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촌법: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Stynerk (토론 | 기여)
편집 요약 없음
9번째 줄:
|장=
|인용문=
}}</ref>)은 일가의방계친족의 촌수를 따지는 방법이다. 계촌법에 따라 촌수를 따져 붙이는 종(從), 재종, 삼종, 사종과 같은 호칭을 '''치촌'''(置寸)이라 한다.
 
==촌수의 계산과 용어==
계촌, 곧 촌수를 따질 때 가장 기초가 되는 것은 ‘나’(자기)로서 무촌이며, 또한 배우자 역시 무촌이다이다. 촌수는 혈연을 기준으로 하므로 아들딸과 어버이는 1세대이다.
 
촌수는 연결되어 있는 직계혈족 간 세수(世數)를 기준으로 센다. 부모와 자녀 간은 1세대이다(민법 제770조 제1항).
이에 따라 촌수를 계산하면, 형제는 나-어버이-형제로 혈연이 이어지므로 2촌이 된다. 다시 말해 나와 어버이가 1세대, 어버이와 내 형제가 다시 1세대이며, 이를 더하면 2촌이다. 나와 할아버지/할머니는 나-아버지-할아버지로 이어지므로 2세대가 된다. 이때 형제는 방계<ref>정확하게는 ‘방계친’이다.</ref> 2촌이며, 할아버지/할머니와 손자는 직계<ref>정확하게는 ‘직계친’이다.</ref> 2세대가 된다.
 
직계는 혈연이 친자 관계로 이어진 경우를 뜻하기도 하며뜻하며, 이때 방계는 시조(始祖)가 같은 혈족 가운데 직계에서 갈라져 나온 친계(親系)를 가리킨다. 촌수 계산에서 직계는 나를 기준으로 위아래로만 계산하면 직계이며, 조금이라도 옆으로 뻗어가면 방계이다.
 
이에 따라 촌수를 계산하면, 형제는 나-어버이-형제로 혈연이 이어지므로 2촌이 된다. 다시 말해 나와 어버이가 1세대, 어버이와 내 형제가 다시 1세대이며, 이를 더하면 2촌이다. 나와 할아버지/할머니는 나-아버지-할아버지로 이어지므로 2세대가 된다. 이때 형제는 방계<ref>정확하게는 ‘방계친’이다.</ref> 2촌이며, 할아버지/할머니와 손자는 직계<ref>정확하게는 ‘직계친’이다.</ref> 2세대가 된다(민법 제770조 제2항).
 
계촌에서는 혈족을 크게 부계와 모계로 나누면, 부계는 직계(부계 직계)와 내계(내종간)로, 모계는 외계(외종간)로 나눌 수 있다. 이때 부계 직계는 계촌도에 나타난 맨 위 조상으로부터 친자관계를 가지게 되며, 내계는 모계를 외계(외종간)로 부름에 따라 그에 상대하여 내종간을 일컫는 명칭이다. 이때 4촌과 5촌은 종(從)을 붙이며, 6촌과 7촌은 재종(再從), 8촌과 9촌은 삼종(三從), 10촌과 11촌은 사종(四從) 등으로 부른다. 직계에는 다른 말이 붙지 않으나, 내계에는 주로 내(內) 또는 고(姑)를 붙이고, 외계에는 주로 외(外) 또는 이(姨)를 붙인다. 나와 같은 배분인 사람은 형제, 내 아들과 같은 배분이면 조카 또는 질(姪), 내 손자와 같은 배분이면 손(孫), 내 아버지와 같은 배분이면서 손위이면 백(伯), 손아래면 숙(叔), 내 할아버지와 같은 배분이면 조(祖), 내 할아버지의 아버지와 같은 배분이면 증조, 내 할아버지의 할아버지와 같은 배분이면 고조, 고조의 아버지와 같은 배분이면 현조라 한다.
 
