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고속철도: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승객 수송: 내용추가
태그: m 모바일 웹
수서역 문서로 넘겨주기
태그: 새 넘겨주기 일반 문서의 넘겨주기화
1번째 줄:
#넘겨주기 [[수서역]]
{{다른 뜻|수서고속철도||이 문서는 [[한국철도공사]]에서 운영하는 고속철도 체계에 대해서 설명하고 있습니다. [[에스알]]에서 운영하는 고속철도 체계 통칭}}
{{열차명 정보
| 열차명 = 한국고속철도
| 열차명2 = KTX
| 배경색 = {{한국 철도 노선색|KR|K}}
| 로고 = 한국고속철도 로고.png
| 그림 = KTX (Korea Train eXpress).jpg
| 그림설명 =[[KTX-I]]
| 국가 = {{국기|대한민국}}
| 종류 = [[고속철도]]
| 현황 = 영업 중
| 지역 = {{KOR}}
| 기간 = [[2004년]] [[4월 1일]]
| 후속 =
| 사업자 = [[한국철도공사]]
| 이전사업자 =
| 평균승객 =
| 기점 = [[서울역]]<br />([[서울특별시]] [[용산구]])<br />[[용산역]]<br />([[서울특별시]] [[용산구]])<br />[[행신역]]<br />([[경기도]] [[고양시]])
| 역수 인수변경 =
| 역수 = 41<ref name=ktxmagazine_201504>KTX 매거진, 2015년 4월호</ref>
| 종점 = [[부산역]]<br />([[부산광역시]] [[동구 (부산광역시)|동구]])<br />[[포항역]]<br/>([[경상북도]] [[포항시]])<br/>[[진주역]]<br />([[경상남도]] [[진주시]])<br/>[[목포역]]<br />([[전라남도]] [[목포시]])<br />[[여수엑스포역]]<br />([[전라남도]] [[여수시]])<br/> [[강릉역]]<br/>([[강원도]] [[강릉시]])
| 영업거리 = 1,512.4 km<ref name=ktxmagazine_201504 />
| 평균소요시간 =
| 배차간격 =
| 열차번호 =
| 노선 = [[경부선]]<br />[[경부고속선]]<br />[[호남선]]<br />[[호남고속선]]<br/>[[경전선]]<br />[[전라선]]<br />[[동해선]]<br />[[중앙선]]</br>[[강릉선]]
| 클래스 = 특실·일반실
| 장애인 지원 = 지원
| 좌석 = KTX-I: 935석<br>KTX-산천 110000호대: 363-370석<br>KTX-산천 140000호대: 410석
| 취침 =
| 식사 =
| 전망 =
| 엔터테인먼트 =
| 수하물 =
| 기타 =
| 차량 = [[KTX-I]]<br>[[KTX-산천|KTX-산천 110000호대 열차]]<br>[[KTX-산천|KTX-산천 140000호대 열차]]
| 궤간 = 1,435 [[밀리미터|mm]] ([[표준궤]])
| 전철화 = [[교류]] 25,000[[볼트|V]] 60[[헤르츠|Hz]]
| 최고속도 = 영업최고속도: 305 km/h<br>([[강릉선]]: 250 km/h)
| 노선소유자 = [[대한민국 정부]]
| 루트번호 =
| 비고 =
| 노선도 =
}}
 
'''한국고속철도'''(韓國高速鐵道) 또는 '''KTX'''('''K'''orea '''T'''rain e'''X'''press)는 [[대한민국]] [[고속철도]] 체계의 통칭으로, [[2004년]] [[4월 1일]] 개통되어 [[한국철도공사]]가 운영하고 있다.
 
== 역사 ==
대한민국의 대표적인 철도 노선인 [[경부선]]은 대한민국 전체 철도 여객의 60% 이상을 수송하는 노선으로, 경제가 빠른 속도로 발전하기 시작한 [[1970년대]]부터 철도 용량 포화가 예측되어 왔다. 그리하여 이를 해결하기 위해 고속도로 확장 및 신설, 철도 노선 확충 등 몇 가지 제안이 나왔으며, 이 중 [[고속철도]] 건설이 가장 효율적이라는 결론을 내려 [[1980년대]]부터 정부 차원에서 [[경부고속철도]]가 추진되었다. 이후 [[1989년]] 5월 정부는 [[경부고속철도]] 건설 방침을 수립 결정하였고, [[1990년]] 6월에는 전 노선이 결정되어 [[1992년]] [[6월 30일]] [[천안아산역]] 예정지에서 기공식이 거행되었다. 당초에는 유치 계획이 확정된 [[2002년 FIFA 월드컵]]을 대비하는 목적도 있었다.
 
