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날 (한국):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내용을 "{{휴일 정보 |휴일이름 = 설날 |제목모양 = 아시아 |그림 = Korean.food-Tteok.mandu.guk-01.jpg |그림크기 = 280px |그림설명 = 설날 아침에 먹..."(으)로 바꿈
잔글 66.27.46.141(토론)의 편집을 Parkswani의 마지막 판으로 되돌림
27번째 줄:
|관련 = [[정월 대보름]]
}}
'''설날'''은 [[추석]]과 더불어 [[한국의 명절]] 중의 하나로 음력 [[정월]] 초하룻날([[음력 1월 1일]])이다. '''설'''이라고도 한다. [[설날]]에는 조상에게 [[차례]]를 지내고, [[친척]]이나 이웃 어른들에게 [[세배]]를 하는 것이 고유의 [[관습|풍습]]이다. 그믐밤에 [[잠]]을 자면 [[눈썹]]이 하얗게 샌다고 하여 [[밤 (시간)|밤]]을 지새우기도 한다. [[차례]]를 지내고 [[세배]]를 한 후에는 [[윷놀이]]·[[널뛰기]]·[[연날리기]] 등 여러 민속놀이를 하며 이 날을 즐겼다. <[[동국세시기]]>에 따르면, 1년 동안 빗질하며 빠진 머리카락을 빗상자 안에 모아 두었다가 [[설날]] 해질 무렵에 태우며 나쁜 병을 물리치길 기원하는 [[관습|풍속]]이 있었다고 한다. 현재 [[설날]]은 음력설 당일을 기준으로 전날과 다음날을 포함해 총 3일간 [[공휴일]]로 지정하고 있다. [[대한민국]]의 경우 [[2014년]]부터 [[대체공휴일]] 적용 대상 공휴일이 되었다.
pingas
 
설날은 [[동지]]로부터 30일 후로 잡으며 현재의 역법으로는 설날이 양력 1월 20일 이전에 오는 것은 절대 불가능하다.
 
== 명칭 ==
설날은 해(年)의 한 간지가 끝나고 새 간지가 시작되는 날로, ‘설’은 ‘설다’, ‘낯설다’, ‘익숙하지 못하다’, ‘삼가다’ 등의 의미에서 유래한 것으로 추측된다.<ref> 그러나 설날의 설은 새로운 한 해를 맞는 날 이라는 뜻의 새로에서 어원을 찾는 것이 합리적이다. 신라의 우리말 서라벌의 사라 사로 등도 새로울 신이 들어간다 세월의 흐름에 따라 서라벌이 서울로 바뀌기도 하였으므로 설날은 새로운 날이라는 의미로 옛말로는 서라날 사라날 사로날이라고 불리웠을 수 있으며 서라벌이 서울이 된 것처럼 서라날에서 설날이 된 것으로 봄이 타당하다.
[http://www.chungnamilbo.com/news/articleView.html?idxno=77233 설날의 어원과 유래] 《충남일보》, 2009.1.22. 2017년 1월 27일 확인.</ref><ref>[http://www.idomin.com/news/quickViewArticleView.html?idxno=110350 민속학자 정정헌 교수에게 듣는 설 이야기], 《경남도민일보》, 2004.1.21.</ref> [[일제 강점기]]에는 [[양력설]]인 [[1월 1일]]을 신정(新正), 본래의 설날을 '''구정'''(舊正)이라고 하였는데, 이는 일본에서 [[와레키]](和曆)를 [[태양력|양력]]으로 바꿀 때 [[음력설]]을 구정(旧正)이라고 부르면서 만든 말이다.<ref name="kookje">{{뉴스 인용 |url = http://www.kookje.co.kr/news2006/asp/center.asp?code=0800&gbn=sr&key=20070216.22028195054&sword1=¸¶¼ú¼î&sword2= | 제목 = 꼬리에 꼬리 무는 설 이야기 |확인날짜= 2009-07-18 |저자 = 김성한 |날짜= 2007-02-15 |출판사 = [[국제신문]] }}</ref>
 
== 유래와 역사 ==
{{양력일요일 날짜|이름=설날(양력)|1|1}}
한국의 설날은 서기 488년 [[신라]] [[소지 마립간|비처왕]] 시절 설날을 쇠었다는 [[삼국유사]]의 기록이 있으며, 이후 [[고려]]와 [[조선]]까지 이어졌다.
 
[[을미개혁]]으로 양력이 도입되면서 [[1896년]]부터 공식적인 새해 첫날의 기능은 [[양력설]]에 내주었다. 1910년 [[한일합방]] 이후 조선문화 말살 정책을 편 [[일제]](日帝)는 조선의 음력설을 없애기 위해 [[조선인]]들이 음력설에 세배를 다니거나 설빔을 차려입은 경우에는 먹물을 뿌려 옷을 얼룩지게 하고 떡 방앗간을 돌리지 못하게 경찰을 동원해 감시하는 등 온갖 탄압과 박해를 가하였으나, 음력설을 쇠는 풍습을 없애지는 못했다.
 
