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의용군: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TedBot (토론 | 기여)
잔글 봇: 외부 링크 정리
편집 요약 없음
6번째 줄:
|참전=[[중일전쟁]]
|기=
|그림= 조선의용군선전벽보.jpg
|그림=
|그림설명= 조선의용군 대원이 중국어 선전 벽보를 작성하고 있다. "중한 양민족이 연합하여 일본 강도를 타도하자 - 조선의용군"
|그림설명=
|활동=1941년 ~ 1945년
|이념=[[한국 민족주의]]<br />[[공산주의]]
23번째 줄:
|웹사이트=
}}
 
'''조선의용군'''(朝鮮義勇軍)은 [[1942년]] [[조선의용대]] 화북지대(華北支隊)를 개편한 [[조선독립동맹]]의 당군(黨軍)이다.
'''조선의용군'''(朝鮮義勇軍)은 [[1942년]] [[조선의용대]]의 [[화베이|화북]]지대를 개편하여 결성한 [[조선독립동맹]]의 당군(黨軍)이다. [[타이항산]]을 근거지로 [[일본 제국주의]]가 패망할 때까지 무장 투쟁을 하였고 [[제2차 세계대전]]이 종결된 후 해산하여 상당수가 [[조선인민군]]에 편입되었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수립 당시 [[연안파]]로 불리며 정치 세력을 형성하였지만 한국전쟁 이후 1958년까지 숙청되었다.
 
== 배경 ==
{{참조|조선의용대}}
1937년 [[제2차 국공합작]]이 이루어진 뒤 중국 내에서 독립운동을 하던 [[조선민족혁명당]], [[조선청년전위동맹]], [[조선민족해방동맹]], [[조선무정부주의자연맹]]은 [[후베이성]] [[우한]]에서 연석회의를 갖고 [[조선민족전선연맹]]을 창립하였고 산하 무장 세력으로 [[조선의용대]]를 결성하였다.<ref name="한겨레2014">[http://www.hani.co.kr/arti/politics/defense/653714.html 중공 승리해야 조선 해방 - 조선인에게 투항이란 없었다], 한겨레, 2014년 9월 1일</ref> 조선민족혁명당은 일찌기 [[의열단]] 활동을 이끌던 [[김원봉]]을 위수로 하고 있었고, 조선민족해방동맹은 [[김산]] 등을 주축으로 1936년 결성되었다. 한편, 당시 한구에는 이미 [[최창익]]이 이끄는 공산주의 계열의 조선청년전시복무단 50여명이 활동하고 있었고 이들 역시 조선의용대로 개편되었다.<ref>[http://www.krcnr.cn/zt/bxzj/201111/t20111105_159491.html 조선의용대의 창건], 중국조선어방송넷, 2011년 11월 5일</ref> 김원봉을 총사령으로 한 조선의용대는 국공합작에 따라 [[장제스]]가 위원장으로 있던 중국 군사위원회의 지휘를 받았고 직접적인 교전 보다는 항일 선무 공작이 주된 임무였다.<ref name="한겨레2014" />
 
1938년 6월 [[일본군]]이 [[우한]]에 대한 공격을 시작하여 [[우한 전투]]가 시작되었다. 우한 전투는 국공합작 이후 처음으로 일어난 중국과 일본 사이의 대규모 전투였다. 전황이 불리하게 돌아가자 10월 24일 장제스는 우한 철수를 명령하였고 이에 따라 조선의용대 역시 철수하였다. 그 뒤 조선의용대는 전황에 따라 여러 곳으로 분산하여 이동할 수 밖에 없었다.<ref>[http://www.krcnr.cn/zt/bxzj/201111/t20111116_162917.html 정면전장에서의 조선의용대], 중국조선어방송넷, 2011년 11월 16일</ref>
 
== 창설과 증원 ==
{|class="toccolours" style="float: right; margin-left: 1em; margin-right: 2em; font-size: 85%; background:#white; color:black; width:30em; max-width: 40%;" cellspacing="5"
|style="text-align: left;"|
<poem>
중국의 광할한 대지 위에 조선의 젊은이 행진하네
발을 맞춰 나가자 다 앞으로
지리한 어둔 밤이 지나가고 빛나는 새 아침이 닥쳐오네
우렁찬 혁명의 함성 속에 의용군 깃발이 휘날린다
나가자 피끓는 동포야 뚫어라 원수의 철조망
양자와 황하를 뛰어넘고 피묻은 만주벌 결전에
원수를 동해로 내어 몰자 전진 전진 광명한 저 앞길로.
</poem>
|-
|style="text-align: right;" |— 조선의용군가, [[정율성]]<ref>[http://star.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2514391 최후까지 총을 든 조선의용대(군)], 오마이뉴스, 2019년 2월 26일</ref>
|}
 