그러나 공사는 열차의 방식 결정, 열차 도입 국가 선정, 문화재 훼손 논란, 잦은 설계 변경, 부실 공사 의혹, 외환 위기 등 여러 가지 많은 위기에 봉착하였으며, 결국 6년으로 예정되었던 공사 기간을 훨씬 넘겨, [[2002년 FIFA 월드컵|한.일 월드컵]] 이전에 완공하지 못하였고, 월드컵 이후 2년 정도 늦어져, 12년의 공사 끝에 일부 구간이 [[2004년]] [[4월 1일]] 개통되었다.
 
현재 [[경부고속철도]]는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의 [[경의선]] [[행신역]]에 [[차량기지]]를 두고, [[서울역]]에서 기존 [[경부선]]을 따라 서울 시내를 빠져나와 고속 신선을 타고 [[광명역]], [[천안아산역]], [[오송역]]을 거쳐, [[대전광역시]]에서 기존 경부선으로 내려와 [[대전역]]을 거쳐 [[충청북도]] [[옥천군]]에서 고속 신선을 타고 [[김천구미역]]을 지나 [[경상북도]] [[칠곡군]]에서 기존 경부선으로 내려와 [[대구광역시]]의 [[동대구역]]을 거쳐 또 다시 고속 신선을 타고 [[신경주역]], [[울산역]]을 거쳐 종착역인 [[부산역]]까지 운행된다. [[2010년]] [[11월 1일]]부터는 일부 시간대에 한해 [[서울역]] - [[대전역]] 구간을 기존의 [[경부선]]을 이용하여 운행하는 고속철도가 하루 왕복 4회씩 운행을 시작하였다. 모든 열차는 [[서울역]]에서 착발하며, [[수원역]]에 정차하고, 그중 왕복 2회는 [[영등포역]]에도 정차한다.
 
[[호남선]]은 [[2004년]] [[4월 1일]] [[경부고속철도]]와 함께 개통하였으나, 따로 고속선 건설을 하지 않았기 때문에 [[용산역|서울]]에서 [[대전조차장역]]까지는 [[경부고속철도]]의 고속 신선을 공동으로 이용하고, 이후 기존의 호남선을 따라 [[광주역]] 또는 [[목포역]]까지 운행노선이었다. 하지만 [[2015년]] [[4월 2일]] [[오송역]]에서 [[광주송정역]]까지 1단계 구간이 개통됨에 따라 용산역에서 오송역까지 경부고속선과 공용하다 오송역 이후 [[호남고속선]]을 이용하여 [[광주송정역]]까지 내려오게 된다. 그리고 아직 2단계 구간이 건설되지 않았기 때문에 [[광주송정역]]에서 [[목포역]]까지는 그대로 기존 호남선을 이용한다. [[2016년]] [[12월 9일]]부터는 [[오송역]] ~ [[익산역]] 구간을 [[호남고속선]]이 아닌 기존의 [[호남선]]을 경유하여 운행하는 열차가 1일 2회 운행하고 있으며 [[목포역]] 오전 출발 열차만 [[KTX-I]] 열차로, 나머지 열차는 [[KTX-산천 (110000호대)|KTX-산천]] 열차로 운행한다.
 
경부고속철도로는 기존 경부선으로 서울에서 부산까지 4시간 10분이 걸렸던 것에 비하여 2시간 18분에서 2시간 56분이면 부산에 도착할 수 있다.
 