=== 직계혈족의 촌수 ===
직계혈족의대한민국에서는 촌수에과거 대해서직계혈족인 일부부자관계를 1촌, 조손관계를 2촌이라고 표기한 초등학교 교과서로 인하여 논란이 빚어진 적이 있다. 할아버지와이에 대하여 유림 나의측에서는 관계는직계혈족은 2세대이라고촌수를 세지 않는다는 있으나주장, 예외로굳이 보고촌수를 1세대이라고세어야 해야된다는한다면 시각이세수(世數)를 있다따지지 않고 1촌으로 보아야 한다는 주장 등이 제기되었다.<ref>문상호,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10&oid=028&aid=0000009076 할아버지와 나는 2촌? 1촌?], 한겨레, 2003년 1월 26일</ref> 그러나,살피건대 직계혈족의 원근은 전통적으로 촌수가 아닌 세수(世數) 부분에또는 대해서대수(代數)로 반론이호칭하여 있으며왔고, 이러한촌수 문화가자체가 부계혈통문화에서직계 비롯되었다는세수를 비판적인응용하여 시각도방계친족의 존재한다.<ref>박종주,원근을 [http://news.naver따지는 방법이므로 직계혈족은 논란이 있는 방식인 “몇 촌”이 아니라 “몇 세(대)”라고 칭하는 것이 적정하다.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6&oid=047&aid=0000023668 부계혈통문화는참고로 보존되어야이와 하는가?],같은 오마이뉴스논란 이후 부자관계를 1촌, 2003년조손관계를 2월2촌이라고 6일</ref>표시했던 초등학교 교과서의 계촌도는 이런 표시를 삭제하는 방향으로 모두 수정되었다. 아울러 초등학교 교사용 지도서는 이 부분에 대하여 ‘가까운 사이에서 촌수를 따지는 것은 오히려 실례가 될 수 있다’라고 언급되어 있다.<ref>김선우,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20&aid=0000160683 ‘직계혈족은 촌수 안따져’ 교과서 수정 이끈 최현영씨], 동아일보, 2002년 11월 8일</ref>
 
=== 인척의 촌수 ===
대한민국 정부는 부양의무자 기준이 있으나 촌수를
인척(姻戚)은 혈연관계 없이 혈족과의 혼인으로 창설된 친족관계를 말한다. 대한민국 민법상 인척관계의 계촌이 필요한 경우가 있는데, 이 경우 인척의 촌수는 그와 혼인관계로 맺어진 방계혈족의 촌수에 따른다(민법 제771조). 이에 따르면 나와 직접 혼인관계를 맺고 있는 배우자는 무촌이 된다. 형수·제수, 형부·제부, 처남, 매부, 올케, 시동생·시아주버니는 2촌 간인 인척이 되며, 백·숙모, 고모부, 이모부, 질부는 3촌 간인 인척이 된다. 다만, 인척관계가 중복된 경우(예: 동서지간) 또는 인척의 혈족(예: 사돈지간)은 법률상 친족관계가 아니다.
기준으로 한것이 아니므로 촌수와는 무관하다.
 