조선의용대의 총사령은 김원봉이었으나 우한 퇴각 이후 여러 곳에 분산되어 있던 지대들은 독자적인 행동을 하고 있었다.<ref name="우리역사넷">[http://contents.history.go.kr/front/tg/view.do?treeId=0106&levelId=tg_004_2760&ganada=&pageUnit=10 조선 의용군], 우리역사넷</ref> 국민당 정권은 조선의용대에게 포로의 심문 등의 역할을 부여하였으나 직접 교전에 참여시키지는 않았다. 조선의용대 내에서는 전투를 하지 못하는 것에 대한 불만이 일었다.<ref name="통일부블로그">[https://unikoreablog.tistory.com/6548 조선인민군(북한군) 창설의 핵심부대, '조선의용군'], 통일부 블로그</ref> 1939년 최창익은 자기 휘하의 부대를 이끌고 중국 공산당의 근거지인 [[옌안]]으로 이동하여 옌안의 조선인 사회주의자들과 함께 화북조선청년연합회를 결성하였다. 한편 화베이 지역의 [[중국 국민당]] 지휘 아래 있던 조선의용대는 국민당 내의 반공주의에 의한 희생을 우려하여 중국 공산당 주력 부대의 근거지인 타이항산으로 이동하였다. 두 세력은 1941년 7월 조선의용대 화북지대로 재편되었다.<ref name="우리역사넷" /> 조선의용대 화북지대가 설립된 타이항산의 동욕진 상무촌은 현재 중국의 역사 사적으로 관리되고 있다.<ref name="조선어방송넷20151117">[http://www.krcnr.cn/gbmk/cs/201511/t20151117_984717.html 불멸의 발자취(70)—동욕진 상무촌의 사적지], 중국조선어방송넷, 2015년 11월 17일</ref> 한편, 의열단 기념사업회 측에서는 김원봉이 화북지대에 합류하지 못한 것을 최창익의 견제때문이라고 본다.<ref name="의열단기념사업회">[http://www.justicekorea.org/bbs/content.php?co_id=cont3_1 조선의용군], 조선의열단 기념사업회</ref>
 
타이항산의 조선의용대 화북지대 인원은 147명이었고 주요 임무는 선전 공작이었으나 일본군과의 교전도 여러 차례 있었다.<ref name="조선어방송넷20151117" /> 특히 1941년 12월 12일 있었던 [[호가장 전투]]는 29명의 조선의용군이 500여 명의 일본군에 맞서 싸운 격전으로<ref>[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78255 호가장전투], 한국민족대백과사전</ref> 중국 공산당의 기관지 《해방일보》가 전황을 보도하여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ref name="주간경향2008">[http://weekly.khan.co.kr/khnm.html?mode=view&code=116&artid=18728 현대사 아리랑 -백발백중 조선의용군 총사령 무정 (하)], 주간경향, 2008년 11월 18일</ref>
 
1942년 [[충칭]]에 있던 조선의용대 본대가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군사인 [[광복군]]으로 편입되자 화북조선청년연합회는 조선독립동맹으로 조직을 개편하고 주석으로 [[김두봉]]을 선출하였다. 김두봉은 [[주시경]]의 제자로 한글 운동가이기도 하였다.<ref name="코리아히스토리타임즈">[http://www.koreahiti.com/news/articleView.html?idxno=3116 조선의용군 대장, 김두봉의 국어독립투쟁], 코리아 히스토리 타임즈, 2018년 8월 3일</ref> 또한 조선의용대 화북지대를 자신들의 당군인 조선의용군으로 재편하였다.<ref name="우리역사넷" /> 건립 초기 조선의용군은 독립적인 지휘권을 갖는 부대였으나 1943년 이후 [[팔로군]]의 지휘를 받았다.<ref>김광재, 〈조선의용군과 한국광복군의 비교 연구〉, 《사학연구》 제84호, 2006년 12월</ref> 조선의용군의 창설은 조선독립동맹의 입장에서 보면 무력 항쟁을 통한 독립의 달성이라는 염원의 실현이었으나 중국 공산당의 입장애선 당시 소련의 지원을 받으며 만주에서 활동하였던 [[동북항일연군]]에 대한 대응 가운데 하나였고 또한 국민당의 영향 아래 놓여있던 광복군에 대한 경쟁 의식 역시 작용하였다.<ref name="장세윤">장세윤, 〈해방 전후시기 만주지역 조선의용군과 동북항일연군의 동향〉, 《한국근현대사연구》 제42집, 2007년</ref>
 
