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묘: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태그: 각주 제거됨
1번째 줄:
{{다른 뜻|문묘 (베트남)||베트남의 공자묘}}
 
'''문묘'''(文廟)는 문선왕묘(文宣王廟)의 약자로 [[공자]](孔子)의 신위를 받드는 묘우(廟宇)를 말하며,말한다. 공자묘(孔子廟)라고도 부른다. 여기서 묘(廟)는 무덤 묘(墓)가 아니라 위패를 모시고 제사 드리는 사당(祠堂)이란 뜻이며뜻하며, 동아시아 전반에 분포해 있다. 문묘의 [[대성전]]에는 [[공자]]를 비롯하여위시한 4성(聖)과 [[공문십철|공문 10철]](哲) 및 송조 6현(賢)과 우리나라의 [[신라]]·[[고려]]·[[조선]]조의 [[동방 18현]]의 신위를위패를 봉안(奉安)하고모시고 매년 춘추춘·추 향사하고봉향하고 있는데있으며, 이를 [[석전대제|석전]](釋奠)이라 부른다. 태학생(太學生)들의 사표로 삼았다.
 
== 연혁 ==
10번째 줄:
* [[983년]] (성종 2)에 박사 임노성이 송에서 돌아와 바친 <태묘당도>, <사직당도>와 그 기록, <문성왕묘도>, <제기도>, <72현찬기> 등 도서를 국자감에 안치했다.
* [[1020년]] (현종 11) [[최치원]]을 문묘 종사하고, [[1022년]] (현종 13) [[설총]]을 문묘 종사 하였다.
* [[1303년]] (충렬왕 5) [[안향|안유]]가 문묘 황폐를 개탄해 국학 [[대성전]]을 신축하고, 박사 [[김문정]]을 원나라 보내 [[공자]]와 70제자의 화상 및 제기, ·악기, ·경서 등을 가져와 비치했다. 이러한 공로로 [[1319년]] (충숙왕 6) 문묘 종사 하였다.
 