[[광복]] 이후 [[대한민국]]에서도 40여년간 음력설은 명절로서 대접받지 못하고 양력 1월 1일부터 1월 3일까지를 공휴일로 지정하였다. 특히, [[이승만]] 정부와 [[박정희]] 정부는 이중과세(二重過歲)라는 이유로 사기업체의 휴무에 불이익을 주면서까지 음력설을 없애려 하였고, 양력설에 차례를 지낼 것을 권장하여 [[서울]] 등 대도시의 일부 가정에서는 양력설을 쇠는 풍토가 생겨났다.
 
그러나, 대부분 가정에서는 여전히 음력설에 차례를 지내는 전통을 유지했기 때문에 음력설도 공휴일로 지정하여 이러한 전통을 존중해야 한다는 의견이 대두되면서 정부는 [[1985년]]부터 [[1988년]]까지 '''민속의 날'''이라는 이름으로 [[음력 1월 1일]] 하루를 공휴일로 지정하였다. [[6월 항쟁]] 이후 집권한 [[노태우]] 정부는 민족 고유의 '''설날'''을 부활시켜야 한다는 여론을 받아들여 [[1989년]]에 음력설을 '설날'로 하고, [[섣달그믐]](음력 12월 말일)부터 [[음력 1월 2일]]까지 3일 간을 공휴일로 지정하였다.<ref name="kookje"/><ref name="munhwa">{{뉴스 인용| url = http://www.munhwa.com/news/view.html?no=2005020701012130060002| 제목 = 설,일제 탄압...5공때야 ‘민속의 날’로|확인날짜= 2008-05-08|저자 = 한강우| 저자링크 = | 날짜= 2005-02-07|뉴스= 문화일보|쪽= |원본url= |인용= }}</ref><ref name="columnist">{{웹 인용| url = http://columnist.org/ref/2003/20030129.htm| 제목 = [칼럼니스트] 제588호 2003.01.29 - ■ 설의 유래와 세시풍속 - 그때 그 시절의 설이 그립다|확인날짜= 2008-05-08|저자 = 이규섭| 저자링크 = | 날짜= 2003-01-29|웹사이트= |쪽= |원본url= |인용= }}</ref><ref name="nfm1">{{웹 인용| url = http://www.nfm.go.kr/data/f2_1mon.jsp| 제목 = 국립민속박물관 - 열두달 세시풍속 : 설날|확인날짜= 2008-05-08|저자 = | 저자링크 = | 날짜= |웹사이트= 국립민속박물관|쪽= |원본url= |인용= }}</ref>
 
=== 공휴일 지정 ===
[[대한민국]]에서는 [[1985년]]부터 [[1988년]]까지 음력설을 [[공휴일]]로 하였고, [[1989년]]부터 설날을 3일 연휴([[섣달그믐|음력 12월 말일]]부터 [[음력 1월 2일]]까지)로 하고 있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는 [[1967년]]부터 음력설을 공휴일로 하였고, 현재는 단지 휴식일의 개념으로써 하루만 공휴일로 지정하고 있다.<ref>{{https://www.google.co.kr/amp/s/www.bbc.com/korean/amp/news-47112449}}</ref> 북한은 양력 1월 1일을 설날이라 하여 더 중요시 여기고 있다.
 
== 풍습 ==
{{출처 필요 문단|날짜=2014-1-1}}
=== 차례 및 세배 ===
[[파일:Korean Tradition Bow.jpg|섬네일|큰절]]
집안에 따라 [[종교]]나 [[가풍]]에 따라 다른 경우도 있지만, 보통 설날 아침에는 전통적으로 [[차례]]를 지내고, [[떡국]]을 먹는다. 설날에 떡국을 먹는 것이 나이를 한 살 더 먹는다는 의미가 있다.
 
차례를 지내고 난 후에는 친척이나 이웃 웃어른들에 [[세배]]를 한다. 세배는 웃어른에게 감사의 마음을 표현하고 건강을 기원하는 의미가 담겨 있다. 세배를 받은 웃어른들은 아랫사람에게 답례로 [[세뱃돈]]이나 덕담을 해준다.
 
=== 설빔 ===
설날에 남자·여자·늙은이·젊은이·어린이 할 것 없이 모두 일찍 일어나 세수하고 갈아입은 새옷을 '''설빔'''이라고 하며, '세장'이라고도 한다. 설빔은 섣달 그믐 이전에, [[색깔]]이 있는 화려한 옷으로 마련하여 대체로 대보름까지 입는다.
 