조선의용군의 총사령은 [[옌안]]에 자리 잡고 있던 [[김무정]]이었고 화북지대를 실제 지휘한 지대장은 [[박효삼]] 이었다.<ref name="중국조선어방송넷20120823">[http://www.krcnr.cn/zt/bxzj/201208/t20120823_373195.html 불멸의 발자취(66)—조선의용군 화북지대 창설지], 중국조선어방송넷, 2012년 08월 23일</ref> 1943년 말 연안으로 이동한 후 계속하여 일제와 무장투쟁을 전개하자 주변의 조선인들이 입대하여 병력이 크게 늘었다. 조선의용군은 1944년 9월 화북조선청년군사정치간부학교, 10월 조선군정학교 산동분교, 1945년 2월 연안 조선군사정치학교 등을 잇달아 개설하여 간부를 양성하였고 1945년 5월 무렵 조선의용군의 장교는 850여 명에 이르렀다.<ref name="우리역사넷" /> 조선의용군은 타이항산을 거점으로 허베이의 [[산둥성|산동]], [[산시성 (섬서성)|섬서]] 등지에 분대를 파견하였고, [[신사군]]이 결성된 이후에는 [[화중]] 지역에 대원을 파견하였다.<ref name="중국조선어방송넷20120823" />
 
== 활동 ==
 
=== 선무 공작 ===
조선의용군의 주요 임무는 화북 일대의 선무 공작이었다. 이들은 일본군 점령 지역의 건물에 벽보를 쓰고, 한중일 3개 국어로 작성된 전단을 살포하였다. 당시 일을 기억하고 있는 허베이 성의 노인은 "적이 몇 십분 거리에 있어도 할 일은 다 했다"고 조선의용군의 활동을 전하였다.<ref>[https://news.joins.com/article/3971209 조선의용대 ‘일본군벌 타도’ 깃발 들고 항일 전쟁 시작], 중앙일보, 2010년 1월 16일</ref>
 
=== 호가장 전투 ===
호가장 전투는 조선의용군이 아직 조선의용대 화북지대로서 유지되고 있을 때 있었던 일본군과의 전투이다.<ref name="한민족대백과_호가장전투">[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78255 호가장전투], 한국민족대백과사전</ref> 1941년 12월 화북지대는 원씨현, 북영, 왕가장 등을 돌며 선무활동을 벌이고 일본군의 보루를 불태우는 활동을 하였다. 12월 11일 선옹채에서 일본군과 마주쳐 교전을 벌였고 별다른 사상자 없이 활동을 이어갔다.<ref>[http://korean.people.com.cn/68167/105247/15287751.html 호가장전투], 인민넷, 2013년 1월 22일</ref>
 
다음 날인 12월 12일 허베이성 원씨현 호가장 일대에서 선전활동을 벌인 제2대 대원 29명은 마을에서 하룻밤을 묵었다가 일본군 500여 명에게 포위되었다.<ref name="주간경향2008" /> [[박철동]] 대원이 포위를 뚫고 팔로군에 지원을 요청하러 간 사이 [[김학철 (1916년)|김학철]]은 다리에 총상을 입고 체포되었다.<ref name="중국조선어방송넷20121112">[http://www.krcnr.cn/ztbd/sbd/dy/201211/t20121112_407278.html 중국 조선족문학의 로장―김학철(1916—2001)], 중국조선어방송넷, 2012년 11월 12일</ref> 2대 대원들은 격렬히 저항하다 지원을 나온 팔로군과 함께 포위를 뚫었으며 추격해 오는 일본군과 교전을 계속하며 귀대하였다. 12월 28일 싱타이에서 다시 교전이 벌어져<ref name="통일부블로그" /> 이 전투로 [[손일봉]], [[최철호 (1915년)|최철호]], [[왕현순]], 박철동이 전사하고 대장 [[김세광]]과 분대장 [[조열광]], 대원 [[장례신]]이 부상당하였다. 한편 일본군은 전사 18명 부상 32명을 기록하였다.<ref name="한민족대백과_호가장전투" />
 
