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빛내리: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Todie4u (토론 | 기여)
잔글 수상 경력 추가
Todie4u (토론 | 기여)
잔글 출처 표시
46번째 줄:
김빛내리 박사는 microRNA의 생성 경로를 밝힌 것으로 가장 잘 알려져 있다. 2002년에 microRNA의 생성에 대한 새로운 이론을 제시하였고, 이어 microRNA의 생성인자인 드로셔 (Drosha), DGCR8, RNA 전사효소 II, PACT 등을 동정하였다. 김 박사의 연구는 microRNA를 통한 유전자 및 세포 조절을 이해하는 데에 크게 기여하였고, RNA간섭 기술을 발전시키는 데 큰 역할을 하였다. 또한 배아줄기세포에서 만들어져 줄기세포 유지를 도와주는 microRNA를 발견하였으며, 줄기세포에서 microRNA가 어떻게 조절되는지를 밝힘으로써, 줄기세포의 유전자 조절에 대한 이해를 넓혔다. 암세포의 성장과 사멸을 조절하는 microRNA를 발견하여 암생물학의 발전에도 기여하였다. </br>
 
김빛내리 박사는 1998년 옥스퍼드 대학에서 박사학위를 수여받았으며, 박사학위과정에서는 레트로바이러스를 이용한 유전자치료법을 개발하였다. 이후 미국 펜실바니아대학에서 박사후연구원으로서 일하면서, 스플라이싱과 RNA 분해를 이어주는 연결고리인 Y14의 기능을 밝혔다. 2001년 서울대에 부임한 후 microRNA 연구를 시작으로 RNA를 통한 유전자 조절을 연구하고 있다. 2008년에는 로레알-유네스코 여성과학자상을 수상했다.<ref>{{웹 인용|url=http://portal.unesco.org/en/ev.php-URL_ID=42017&URL_DO=DO_TOPIC&URL_SECTION=201.html|제목=L’OREAL-UNESCO Awards 2008 40 women scientists from around the world sign the Charter of Commitment “For Women in Science”|확인날짜=2019-03-08}}</ref> 2010년 국가과학자 및 서울대학교 중견석좌교수로 선정되었고 2012년 기초과학연구원(IBS) RNA 연구단장으로 선정되어 현재 기초과학연구원 RNA연구단장 및 서울대학교 교수로 근무하고 있다. </br>
 
== 발표 논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