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섬유: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개요: 링크추가
5번째 줄:
광학섬유(Optical fiber) 라고도 불리며 빛을 전송할 때 광손실을 줄이기 위하여 투명도가 고도로 높은 재료가 필요하다. 따라서, 고 순도의 석영이나 광학적 성질이 우수한 고분자재료를 사용한다. 광섬유는 1970년에 미국의 코닝사가 저손실 석영섬유를 개발한 것을 계기로 개량을 거듭하여 광통신의 실용화에 크게 이용되고 있다.
 
광통신은 광섬유의 한쪽 끝에서 전기신호를 따라 점멸하는 발광소자를[[발광소자]를 써서 빛을 점멸하면 광섬유의 다른 쪽 끝에서 수광소자를[[수광소자]]를 써서 이 점멸하는 빛을 받을 수 있는 현상을 이용한 것이다. 수광소자로서 포토다이오드를[[포토다이오드]]를 쓰면 점멸하는 빛의 신호를 전기신호로 바꿀 수 있고, 발광소자로는 1초 동안에 4억 회나 점멸할 수 있는 발광다이오드도발광[[다이오드]]도 개발되어 있다. 이 발광소자를 쓰면 광섬유 하나로써 5,760회선의 전화통화가 가능해진다.
 
광섬유의 국내기술개발은 한국과학기술연구소(현 한국과학기술원) 응용광학연구실을 주축으로 1977년부터 시작한 광섬유 국산화 기술개발 연구가 그 시초였다. 한국과학기술연구소에서는 대한전선주식회사·금성전선주식회사(현 [[LS전선]])와 함께 1979년 말 광섬유의 형태를 추출, 1980년 2월부산의 한국전력 지점과 남부산변전소간의 1.3km에 달하는 국산 광섬유를 마련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