체포된 김학철은 교전당사자로 인정받지 못하고 "치안유지법"을 위반 한 혐의로 재판을 받아 10년형을 선고받고 [[나가사키 형무소]]에 수감되었다가 [[광복절|8·15]]를 맞아 석방되었다.<ref name="중국조선어방송넷20121112" /> 호가장 전투에서 전사한 4 명의 대원은 황페이핑 촌에 묻혔으며 조선의용군 묘지가 사적으로 인정되기 전까지 마을 주민이 이들 묘를 돌봤다.<ref>[http://www.jlcxwb.com.cn/area/content/2012-12/26/content_100866.htm 태항산조선민족영렬들8 - 조선의용군전사들의 무덤 누가 지키나], 길림신문, 2012년 12월 26일</ref> 2002년 사적지로 지정된 뒤에는 기념비가 세워져 있다. 1993년 손일봉과 최철호에게 대한민국 건국 훈장 애국장이 추서되었다.<ref name="월간중앙">[https://jmagazine.joins.com/monthly/view/317663 대한독립운동 중국 현지 답사기(7) - 조선의용군의 근거지였던 타이항산을 가다], 월간중앙, 2017년 8월호</ref>
 
=== 타이항산 전투 ===
1942년 2월 일본군은 허베이 지역의 항일 무장 세력을 섬멸하고자 타이항산에 대한 공격을 시작하였다. 5월이 되자 일본군 41사단이 타이항산을 완전 포위하게 되었고 팔로군과 조선의용군은 퇴각을 위해 퇴로를 확보해야만 하였다.<ref name="중국조선어방송넷20151117002">[http://www.krcnr.cn/gbmk/cs/201511/t20151117_984715.html 불멸의 발자취(68)—5월의 혈전], 중국조선어방송넷, 2015년 11월 17일</ref> 이 전투에서 팔로군은 부참모장 쭤취안이 전사하였고(그 지역은 오늘날 [[쭤취안현]]<ref>[https://mpva.tistory.com/1875 제8기 독립정신 답사단 - 2탄] 조선 의용군의 발자취를 따라서 Part 2], 국가보훈처 블로그</ref>으로 불린다) 조선의용군은 [[윤세주]]와 [[진광화]]를 비롯한 10여 명이 전사하였다.<ref name="중국조선어방송넷20151117002" /> 전투 이후 쭤취안과 윤세주, 진광화의 장례가 치러졌고 팔로군 사령관 [[주더]]가 추도사를 낭독하였다.<ref>[http://oversea.i815.or.kr/country/print.php?m_no=CN00319 조선의용군 열사기념관], 독립기념관</ref>
 
=== 진서북 전투 ===
1942년 11월 13일 조선의용군은 [[산시성 (산서성)|산서]]의 서쪽 산악인 [[뤼량산맥]]에 위치한 진서북에 분대를 차렸다. 분대의 책임자는 [[김세광]]이었고 조직담당자는 [[문명철]]이었다. 창설 이후 수 차례 일본군과 교전하던 진서북 분대는 1943년 4월 14일 수백명의 일본군에 포위되었고 전투 중에 문명철이 전사하였다. 문명철은 전라남도 사람으로 항일 투쟁을 위해 [[황푸 군관학교]]에 입교하였으며 1941년 국민당 관구내에서 조선의용대에 합류한 이래 계속하여 조선의용군의 장교로서 활동하였다.<ref name="중국조선어방송넷20120823" />
 
== 해방 이후 ==
1945년 8월 일제의 패망을 예견한 김두봉은 조선의용군 4개 대대를 이끌고 압록강으로 향했다. 그러나 미처 국경을 넘기 전에 일본은 무조건 항복을 하였고, 소련 군정은 압록강을 넘어온 조선의용군을 인정하지 않고 무장해재 하였다.<ref name="코리아히스토리타임즈"/><ref name="주간경향2008" /> 김무정을 비롯한 지휘관 100여 명 역시 1945년 12월 개인 자격으로 입국하였다. 김무정을 비롯한 조선의용군 출신은 [[연안파]]라 불리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수립 초기 주요 정치 세력을 형성하였고<ref>[https://news.joins.com/article/2648413 무정… 비운의 혁명가:하(비록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14)], 중앙일보, 1991년 10월 10일</ref> [[조선인민군]]이 만들어 진 뒤 다수가 인민군에 편입되었다.<ref name="통일부블로그" />
 
한편, 중국에 남아 있던 조선의용군은 [[국공내전]]에 휘말렸다. 옌안에 남아있던 대원들은 중국 공산당의 명령에 따라 만주로 이동하였으며 [[옌볜 조선족 자치주|옌볜]]으로 집결하여 조선인을 보호하는 활동을 하였다.<ref>[http://www.laborsbook.org/dic/view.php?dic_part=dic02&idx=4818 조열광], 노동자의 책</ref> 조선의용군의 옌볜 주둔은 이후 조선족 자치주 형성의 배경이 되었다.<ref name="장세윤" />
 