[[2002년]] [[6월]] 건설이 시작된 [[대구광역시|대구]], [[경주시|경주]], [[울산광역시|울산]], [[부산광역시|부산]]을 잇는 제 2단계 건설 구간은 [[2010년]] [[10월 28일]]에 완공되었다. 원래는 서울, 대전, 대구 시가지를 지나는 구간은 지하화하여 서울 - 부산 간을 1시간 56분에 연결하려 하였으나, 건설자금 부담이 극심하여 대전과 대구의 시내구간 지하화는 백지화하고, 그 대신 기존 [[경부선]] 노선 옆으로 신선을 건설하는 것으로 계획이 전환되었다. 경부고속철도 2구간이 완공됨에 따라 대전, 대구 시내 구간을 제외한 전 구간이 고속화되어 서울 - 부산 간을 기존 2시간 40분에서 22분 단축된 2시간 18분에 주파하게 되었다.<ref>{{뉴스 인용
|제목 = KTX 2구간 완공…서울-부산 '2시간 18분'
|출판사 = SBS
|날짜 = 2010-10-29
|url=http://news.sbs.co.kr/section_news/news_read.jsp?news_id=N1000813864
|}}</ref> [[호남선]]은 [[용산역|용산]]에서 [[광주송정역|광주송정]]까지는 약 1시간 31분에서 약 2시간 37분, [[목포역|목포]]까지는 약 2시간 15분에서 약 3시간 15분 사이로 주파한다.
 
[[2009년]] [[1월 11일]], [[한국철도공사]]는 세계철도연맹 통계 자료를 인용하여 [[2007년]] KTX 이용객 수가 100억 인km(passenger-kilometer)를 달성해 세계 9위를 기록하였다고 발표하였다.<ref>{{뉴스 인용
|제목 = KTX 이용률, 세계 고속철도 중 4위
|출판사 = 아이뉴스24
|날짜=2009-01-11
|url=http://itnews.inews24.com/php/news_view.php?g_serial=385288&g_menu=022600&fm=rs
|}}</ref>
 
[[2010년]] [[12월 15일]] [[경전선]] 복선 전철이 개통됨에 따라 [[서울역]]에서 [[동대구역]]까지 [[경부고속선]]을 이용하고, [[동대구역]]에서 [[밀양역]]까지 경부선을 이용하며, 이후 [[진영역]], [[창원중앙역]], [[창원역]], [[마산역]]에 정차하는 경전선 KTX의 운행이 시작되었고, [[2012년]] [[12월 5일]]부터 일부 열차가 [[진주역]]까지 연장 운행하고 있다. 평균 소요 시간은 3시간에서 3시간 30분 정도이며, [[KTX-I]] 열차<ref>한편 [[진영역]]은 [[KTX-I]] 정차를 위하여 임시 승강장을 건설하였었는데, 임시 승강장 위에는 고압 송전 선로가 있어 안전성 문제로 407,411,412,416열차를 제외하고 모두 무정차 통과한다.</ref> 와 [[KTX-산천]] 열차가 운행중이다.<ref>{{뉴스 인용
|제목 = KTX 마산 ~ 서울 환승 없이 간다
|출판사 = 경향신문
|날짜=2010-12-16
|확인날짜=2011-01-05
|url=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1012142212265&code=950306
|}}</ref>
 
[[2011년]] [[10월 5일]] [[전라선|전라선 KTX]] 복선 전철이 개통됨에 따라 [[용산역]]에서 [[여수엑스포역]] 구간에 고속철도가 운행하기 시작하였다. [[2016년]] [[12월 9일]] 기준으로 1일 왕복 28회 운행하고, 4개 열차가 기존의 호남선을 경유하여 운행한다. 12개 열차가 [[KTX-I]]로, 나머지 16개 열차가 [[KTX-산천]]으로 편성되며, 이 중 상행 6회, 하행 4회의 열차는 호남선 KTX-산천과 결합하여 운행한다. [[오송역]]은 [[2012년]] [[10월]]까지 전 열차가 통과하기도 하였다. [[용산역]]에서 [[오송역]]까지 [[경부고속선]]을 공용으로 이용하고, [[오송역]]에서 [[익산역]]까지 [[호남고속선]] 또는 기존의 [[호남선]]을 이용하고, [[익산역]]에서 [[여수엑스포역]]까지 전라선을 이용하여 평균 2시간 40분에서 3시간 40분이 걸린다.
 