=== 조선 ===
* [[1407년]] (태종 7) [[한양]]에 현재의 [[성균관]] 문묘가 완성되어 [[대성전]]에 [[공자]]를 비롯한 4성<ref>4성: [[안자]], [[증자 (사상가)|증자]], [[자사]], [[맹자]]를 말한다.</ref>과 그 밑의 [[공문십철|공문 10철]]<ref>공자 문하의 10명의 고제(高弟). 안회·민자건·염백우·중궁·재아·자공·염유·자로·자유·자하(子夏)를 말한다.</ref>을 배향함으로써 유학의 큰 도통(道通)이 정리 되었다.
* [[연산군]] 때에 문묘의 신판(神版)을 태평관으로 옮긴 뒤 그 안에 짐승을 기르는 등 한 동안한동안 문묘 기능을 상실했다가 [[중종반정]] 후 복구되었다.
* 조선의 문묘 종사는 학통·당파·정치 정세 등에 따라 [[당쟁]]의 원인이 및 논란의 대상이 되기도 하였다.
* [[연산군]] 때에 문묘의 신판(神版)을 태평관으로 옮긴 뒤 그 안에 짐승을 기르는 등 한 동안 문묘 기능을 상실했다가 [[중종반정]] 후 복구되었다.
* [[고려]]조 [[정몽주]] 이하 15현의 문묘 종사는 [[조선 중종]] 때부터 [[조선 고종|고종]] 사이에 이루어 졌다.
* [[중종반정]] 이후 [[조광조]]를 비롯한 개혁 세력들은 [[조선 세조|세조]]와 [[연산군]] 시대를 거치면서 자의적으로 행사된 왕권을 견제하고 막을 수 있는 이상적인 이념을 문묘 종사라 생각하고 4현(四賢)<ref>정몽주, 김종직, 김굉필, 조광조</ref>의 문묘 종사를 끊임없이 요구하였다. 이후 [[이황]]이 세상을 떠나자 그를 포함한 5현(五賢)<ref>[[김굉필]]·[[정여창]]·[[조광조]]·[[이언적]]·[[이황]]</ref>의 개념으로 발전하였다.
* [[1517년]](중종 12) [[고려]]조 [[정몽주]]의 문묘 종사가 이루어 졌다.
* [[임진왜란]] 때 병화로 소실된 문묘를소실되었으나, [[1604년]](선조 37) 중건을 계기로 5현(五賢)의 문묘 종사가 다시 논의되었으나, [[조선 선조|선조]]는 [[이언적]]의 출처가 불분명하다 등의 이유로 이를 거부하였다.
* [[광해군]]이 즉위하자 [[성균관]]의 유생 및 지방의 유생들도 조직적으로 참여하고, 예조, 대간, 대신들도 그 의견에 동조하여 [[김굉필]]·[[정여창]]·[[조광조]]·[[이언적]]·[[이황]] 등 이른바 5현(五賢)의 문묘 종사가 [[1610년]](광해군 2) 이루어졌다.
* [[이이]]·[[성혼]] 등의 종사 때에는 서인·남인간의 학맥과 현실 정치가 연결되어 [[1681년]](숙종 7) 문묘 종사되었으나, [[1689년]](숙종 15) 출향되고, [[1694년]](숙종 20) [[갑술환국]] 때 다시 복향(復享) 되었다. [[김장생]]도 [[1688년]](숙종 14)에 종사되었으나, 출향되었다가 [[갑술환국]] 때 다시 복향(復享) 되었다.
* [[송시열]]·[[박세채]]등의 종사 때에도 [[노론]]과 [[소론]]·[[남인]]의 대립으로 강력한 반발이 있었으며, [[송시열]]·[[송준길]]은 [[1756년]](영조 32)에, [[박세채]]는 [[1764년]](영조 40년)에 문묘 종사가 이루어 졌다.
* [[김인후]]의 문묘 종사는 [[1796년]](정조 20)에 이루어 지는데, 그의 당색은 따질 수 없으며 [[호남]] 제일의 유현으로 그동안 정치적정치적으로 소외 되었던 호남 학파를 끌어 안는 효과를 가져왔다.
* [[조헌]]·[[김집]]의 문묘 종사는 [[조선 영조|영조]] 때부터 [[노론]]의 적극적인 지원하에 대두되었으나논의되었으나, [[1883년]](고종 20) 이루어 졌다.
* 조선 후기에 최종적으로 [[대성전]]에는 [[공자]]를 정위에 두고, 좌우에 4성·[[공문십철|10철]] 및 중국 송조 6현<ref>송나라 6현 : 주돈이, 정호, 정이, 소옹, 장재, 주희를 말한다.</ref>을 배향하고, 동무와 서무에 중국의 명현 94위와94위(位)와 우리나라 [[동방 18현|18현18위]]의 신위를(位)를 봉안하였다봉향하였다.
 
=== 현대 ===
* [[1949년]] 광복 후 전국 유림 대회를 개최하여 [[성균관]] [[대성전]]에 [[공자]]를 비롯한위시한 4성<ref>[[안자]]·[[증자 (사상가)|증자]]·[[자사]]·[[맹자]]</ref>과 [[공문십철|공문 10철]] 및 송조 2현 [[정호]]·[[주희]]를 제외한 동·서 양무에 봉안한 중국 유현 94위를 매안하고, 동·서 양무에 봉안하고 있던 우리나라 [[동방 18현|18위]] [[대성전]]에 승봉키로 결의하고, 전국 향교에도[[향교]]에도 시행하도록 하였으나 이 개혁안에 대해 보수 유림들의 반발로 일제히 시행되지 못하였다.
* [[1961년]] 2월 23일 전국 유림대회를 다시 개최하여 매안한 [[공문십철|공문 10철]]과 송조 4현<ref>[[주돈이]]·[[정이 (학자)|정이]]·[[소옹]]·[[장재]]</ref>을 복위키로복원키로 결의하였다.
* 현재 중앙의 [[성균관]] 및 각 지방의 [[향교]] [[대성전]]에는 [[공자]]를 비롯한 4성<ref>[[안자]]·[[증자 (사상가)|증자]]·[[자사]]·[[맹자]]</ref>과 공자의 뛰어난 제자들인 [[공문십철|공문 10철]]<ref>공문 10철에 덕행(德行)으로는 안회(顔淵)·민자건(閔子騫)·염백우(冉伯牛)·중궁(仲弓), 언어(言語)에는 재아(宰我)·자공(子貢), 정사(政事)에는 염유(冉有)·자로(子路), 문학(文學)에는 자유(子游)·자하(子夏)가 있다.</ref> 및 송조 6현<ref>[[주돈이]]·[[정호]]·[[정이 (학자)|정이]]·[[소옹]]·[[장재]]·[[주희]])</ref>과 우리나라 [[동방 18현]]의 신위를 봉안(奉安)하고 매년 춘추 향사하고 있다.
 