[[한국 전쟁]]이 일어나자 김무정은 조선인민군 2사단장이 되어 남침을 지휘하였으나 [[낙동강 전선]]에서 패퇴하게 되자 강등되어 자강도 지역으로 배치되었고 얼마 지나지 않아 숙청되었다. 무정 숙청 이후 남은 연안파 역시 한국 전쟁 이후인 1958년 [[김일성]]에 의해 숙청되었다.<ref name="의열단기념사업회" />
 
== 주요 인물 ==
* [[김두봉]] - [[대종교]] 출신의 공산주의자로 조선독립동맹의 주석이 되어 조선의용군의 최고 책임자로서 활동하였다.
* [[김무정]] - 조선의용군 총사령으로 해방뒤 조선인민군의 지휘관이 되었다.
* [[윤세주]] - 김원봉과 함께 의열단 활동을 하다 조선의용대를 거쳐 조선의용군이 되었다. 태항산 전투 중에 전사하였다.
* [[김학철 (1916년)|김학철]] - 조선의용대 화북지대 분대장. 호가장 전투에서 총상을 입고 체포되어 나가사키 형무소에서 복역하였고 제때 치료를 받지 못하여 다리를 절단하였다. 해방 이후 이북으로 귀환하였으나 김일성에 환멸을 느끼고 중국으로 망명하여 소설가로서 활동하였다. [[문화대혁명]] 때 필화를 겪고 24년간 수감되었다.
* [[이화림]] - 조선의용대 여자복무단 부대장. 의사가 되어 1943년 봄부터 조선의용군의 군의로서 활동하였다.<ref>[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46595 이화림], 한민족대문화백과사전</ref>
* [[정율성]] - 조선혁명군사정치학교를 나와 조선의용군으로서 타이항산 전투에 참전하였다. 〈조선의용군가〉, 〈[[중국인민해방군 군가|팔로군 행진곡]]〉 등을 작곡하였다.<ref>조응순, 〈음악가 정율성의 삶과 예술가의 윤리〉, 《국악교육》 제40집, 2015년</ref>
 
== 기념 ==
2002년 대한민국 순국선열 유족회와 중국 짠황현 황베이핑촌 인민정부가 공동으로 조선의용군 타이항산 지구 항일전 순국선열 기념비를 건립하였다.<ref name="월간중앙" /> 2004년에는 조선의용군 본부가 있던 타이항산에 조선의용군열사기념관이 건립되었다.<ref>[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2181434&CMPT_CD=TAG_PC 도올이 무덤 앞에서 오열했던 곳 - 조선의용대(군)의 항일 투쟁의 마지막 전투지 태항산맥을 걷는다②], 오마이뉴스, 2016년 2월 12일</ref> 기념관은 100 ㎡ 규모로 관련 사료를 한국어와 중국어로 전시하고 있다.<ref>[http://news.mk.co.kr/newsRead.php?sc=30000021&year=2015&no=720798 광복70년 - 중국에서 북한까지…조선의용군의 여정], 매일경제, 2015년 7월 28일</ref>
 
옌안 시기의 유적으로는 조선혁명군정학교와 [[정율성]] 기념비가 있다.<ref>[http://overseas.mofa.go.kr/cn-xian-ko/brd/m_773/view.do?seq=710323&srchFr=&srchTo=&srchWord=&srchTp=&multi_itm_seq=0&itm_seq_1=0&itm_seq_2=0&company_cd=&company_nm=&page=4 연안의 조선의용군 유적지], 주시안 대한민국 총영사관</ref>
 
2019년 인천문화재단의 인천아트플랫폼은 [[3·1운동]] 100주년을 맞아 조선의용군 관련 사진을 전시하였다.<ref>[http://www.incheontoday.com/news/articleView.html?idxno=113302 인천아트플랫폼, 조선의용군 희귀사진 최초 공개], 인천투데이, 2019년 2월 19일</ref>
 
== 참고 문헌 ==
* 염인호, 한국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 편, 조선의용대・조선의용군,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isbn|978-89-9302-653-5}}
 
== 외부 링크 ==
*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52177 조선의용군]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http://contents.history.go.kr/front/tg/view.do?treeId=0106&levelId=tg_004_2760&ganada=&pageUnit=10 조선 의용군], 우리역사넷
 
== 같이 보기 ==
* [[조선의용대]]
* [[광복군]]
* [[동북항일연군]]
 
== 각주 ==
{{각주}}
 
[[분류:한국의 독립운동단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