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굉필: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11번째 줄:
|별명= 자(字)는 대유(大猷), 호(號)는 한훤당(寒暄堂)·사옹(蓑翁)· 한훤(寒暄)·말곡(末谷) <br />시호 문경(文敬).
|학력= [[김종직]] 문하에서 [[성리학]] 수학<br/>1480년 ~ 1494년 성균관 수학
|직업= 문신, 사상가, 도학자, 정치가, 화가
|종교= [[유교]]([[성리학]])
|배우자= 순천 박씨
21번째 줄:
}}
 
'''김굉필'''(金宏弼, [[1454년]] ~ [[1504년]] [[10월 7일]])은 [[조선]] 전기의 문인, [[교육자]], [[성리학자]], 화가로 [[호 (이름)|호]](號)는 한훤당(寒暄堂)·사옹(蓑翁),<ref>[http://people.aks.ac.kr/front/srchservice/viewSearchPPL.jsp?pItemId=PPL&type=L&pType=P&pSearchSetId=25465&pTotalSearchCount=1&pPosition=0&pRecordId=00500050004C005F0036004A004F0061005F00410031003400350034005F0031005F0030003000300031003200360030&pName=AE40AD49D544002891D15B8F5F3C0029 한국역대인물 종합정보 시스템]{{깨진 링크|url=http://people.aks.ac.kr/front/srchservice/viewSearchPPL.jsp?pItemId=PPL&type=L&pType=P&pSearchSetId=25465&pTotalSearchCount=1&pPosition=0&pRecordId=00500050004C005F0036004A004F0061005F00410031003400350034005F0031005F0030003000300031003200360030&pName=AE40AD49D544002891D15B8F5F3C0029 }}</ref> 또는 한훤(寒暄), 말곡(末谷<ref>중종실록 100권, 중종 38년 1월 4일 기유 8번째기사 1543년 명 가정(嘉靖) 22년 판중추부사 김안국의 졸기</ref>)이며 자(字)는 대유(大猷), 시호는 문경(文敬)이다. 점필재 [[김종직]]의 제자로 [[김일손]], [[김전]], [[남곤]], [[정여창]] 등과 동문이었다. 《[[소학]]》에 심취하여 스스로 '소학동자'라 칭하였고, 《소학》의 가르침대로 생활하였다.
 
[[김종직]]의 문하에서 수학하다가 [[1480년]](성종 11) 식년과 생원시와 초시에 합격하고, 다시 [[성균관]]에 들어가 유생으로 수학하였다. [[1494년]](성종 25년) [[훈구파]] 출신 [[경상도]][[관찰사]] [[이극균]](李克均)에 의해 유일(遺逸)로 천거되어 출사하여 주부(主簿), [[사헌부]]감찰, [[형조]][[좌랑]] 등을 지냈다. [[1498년]] [[무오사화]]가 일어나자 연좌되어 [[평안도]] 희천에 유배되었는데, 그곳에서 지방관으로 부임한 [[조원강]]의 아들 [[조광조]](趙光祖)를 만나 학문을 전수하였다. [[무오사화]] 때 유배되어 [[희천군]] 시장에서 사형되었다. [[중종 반정]] 후 복권되어 [[승정원]][[도승지]]에 추증되고, [[1517년]] 증 [[우의정]], [[1575년]] 증 [[영의정]]에 거듭 [[추증]]되었다.
73번째 줄:
이때 그는 [[김일손]], [[권오복]], [[남곤]] 등의 동문이며 [[김종직]]의 문도로 붕당을 만들었다는 죄목으로 평안도 희천(熙川)에 유배되었고, 2년 뒤에는 전라도 순천에 유배되었다. 유배지에서도 학문 연구와 인재 양성에 힘썼고 특히 지방관으로 부임한 [[조원강]]의 아들 [[조광조]]를 만나 그에게 학문을 전수하였다.
 
그밖에도 [[이장곤]], [[김안국]], [[김정국]], 이장길, 정붕, 성세창, 강흔, 정응상, 이연경, 주계부정 이심원, 윤탁, 우성윤, 김구(金絿), 정응상, 허경, 박한참, 윤신, 유우, 민구손, 최수성, 이담 등이 그의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김굉필이 유배지(流配地)를 평안도 희천에서 전라도 순천(順天) 승평(昇平)에 있던 친한 후배 [[정여해]]의 집 가까운 곳으로 유배지를 옮기자 [[정여해]]는 항상 병으로 가마를 타고 김굉필을 방문하여 위로했다. 한번은 [[정여해]]가 그를 찾아와 김굉필의 신구를 청하는 상소문(上疏文) 초(草)한 것을 보이고 그를 구하려 하였다. 그러나 김굉필은 그 상소문을 살펴보고 안 된다고 하며 '만약 이 소장을 올리면 우리 동지들이 더 큰 화를 입게 될 것이니 올리지 말라'고 만류하였다. 실망한 [[정여해]]는 그날부로 상소문을 불살라 버리고 어찌할 수가 없음을 알고 통곡하며 [[순천]]의 집으로 돌아와 이후 아무도 만나지 않고 두문불출하며 은거하였다.
 