== 배향 과정 ==
문묘 서차는 먼저 〈[[공자|대성지성 문선왕]]〉(大成至聖 文宣王) [[공자]]를 정위로 하여 남쪽을 바라보게 하고, 그 앞에 [[안자]]·[[증자 (사상가)|증자]]·[[자사]]·[[맹자]]의 4성을 동서로 나누어 배향하였다. [[공문십철|공문 10철]]ref>공자의 뛰어난 제자들인 공문 10철에 덕행(德行)으로는 안회(顔淵)·민자건(閔子騫)·염백우(冉伯牛)·중궁(仲弓), 언어(言語)에는 재아(宰我)·자공(子貢), 정사(政事)에는 염유(冉有)·자로(子路), 문학(文學)에는 자유(子游)·자하(子夏)가 있다.</ref>과 송조 6현 <ref>[[주돈이]]·[[정호]]·[[정이 (학자)|정이]]·[[소옹]]·[[장재]]·[[주희]])</ref> 및 우리나라 [[동방 18현]]을 종향 하였다.
 
문묘 종사 인물을 정하는 일은 학통·당파·정치 정세 등에 따라 당쟁의 원인이 되기도 하고, 점향(點享)되거나 복향(復享) 되기도 하였으며, 위차(位次)가 바뀌는 경우도 있었다. 따라서 반드시 [[중국]]의 예와 일치하지는 않았다.
 
[[정몽주]]는 [[고려 우왕|우왕]]과 [[고려 창왕|창왕]]이 신돈의 아들인 줄 알면서도 섬겼다는 이유로 고려 왕조에 대한 충절을 의심 받았고, [[광해군]]·[[조선 인조|인조]] 년간 [[김굉필]]·[[정여창]]·[[조광조]]·[[이언적]]·[[이황]] 5현의 종사시에 [[이언적]]은 [[을사사화]] 때 처신으로 도덕성에 타격을 입었으며, [[이황]]은 소년 시절 기생과 행적이 들춰지는 수모를 겪어야 했고, [[조선 숙종|숙종]] 때 [[이이]]는 한때 불교에 몸담았던 전력 때문에 학문의 순정성을 의심받고, [[성혼]]은 [[기축옥사]]와 [[임진왜란]] 때의 처신 때문에, [[김장생]]은 [[기사환국]]으로 출향되었다가 [[갑술환국]] 때 다시 종향되었으며, [[영조]] 때의 [[송시열]]·[[송준길]]·[[박세채]] 등의 종사 문제때에도 등이논쟁이 그랬다있었다.
 
또한 [[성리학]] 외에 [[노장 사상]]이나 [[양명학]] 등 이단 논쟁을 일으킬 소지가 있는 인물들은 철저히 배격됐다. [[서경덕]]이 그 대표적 예였다.<ref>[http://weekly.chosun.com/client/news/viw.asp?ctcd=C09&nNewsNumb=002260100021 '조선 유학에 오늘을 묻다; 담일청허(湛一淸虛)의 기(氣)로 조선에 학자가 있음을 알려라!'] 주간조선 2013년 6월 10일 백민정 성균관대 교수 칼럼 게재 중 -'광해군 6년(1614년) 문묘 종사(從祀) 논의에서도 [[이항복]]의 청원이 있었지만, 화담은 기수(氣數)에 치우쳐 이(理)를 몰랐다고 본 전대 사림의 부정적 평가로 인해 제대로 논의 대상이 되지 못했다'('화담집'중 연보) </ref>
 
그리하여 문묘 종사에 있어서 자격 시비에 휘말리지 않고 비교적 자유스러웠던 인물들은 [[김인후]] 등 몇몇 뿐이었다. 이와 같은 문묘 종사는 단순히 선현에 대한 위패를 모시고 제사드리는 기능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여러 붕당의 명분과 이해관계가 걸린 문제로까지 발전되었다는 것이다. 다만 분명한 것은 그것이 비상식적인 것이 아니라, 나름의 논리와 학문적인 깊이를 지니고 있다는 것이다.
 
== 제례 절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