[[2013년]] [[1월 1일]]부터는 경부선 [[구포역 (한국철도공사)|구포]] 경유 KTX와 경전선 KTX 중 252·255·260·403열차가 [[경산역]]에 정차하고 있다.
 
[[2014년]] [[6월 30일]]부터는 전체 열차중 왕복 20회가 [[인천국제공항역]]까지 연장 운행하기 시작하였다. 이렇게 되어 부산, 영남, 호남 지역에서 환승하지 않고 인천국제공항까지 갈 수 있게 되었다. 이와 함께 [[인천광역시]]에서도 [[KTX]]를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2018년]] [[3월 23일]]부로 운행이 중단되었다.
 
[[2015년]] [[4월 2일]]부터는 동해선 복선 전철의 개통으로 [[경부고속철도]]가 [[포항역]]까지 운행하는 노선이 운행하고 있다. 또한 [[호남고속선]]이 개통함에 따라 [[서대전역]]을 경유하는 노선도 신설되었으며 [[목포역]] 종착 열차 / [[서대전역]] 종착 열차 / [[여수엑스포역]] 종착 열차 / [[익산역]] 종착 열차 등으로 다양하다. 그리고 [[김제역]], [[장성역]], [[광주역]], [[함안역]]의 KTX 여객 취급이 폐지되었다.
 
또한 [[2015년]] [[8월 1일]]부터는 [[경부고속철도]] 중 대전, 대구 도심 구간이 완공되어 평균 소요시간이 약 5분 단축되었다.
 
[[2016년]] [[12월 9일]]부터는 [[서울역]]에는 경부고속철도 계통만, [[용산역]]에는 호남고속철도 계통만 정차하는 기존의 형태를 바꾸어 일부 경부고속철도 열차가 [[용산역]]에서 시종착하고, 일부 호남고속철도 열차가 [[서울역]]과 [[용산역]]에 모두 정차하게 되었다. 그리고 최소정차편성(서울-대전-동대구-부산)이 생기면서 2시간 16분으로 줄어들었다
 
[[2017년]] [[12월 22일]]부터 [[서울역]], [[청량리역]], [[상봉역]]에서 [[강릉역]]으로 가는 [[강릉선]] KTX가 개통되었다. 향후 EMU-250이 도입되기 전까지 운행하며, 2018년 동계 올림픽과 동계 패럴림픽이 열리는 기간에는 [[인천공항2터미널역]]에서 출발하는 KTX를 이용할 수 있었다.
 
[[2018년]] [[3월 23일]]에는 공항철도 KTX 운행이 폐지되었다.
 
