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굉필: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1 개의 출처 구조, 1 개의 링크를 깨진 것으로 표시 #IABot (v2.0beta10ehf1)
편집 요약 없음
25번째 줄:
[[김종직]]의 문하에서 수학하다가 [[1480년]](성종 11) 식년과 생원시와 초시에 합격하고, 다시 [[성균관]]에 들어가 유생으로 수학하였다. [[1494년]](성종 25년) [[훈구파]] 출신 [[경상도]][[관찰사]] [[이극균]](李克均)에 의해 유일(遺逸)로 천거되어 출사하여 주부(主簿), [[사헌부]]감찰, [[형조]][[좌랑]] 등을 지냈다. [[1498년]] [[무오사화]]가 일어나자 연좌되어 [[평안도]] 희천에 유배되었는데, 그곳에서 지방관으로 부임한 [[조원강]]의 아들 [[조광조]](趙光祖)를 만나 학문을 전수하였다. [[무오사화]] 때 유배되어 [[희천군]] 시장에서 사형되었다. [[중종 반정]] 후 복권되어 [[승정원]][[도승지]]에 추증되고, [[1517년]] 증 [[우의정]], [[1575년]] 증 [[영의정]]에 거듭 [[추증]]되었다.
 
그는 [[1484년]] [[10월]] 스승 [[김종직]]이 [[이조]][[참판]]이 된 뒤에도 [[훈구파]]에 대해 간하지 않자, 이를 계기로 풍자시를 지었다가 [[김종직]]과 결별하게 되었다. 그 자신도 [[조광조]]·[[이장곤]]·[[주계정 이심원]]·[[김안국]]·[[이연경]] 등의 제자들을 배출했으며, [[김종직]] 사후 사림의 영수로 추대되었다. 김굉필의 문인들과 이들의 학통은 후대에 가서 [[조광조]], [[백인걸]]의 학통과 함께 기호 사림파를 거쳐 [[서인]]학파를 이루게 되었다. 《소학》을 행동의 근간으로 삼아 《소학》을 알지 못하고는 사서육경을 알 수 없다고 주장하기도 하였다. [[본관]]은 [[서흥 김씨|서흥]](瑞興)이며, [[한성부]] 출신이다. [[문묘]]에 종사된 [[동방 18현|해동 18현]] 중의 한 사람이다. [[한성]] [[정릉동]] 출신.
 
== 생애 ==
=== 생애 초반 ===
한훤당 김굉필은 [[1454년]] [[한성부]] 정동에서 어모장군 행충좌위사직(禦侮將軍 行忠佐衛司直) 김유(金紐)와 한승순의 딸 청주한씨의 아들로 [[한성부]] [[정릉동]]에서 태어나, 집안을 따라 [[달성군]] [[현풍]]으로 이주, 그 곳에서 성장했다. 그리하여 일설에는 그의 고향을 [[대구광역시]]나 [[경상북도]]로 보기도 한다. 만년에는 [[경상남도]] [[합천군|합천]]에 정착했다.
 
만년에는 [[경상남도]] [[합천군|합천]]에 정착했다.
영남의 유학자 [[김종직]] 문하에서 수학하던 중 어느날 《소학》의 어느 글귀를 읽고 깊이 감동한다. 이후 [[소학]]을 읽고 스스로 "소학동자"라 일컬었고 평소 학문을 깊이 연구하여, [[길재]], [[김숙자 (1389년)|김숙자]], [[김종직]]으로 이어지는 성리학의 학문 전통을 이어, 성리학에 능하였으며 실천 궁행을 위주로 하는 학자가 되었다.<ref name="글로벌 서울 김굉필"> 《[[글로벌 세계대백과]]》〈[[:s: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한국지리/중부지방-남부지방/서울특별시/서울의 사회·문화#김굉필|김굉필]]〉 </ref> 그는《소학》을 행동의 근간으로 삼아 《소학》을 알지 못하고는 학문을 할 수 없고, 사서육경을 알수 없다고 주장하기도 하였다.
 
