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묘: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9번째 줄:
=== 고려 ===
* [[983년]] (성종 2)에 박사 임노성이 송에서 돌아와 바친 <태묘당도>, <사직당도>와 그 기록, <문성왕묘도>, <제기도>, <72현찬기> 등 도서를 국자감에 안치했다.
* [[1020년]] (현종 11) [[최치원]]을 문묘 종사하고, [[1022년]] (현종 13) [[설총]]을 문묘 종사 되었다하였다.
* [[1303년]] (충렬왕 5) [[안향|안유]]가 문묘 황폐를 개탄해 국학 [[대성전]]을 신축하고, 박사 [[김문정]]을 원나라 보내 [[공자]]와 70제자의 화상 및 제기, 악기, 경서 등을 가져와 비치했다. 이러한 공로로 [[1319년]] (충숙왕 6) 문묘 종사 되었다하였다.
 
=== 조선 ===
19번째 줄:
* [[고려]]조 [[정몽주]] 이하 15현의 문묘 종사는 [[조선 중종]] 때부터 [[조선 고종|고종]] 사이에 이루어 졌다.
* [[1517년]](중종 12) [[정몽주]]의 문묘 종사가 이루어 졌다.
* [[임진왜란]] 때 병화로 소실된 문묘를 [[1604년]](선조 37) 중건을 계기로 '5현(五賢)'의 문묘 종사가 다시 논의되었으나, [[조선 선조|선조]]는 [[이언적]]의 출처가 불분명하다 등의 이유로 이를 거부하였다거부되었다.
* [[광해군]]이 즉위하자 [[성균관]]의 유생 및 지방의 유생들도 조직적으로 참여하고, 예조, 대간, 대신들도 그 의견에 동조하여 [[김굉필]]·[[정여창]]·[[조광조]]·[[이언적]]·[[이황]] 등 이른바 '5현(五賢)'의 문묘 종사가 [[1610년]](광해군 2) 이루어졌다.
* [[이이]]·[[성혼]] 등의 종사 때에는 서인·남인간의 학맥과 현실 정치가 연결되어 [[1681년]](숙종 7) 문묘 종사되었으나, [[1689년]](숙종 15) 출향되고, [[1694년]](숙종 20) [[갑술환국]] 때 다시 복향(復享) 되었다. [[김장생]]도 [[1688년]](숙종 14)에 종사되었으나, 출향되었다가 [[갑술환국]] 때 다시 복향(復享)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