== 선로 ==
{| class="wikitable"
! rowspan="2" | 상태
! rowspan="2" | 선로
! rowspan="2" | 구간
! rowspan="2" | 길이 <small>(km)</small>
! rowspan="2" | 여객 취급 개시일
! colspan="2" | 속력 <small>(km/h)</small>
|-
! 설계
! 운행
|-
| {{Yes|완공}}
| style="text-align: center;" | [[경부고속선]] <small>(1단계)</small>
| [[경부고속선#시흥연결선|시흥연결선]] ~ [[경부고속선#대구북연결선|대구북연결선]]
| style="text-align: right;" | 223.6
| 2004년 4월 1일
| 350
| 305
|-
| {{Yes|완공}}
| style="text-align: center;" | [[경부선]] <small>(서울 ~ 대전)</small>
| [[서울역]] ~ [[대전역]]
| style="text-align: right;" | 166.3
| 2010년 11월 1일
| 150
| 150
|-
| {{Yes|완공}}
| style="text-align: center;" | 경부선 <small>(동대구 ~ 부산)</small>
| [[동대구역]] ~ [[부산역]]
| style="text-align: right;" | 115.4
| 2004년 4월 1일
| 150
| 150
|-
| {{Yes|완공}}
| style="text-align: center;" | [[경의선]]
| [[서울역]] ~ [[행신역]]
| style="text-align: right;" | 14.9
| 2004년 4월 1일
| 90
| 90
|-
| {{Yes|완공}}
| style="text-align: center;" | [[호남선]] <small>(서대전 ~ 익산)</small>
| [[경부고속선|대전북연결선]] ~ [[서대전역]] ~ [[익산역]]
| style="text-align: right;" | 87.9
| 2004년 4월 1일
| 120
| 120
|-
| {{Yes|완공}}
| style="text-align: center;" | [[호남선]] <small>(광주송정 ~ 목포)</small>
| [[광주송정역]] ~ [[목포역]]
| style="text-align: right;" | 66.8
| 2004년 4월 1일
| 180
| 180
|-
| {{Yes|완공}}
| style="text-align: center;" | 경부고속선 <small>(2단계)</small>
| [[경부고속선|대구남연결선]] ~ [[경부고속선|부산연결선]]
| style="text-align: right;" | 122.8
| 2010년 11월 1일
| 350
| 305
|-
| {{Yes|완공}}
| style="text-align: center;" | [[경전선]] <small>(미전 ~ 마산)</small>
| [[미전역|미전신호소]]<ref>단, KTX 여객 취급을 하지 않는다.</ref> ~ [[마산역]]
| style="text-align: right;" | 42.0
| 2010년 12월 15일
| 150
| 150
|-
| {{Yes|완공}}
| style="text-align: center;" | [[전라선]]
| [[익산역]] ~ [[여수엑스포역]]
| style="text-align: right;" | 180.4
| 2011년 10월 5일
| 200 ~ 230
| 200<ref>(단, 상행 702편 열차는 230)</ref>
|-
| {{Yes|완공}}
| style="text-align: center;" | 경전선 <small>(마산 ~ 진주)</small>
| [[마산역]] ~ [[진주역]]
| style="text-align: right;" | 49.3
| 2012년 12월 5일
| 150
| 150
|-
| {{Yes|완공}}
| style="text-align: center;" | [[호남고속선]] <small>(1단계)</small>
| [[오송역]] ~ [[광주송정역]]
| style="text-align: right;" | 182.3
| 2015년 4월 2일
| 350
| 305
|-
| {{Yes|완공}}
| style="text-align: center;" | [[동해선]]
| [[경부고속선#건천연결선|건천연결선]] ~ [[모량역]] ~ [[포항역]]
| style="text-align: right;" | 38.4
| 2015년 4월 2일
| 200
| 200
|-
| {{Yes|완공}}
| style="text-align: center;" | 경부고속선<br /><small>(대전, 대구 도심 구간)</small>
| 대전 도심 구간 <br />대구 도심 구간
| style="text-align: right;" | 18.2 <br />27.1
| 2015년 8월 1일
| 350
| 305
|-
| {{Yes|완공}}
| style="text-align: center;" | [[중앙선]]
| [[청량리역]] ~ [[서원주역]]
| style="text-align: right;" | 86.4
| 2017년 12월 22일
| 230
| 200
|-
| {{Yes|완공}}
| style="text-align: center;" | [[강릉선]]
| [[서원주역]] ~ [[강릉역]]
| style="text-align: right;" | 120.3
| 2017년 12월 22일
| 250
| 200
|-
| {{Partial|계획 중}}
| style="text-align: center;" | 경부고속선 <small>(서울 도심 구간)</small>
| [[광명역]] ~ [[수색역]]
| style="text-align: right;" | ?
| ?
| ''350''
| ''305''
|-
| {{Partial|계획 중}}
| style="text-align: center;" | 호남고속선 <small>(2단계)</small>
| [[광주송정역]] ~ [[임성리역]]
| style="text-align: right;" | ?
| ?
| ''350''
| ''305''
|-
| {{No|폐지}}
| style="text-align: center;" | [[호남선]] <small>(익산 ~ 광주송정)</small>
| [[익산역]] ~ [[광주송정역]]
| style="text-align: right;" | 97.8
| 2004년 4월 1일 ~ 2015년 4월 1일
| 150
| 150
|-
| {{No|폐지}}
| style="text-align: center;" | 광주선
| [[북송정역|북송정삼각선]] ~ [[광주역]]
| style="text-align: right;" | 13.7
| 2004년 4월 1일 ~ 2015년 4월 1일
| 100
| 100
|-
| {{No|폐지}}
| style="text-align: center;" | 경부선 <small>(대전 ~ 동대구)</small>
| [[대전역]] ~ [[동대구역]]
| style="text-align: right;" | 160.0
| 2007년 6월 1일 ~ 2010년 11월 1일
| 150
| 150
|-
| {{No|폐지}}
| style="text-align: center;" | [[인천국제공항철도]]
| [[수색역|수색직결선]] ~ [[인천공항2터미널역]]
| style="text-align: right;" | 45.3
| 2014년 6월 30일 ~ 2018년 3월23일
| 200
| 140
|}
 
