월 25일.</ref><ref>김도연.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3&oid=021&aid=0002113360 2500년전 ‘부처의 길’… 한발한발 따라 걷다]. 문화일보. 기사입력 2012년 5월 22일. 최종수정 2012년 5월 22일.</ref> [[대중부 불교]]와 함께 [[인도]] [[불교]]의 2대 부문(部門)의 하나이다.
 
테라바다(Theravada)라는 말은 "장로(長老)들의 길"이란 뜻으로 상좌부(上座部)라고 한역되었다. 상좌부 불교에서는 [[고타마 붓다]]가 사용한 언어인 [[팔리어]]로 된 경전을 근간으로 하는데, 이는 [[산스크리트어]]로 쓰인 [[대승 경전]]과 대비된다. 이 [[팔리어 경전]](《[[아함경]]과 78% 일치하는 니까야》)은 [[기원전 1세기]]경 [[스리랑카]]에서 최초로 쓰인 것으로 [[기독교]] 시대가 열린 이후에 형체를 갖추어가기 시작한 [[대승불교|대승]]권의 [[산스크리트어]] [[대승경전|경전]]이나 다른 경전보다도 [[고타마 붓다]]의 가르침이 더 정확하게 나타나 있다고 볼 수 있다.<ref>보리수선원</ref>
 
== 불교 전통 연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