김굉필이 유배지(流配地)를 [[평안도]] 희천에서[[희천]]에서 [[전라도]] [[순천]](順天) 승평(昇平)에 있던 친한 후배 [[정여해]]의 집 가까운 곳으로 유배지를 옮기자 [[정여해]]는 항상 병으로 가마를 타고 김굉필을 방문하여 위로했다. 한번은 [[정여해]]가 그를 찾아와 김굉필의 신구를 청하는 상소문(上疏文) 초(草)한 것을 보이고 그를 구하려 하였다. 그러나 김굉필은 그 상소문을 살펴보고 안 된다고 하며 '만약 이 소장을 올리면 우리 동지들이 더 큰 화를 입게 될 것이니 올리지 말라'고 만류하였다. 실망한 [[정여해]]는 그날부로 상소문을 불살라 버리고 어찌할 수가 없음을 알고 통곡하며 [[순천]]의 집으로 돌아와 이후 아무도 만나지 않고 두문불출하며 은거하였다.
 
유배지에서도 좌절하지 않고 학문 연구와 인재 양성에 전념하였으며 [[정여해]] 등의 친구들이 그를 방문하여 위문했다. 저서로 《경현록》, 《한훤당집》이 전한다. [[1504년]](연산군 10년) 다시 [[갑자사화]]가 발생하자 궁중파의 탄핵을 받고 [[전라도]] [[순천]]에 유배, 그해 [[10월 7일]] 철물시(鐵物市)에서 효수(梟首)하라는 명을 받고 유배지에서 사형당했다. 당시 그의 나이 향년 51세였다.
 
=== 사후 ===
죽은 뒤 그의 수급은 효수(梟首)되어 [[순천부]]의 철물시장에 걸려졌다. [[중종 반정]] 뒤 [[연산군]] 때에 피화한 인물들의 신원이 이루어짐에 따라 [[증직|증]] [[승정원]][[도승지]]겸 [[경연]][[침찬관]]에 추증되었고[[추증]]되었고, 자손은 관직에 등용되는 혜택을 받았다. [[이황]]은 그를 '근세 도학(道學)의 조종(祖宗)'이라 하여 [[성리학]] 도통의 정통으로 규정했고, 그의 제자 중 [[조광조]]와 그의 문인 [[백인걸]], [[백인걸]]의 문인 [[이이]], [[성혼]] 등을 통해 기호학파를 형성하고, 이들은 다시 [[조선 선조|선조]] 때에 [[서인]] 당을 형성하게 된다.
 
[[중종 반정]] 이후 [[사림파]]의 개혁정치가 추진되면서 성리학의 기반구축과 인재양성에 끼친 업적이 재평가됨에 따라 그의 존재는 크게 부각되었는데, 이는 [[조광조]]를 비롯한 제자들의 정치적 성장에 힘입은 바 컸다.<br/>그 결과 [[1517년]]([[조선 중종|중종]] 12년) 정광필(鄭光弼)·신용개(申用漑)·[[김전]] 등에 의하여 학문적 업적과 무고하게 피화되었음이 역설되어 [[증직|증]] [[의정부]][[우의정]]에 추증되었으며, 도학(道學)을 강론하던 곳에는 사우가 세워져 제사를 지냈다.
 
그러나 그에게 내려진 증직 및 각종 은전은 [[1519년]](중종 13년) [[기묘사화]]가 일어나 그의 문인들이 화를 받으면서 남곤(南袞<ref>같은 스승 김종직에게서 수학한 동문이기도 하다.</ref>)을 비롯한 반대세력에 의해 수정론이 대두되었다. 당시의 이같은 정치적 분위기의 변화에도 불구하고 그 뒤 그를 받드는 성균관유생들의 문묘종사(文廟從祀) 건의가 중종 반정 직후부터 계속되어 [[1575년]] [[의정부]][[영의정]]에 추증되고, 1577년(선조 10년)에는 문경(文敬)이라는 시호가 내려졌다.
줄 89 ⟶ 91:
중종 때 이여가 정몽주의 문묘종사를 청했다. 중종은 이여의 건의와 유생의 상소에 따라서 정몽주의 문묘종사를 의논하여 결정하도록 했다.<ref>이순형, 한국의 명문 종가 (서울대학교출판부, 2000) 49</ref>
 
그 후에 조강에서 태학생(太學生)들이 정몽주와[[정몽주]]와 김굉필을 문묘에 종사하자고 상소한 문제를 의논하자고 임금이 제안했을 때, 정광필은 자신의 자제가 김굉필의 문하생인데 추향이 지극히 바르고 실천이 독실한 사람이기는 하나 문묘종사에는 신중해야 할 것이라고 신중론을 폈다.<ref>이순형, 한국의 명문 종가 (서울대학교출판부, 2000) 49</ref>
 
당시 시강관 조광조가 종사를 발의하고 기준(奇遵)이 종사를 지지하는 발언을 했다. 정몽주가 도학의 연원을 열었으며, 정몽주가 길재를, 길재는 (여러 대를 거쳐) 김종직을, 김종직은 김굉필을 가르쳤으니 (도학의 학통이 이어진 것이며) 김굉필이 송유(宋儒)의 실마리를 얻어 주자와 같은 위치에 올랐으니 문묘에 종사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에 정여창, 김굉필, 성삼문과 박팽년에 대해서도
줄 163 ⟶ 165:
[[분류:조선의 철학자]]
[[분류:조선의 교육인]]
[[분류:조선의 화가]]
[[분류:조선의 시인]]
[[분류:과거 급제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