=== 수학과 청년기 ===
그는 남들보다 늦은 나이에 학업을 시작하여 고민하였으나 [[김종직]]은 그에게 학문을 하는데 있어 늦고 빠른 것은 없다며 자신은 새벽에 닭이 울 때 일어나 세수하고 앉아서 책을 읽는다며, 하루도 거르지 않고 실천에 힘쓴다면 나중에는 크게 발전할 것이라며 권면하였다. 이때부터 그는 남들보다 늦게 시작하였으니 더 열심히 할 것을 다짐하였다. 초기에는 힘들었으나 매일 새벽에 일어나 세수하고 단정히 앉아 책을 읽기 시작, 나중에는 새벽에 닭이 울지 않아도 저절로 기상하게 되었다.
영남의 유학자 [[김종직]] 문하에서 수학하던 중 어느날 《소학》의 어느 글귀를 읽고 깊이 감동한다. 이후 [[소학]]을 읽고 스스로 "소학동자 (小學童子)"라 일컬었고 평소 학문을 깊이 연구하여, [[길재]], [[김숙자 (1389년)|김숙자]], [[김종직]]으로 이어지는 성리학의 학문 전통을 이어, 성리학에 능하였으며 실천 궁행을 위주로 하는 학자가 되었다.<ref name="글로벌 서울 김굉필"> 《[[글로벌 세계대백과]]》〈[[:s: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한국지리/중부지방-남부지방/서울특별시/서울의 사회·문화#김굉필|김굉필]]〉 </ref> 그는《소학》을 행동의 근간으로 삼아 《소학》을 알지 못하고는 학문을 할 수 없고, 사서육경을 알수 없다고 주장하기도 하였다. 그는 [[소학]]에 나온대로 실천궁행에 힘썼다.
 
그는 남들보다 비교적 늦은 나이에 학업을 시작하여 이 때문에 고민하였으나, [[김종직]]은 그에게 학문을 하는데 있어 늦고 빠른 것은 없다며 자신은 새벽에 닭이 울 때 일어나 세수하고 앉아서 책을 읽는다며, 하루도 거르지 않고 실천에 힘쓴다면 나중에는 크게 발전할 것이라며 권면하였다. 이때부터 그는 남들보다 늦게 시작하였으니 더 열심히 할 것을 다짐하였다. 초기에는 힘들었으나 매일 새벽에 일어나 세수하고 단정히 앉아 책을 읽기 시작, 나중에는 새벽에 닭이 울지 않아도 저절로 기상하게 되었다.
[[김종직]]의 문하에서 [[김전]](金詮), [[김일손]], [[권오복]], [[남곤]], [[이목 (1471년)|이목]], [[정여창]] 등을 만나 교류하게 된다. 그 중에서도 그는 [[김종직]]의 뛰어난 수제자의 한 사람으로 인정되었다. 그뒤 [[1480년]](성종 11) 식년과 생원시에 3등으로 합격하여 생원이 되고, [[성균관]]에 들어가 성균관 유생으로 수학하였다. 성균관 유생으로 수학하는 중에도 조정의 정책에 대한 여러 상소를 올렸다. 성균관 유생이 된 첫 해에 초시에 합격하였다.
 
[[김종직]]의 문하에서 [[김전]](金詮), [[김일손]], [[권오복]], [[남곤]], [[이목 (1471년)|이목]], [[정여창]] 등을 만나 교류하게 된다. 그 중에서도 그는 [[김종직]]의 뛰어난 수제자의 한 사람으로 인정되었다. [[김종직]]의 문하에 있을 때 향시에 합격했는데, "업문유미식천기, 소학서중오작비, 종차진심공자직, 구구하용선경비"라고 쓴 향시의 답안이 전한다.
 
[[김종직]]의 문하에서 [[김전]](金詮), [[김일손]], [[권오복]], [[남곤]], [[이목 (1471년)|이목]], [[정여창]] 등을 만나 교류하게 된다. 그 중에서도 그는 [[김종직]]의 뛰어난 수제자의 한 사람으로 인정되었다. 그뒤 [[1480년]](성종 11) 식년과 생원시에 3등으로 합격하여 생원이 되고, [[성균관]]에 들어가 성균관 유생으로 수학하였다. 성균관 유생으로 수학하는 중에도 조정의 정책에 대한 여러 상소를 올렸다. 성균관 유생이 된 첫 해에 초시에 합격하였다.
 
=== 김종직과의 결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