==계촌도==
줄 34 ⟶ 36:
{|align="center" cellpadding="1" cellspacing="0" border="0"
|-
| align="center" | 현조<br />(玄祖)<br />5촌<ref name="직계촌">1촌이라고 주장하거나 촌수를 따질 수 없다는 주장도 존재한다.</ref>5대
|-
| align="center" colspan="11" | ┣━━━━━━━━━━━━━━━━━━━━━━━━━━━┓&nbsp;&nbsp;
|-
| align="center" | 고조<br />(高祖)<br />4촌<ref name="직계촌" />4대 || || || || || || || || || || align="center" | 종고조<br />(從高祖)<br />6촌
|-
| align="center" colspan="9" | ┣━━━━━━━━━━━━━━━━━━━━┓&nbsp;&nbsp; || || align="center" | ┃
|-
| align="center" | 증조<br />(曾祖)<br />3촌<ref name="직계촌" /> 3대 || || || || || || || || align="center" | 종증조<br />(從曾祖)<br />5촌 || || align="center" | 재종증조<br />(再從曾祖)<br />7촌
|-
| align="center" colspan="7" | ┣━━━━━━━━━━━━━┓&nbsp;&nbsp; || || align="center" | ┃ || || align="center" | ┃
|-
| align="center" | 할아버지<br />(祖)<br />2촌<ref name="직계촌" />2대 || || || || || || align="center" | 종조<br />(從祖)<br />4촌 || || align="center" | 재종조<br />(再從祖)<br />6촌 || || align="center" | 3종조<br />(三從祖)<br />8촌
|-
| align="center" colspan="5" | ┣━━━━━━━━┓ || || align="center" | ┃ || || align="center" | ┃ || || align="center" | ┃
|-
| align="center" | 아버지<br />(父)<br />1촌1대 || || || || align="center" | 백숙부<ref>백부는 큰아버지 또는 숙부는 작은아버지로 부르기도 한다.</ref><br />(伯叔父)<br />3촌 || || align="center" | 종백숙부<ref>종숙(從叔) 또는 당숙(堂叔)으로 부르기도 한다.</ref><br />(從伯叔父)<br />5촌 || || align="center" | 재종백숙부<br />(再從伯叔父)<br />7촌 || || align="center" | 3종백숙부<br />(三從伯叔父)<br />9촌
|-
| align="center" colspan="3" | &nbsp;&nbsp;┣━━━━┓ || || align="center" | ┃ || || align="center" | ┃ || || align="center" | ┃ || || align="center" | ┃
|-
| align="center" | '''나'''<br />(己)<br />무촌 || &nbsp;&nbsp; || align="center" | 형제<br />(兄弟)<br />2촌 || &nbsp;&nbsp; || align="center" | 종형제<br />(從兄弟)<br />4촌 || &nbsp;&nbsp; || align="center" | 재종형제<br />(再從兄弟)<br />6촌 || &nbsp;&nbsp; || align="center" | 삼종형제<br />(三從兄弟)<br />8촌 || &nbsp;&nbsp; || align="center" | 사종형제<br />(四從兄弟)<br />10촌
|-
| align="center" | ┃ || || align="center" | ┃ || || align="center" | ┃ || || align="center" | ┃ || || align="center" | ┃ || || align="center" | ┃
|-
| align="center" | 아들딸<br />(子)<br />1촌1대 || || align="center" | 조카<br />(姪)<br />3촌 || || align="center" | 종질<br />(從姪)<br />5촌 || || align="center" | 재종질<ref>재당질(再堂姪)이라고 부르기도 한다.</ref><br />(再從姪)<br />7촌 || || align="center" | 3종질<br />(三從姪)<br />9촌 || || align="center" | 4종질<br />(四從姪)<br />11촌
|-
| align="center" | ┃ || || align="center" | ┃ || || align="center" | ┃ || || align="center" | ┃ || || align="center" | ┃ || || align="center" | ┃
|-
| align="center" | 손자<br />(孫)<br />2촌<ref name="직계촌" />2대 || || align="center" | 종손<br />(從孫)<br />4촌 || || align="center" | 재종손<br />(再從孫)<br />6촌 || || align="center" | 3종손<br />(三從孫)<br />8촌 || || align="center" | 4종손<br />(四從孫)<br />10촌 || || align="center" | 5종손<br />(五從孫)<br />12촌
|-
|}
줄 74 ⟶ 76:
{|align="center" cellpadding="1" cellspacing="0" border="0"
|-
| align="center" | 고조<br />(高祖)<br />4대<ref name="직계촌" />
|-
| align="center" colspan="9" | ┣━━━━━━━━━━━━━━━━━━━━━━┓&nbsp;
|-
| align="center" | 증조<br />(曾祖)<br />3대<ref name="직계촌" /> || || || || || || || || align="center" | 증대고모<br />(曾大姑母)<br />5촌
|-
| align="center" colspan="7" | ┣━━━━━━━━━━━━━━━┓ || || align="center" | ┃
|-
| align="center" | 할아버지<br />(祖)<br />2대<ref name="직계촌" /> || || || || || || align="center" | 대고모<br />(大姑母)<br />4촌 || || align="center" | 내재종조<br />(內再從祖)<br />6촌
|-
| align="center" colspan="5" | ┣━━━━━━━━━┓ || || align="center" | ┃ || || align="center" | ┃
줄 90 ⟶ 92:
| align="center" colspan="3" | &nbsp;&nbsp;┣━━━━┓ || || align="center" | ┃ || || align="center" | ┃ || || align="center" | ┃
|-
| align="center" | '''나'''<br />(己)<br />무촌 || &nbsp;&nbsp; || align="center" | 자매<br />(姊妹)<br />2촌 || &nbsp;&nbsp; || align="center" | 내종형제<br />(內從兄弟)<br />4촌 || &nbsp;&nbsp; || align="center" | 내재종형제<br />(內再從兄弟)<br />6촌 || &nbsp;&nbsp; || align="center" | 내삼종형제<br />(內三從兄弟)<br />8촌
|-
| align="center" | ┃ || || align="center" | ┃ || || align="center" | ┃ || || align="center" | ┃ || || align="center" | ┃
줄 122 ⟶ 124:
| align="center" | &nbsp;&nbsp;┃|| || align="center" | ┃ || || align="center" | ┃ || || align="center" | ┃ || || align="center" | ┃
|-
| align="center" | '''나'''<br />(己)<br />무촌 || &nbsp;&nbsp; || align="center" | 이종형제<br />(姨從兄弟)<br />4촌 || &nbsp;&nbsp; || align="center" | 외종형제<br />(外從兄弟)<br />4촌 || &nbsp;&nbsp; || align="center" | 외재종형제<br />(外再從兄弟)<br />6촌 || &nbsp;&nbsp; || align="center" | 외삼종형제<br />(外三從兄弟)<br />8촌
|-
| align="center" | ┃ || || align="center" | ┃ || || align="center" | ┃ || || align="center" | ┃ || || align="center"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