=== 설음식 ===
설날 차리는 음식은 '세찬(歲饌)', 술은 '세주(歲酒)'라고 한다. 설날이 되면 여러 가지 음식을 만들어 먹고, 세배하러 온 손님에게도 대접하는데, 이때 반드시 [[떡국]]을 차린다. 흰쌀을 빻아 만든 떡국은 설날 아침 제사지낼 때 제물(祭物)로 차리거나 손님에게 차려 내는데, 새해 때마다 떡국을 먹으므로 아이들이 나이를 물을 때 "떡국 몇 그릇 먹었느냐?"고 묻기도 한다. 설날 흰떡을 사용하여 떡국을 만드는 것은 새해 첫날이 밝아오므로 밝음의 뜻으로 흰떡을 사용하고, 떡국의 떡을 둥글게 하는 것은 둥근 태양을 상징하는 등 태양숭배 사상에서 유래된 듯하다.<ref>{{글로벌세계대백과사전2}}</ref>
 
설날에는 떡국외에도 쇠고기 산적, 떡갈비, 식혜, 수정과등을 먹는다.
 
=== 놀이 ===
[[파일:Korea Traditional Game Tuho.jpg|섬네일|210px|투호]]
한국인의 생활방식이 [[도시]]를 중심으로 옮겨가면서 [[전통 놀이]] [[문화]]는 점차 사라지거나 바뀌고 있다. 일부 가정에서는 [[화투]]를 하기도 하며, 현대적인 놀이문화를 즐기거나 [[여행]]을 가기도 한다. 전통적인 설날의 놀이는 다음과 같다.
 
* [[윷놀이]]: 남녀노소, 빈부귀천 없이 즐기는 놀이이다. 윷을 던져 나온 수대로 여러 개의 말을 움직여 정해진 길을 돌아오는 놀이이다.
* [[말판놀이]]: 관직 등을 단계적으로 그려 놓고 윷이나 주사위를 던져 목적한 칸까지 도달하는 놀이이다. 길 중간에는 다양한 함정이 있다.
* [[널뛰기]]: 짚단이나 가마니 위에 두꺼운 판자를 놓고 양쪽에서 번갈아 발을 굴러 높이 뛰는 놀이이다.
* [[연날리기]]: [[연]]을 만들어 연줄에 묶고 바람에 날려 높이 띄운다. 상대방의 줄을 끊는 연싸움을 벌이기도 한다. 연에는 '액(厄)'자를 써서 날려보낸다.
* [[제기차기]]: [[엽전]]이나 주화를 [[한지]]나 [[비단]]에 싸고 끝을 찢어 만든 제기를 땅에 떨어뜨리지 않고 차는 놀이이다.
* [[팽이치기]]: [[팽이]]를 실로 쳐 회전이 멈추지 않도록 돌리는 놀이이다.
* [[투호]]: [[화살]]을 던져 [[단지]]에 많이 넣는 놀이이다.
 
== 복의 기원과 액막이 ==
=== 점복 ===
{{참조|점복}}
설날에는 1년의 운수를 점친다.
* 토정비결: 토정 [[이지함]]이 [[주역]]을 참조하여 만들었다고 전해진다. 생년월일을 따져 한해의 운수를 본다.
* 청참: 새해 첫새벽에 사람 소리나 짐승 소리 등 그날 처음 듣는 소리로 점을 치는데 그걸 청참이라고 한다. 청참은 자기의 신수를 점친다.
* 오행점: 나무판이나 엽전에 오행(금, 나무, 물, 불, 흙)의 글자를 새겨 점을 본다.
* 윷점: 윷을 던져 점을 본다.
이 외에, 설날 또는 그 수일 간의 날씨를 살펴 한 해의 운수를 점치는 풍습이 각 지방에 남아 있다.
 
=== 복조리 ===
{{본문|복조리}}
설날 이른 아침 또는 섣달 그믐날 밤 자정이 지나서, 대나무를 가늘게 쪼개어 엮어서 만든 조리를 사서 벽에 걸어 두는 풍습이 있는데, 이것을 복조리라고 한다.
전국에서 조리 장사가 이것을 팔기 위하여 초하루 전날 밤부터 밤새도록 인가 골목을 돌아다닌다. 이러한 풍속은 조리가 쌀을 이는 기구이므로 그해의 행운을 조리로 일어 취한다는 뜻에서 비롯 된 것으로 볼 수 있다.
또 설날에 1년 동안 사용할 조리를 그 수량대로 사서 방 한쪽 구석이나 대청 한 귀퉁이에 걸어 두고 하나씩 사용하면 1년 동안 복이 많이 들어온다는 민간 신앙도 있다.
 
=== 야광귀 ===
설날 밤에 야광이란 귀신이 사람들이 사는 마을로 내려와 아이들의 신을 신어 보고 발에 맞으면 신고 간다는 속설이 있다. 신을 잃어버린 아이는 그해 운수가 불길하다고 하여 모두들 신을 감추고 일찍 잠자리에 든다. 그리고 체를 마루 벽이나 대문 위에 걸어 두면 야광귀가 와서 체의 구멍을 세느라고 아이들의 신을 신어 볼 생각을 못하고 있다가 날이 밝으면 도망쳐 버린다고 한다.
 
== 같이 보기 ==
* [[양력설]]
* [[정월 대보름]]
* [[추석]]
* 다른 문화권의 [[설날]]
 
== 각주 ==
{{각주}}
 
{{한국의 명절}}
{{한국의 민간풍속}}
{{대한민국의 공휴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휴식일}}
 
{{기본정렬:설날,한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