== 정차 ==
* [[광명시|경기도 광명시]]는 [[천안시|충청남도 천안시]], [[청주시|충청북도 청주시]]보다 인구가 적음에도 불구하고, 많은 KTX 열차가 [[광명역]]에 정차하는데, 이는 [[서울특별시]] 남서부, [[인천광역시]], [[경기도]] 서부 ([[부천시]], [[시흥시]], [[안산시]], [[안양시]], [[과천시]], [[군포시]], [[의왕시]] 등)에 거주하는 주민들을 위해서이다.
* [[천안아산역]]이나 [[오송역]]과 같은 경우에는 영남 지역으로 가는 KTX 열차는 과반수 이상이 통과하나, 호남 지역으로 가는 KTX 열차는 과반수 이상이 정차한다.
* 여러 KTX 정차역 중에서 가장 적은 비율로 정차하는 역은 [[김천(구미)역]]이다.
* [[밀양역]]같은 경우에는 [[부산역|부산]]행 KTX 열차는 모든 열차가 정차하나, [[경전선]]을 이용하는 KTX 열차 중에서는 무정차 통과하는 열차도 있다.
* [[서울특별시]], [[부산광역시]], [[대구광역시]], [[대전광역시]], [[광주광역시]]에 위치한 KTX 정차역은 모든 KTX 열차가 정차한다.
* [[경부고속선]] 계통을 운행하는 열차들은 [[서울역]] 또는 [[용산역]], [[대전역]], [[동대구역]], [[부산역]]에는 모든 열차가 정차한다.
* [[구포역 (한국철도공사)|구포역]]을 경유하는 열차들은 [[서울역]] 또는 [[용산역]], [[대전역]], [[동대구역]], [[밀양역]], [[구포역 (한국철도공사)|구포역]], [[부산역]]에는 모든 열차가 정차한다.
* [[수원역]]을 경유하는 열차들은 [[서울역]], [[영등포역]], [[수원역]], [[대전역]], [[동대구역]], [[부산역]]에는 모든 열차가 정차한다.
* [[경전선]] 계통을 운행하는 열차들은 [[서울역]] 또는 [[용산역]], [[대전역]], [[동대구역]], [[마산역]]에는 모든 열차가 정차하고, [[진주역]]까지 운행하는 열차들은 진주역까지 모든 열차가 정차한다.
* [[동해선]] 계통을 운행하는 열차들은 [[서울역]] 또는 [[용산역]], [[대전역]], [[동대구역]], [[포항역]]에는 모든 열차가 정차한다.
* [[대전역]]까지 운행하는 모든 열차들은 [[서울역]], [[광명역]], [[천안아산역]], [[오송역]], [[대전역]] 모두 정차한다.
* [[호남고속선]] 계통을 운행하는 열차들은 [[서울역]] 또는 [[용산역]], [[익산역]], [[광주송정역]], [[나주역]], [[목포역]]에는 모든 열차가 정차한다.([[함평나비축제]] 기간에는 [[함평역]]에 한함)
* [[전라선]] 계통을 운행하는 열차들은 [[서울역]] 또는 [[용산역]], [[익산역]], [[전주역]], [[남원역]], [[순천역 (전라남도)|순천역]], [[여수엑스포역]]에는 모든 열차가 정차한다.
* [[서대전역]]을 경유하는 열차들은 [[서대전역]], [[계룡역]], [[논산역]]까지 모든 열차가 정차한다. ([[서대전역]]을 종착으로 하는 열차는 위의 [[대전역]]까지 운행하는 모든 열차와 마찬가지이다.)
* [[강릉선]] 계통을 운행하는 열차들은 [[청량리역]]과 [[강릉역]]에는 모든 열차가 정차하며, [[서울역]]에서 출발하는 열차도 있다.
 
== 운영 ==
[[경부고속선]], [[호남고속선]] 등 [[고속철도]] 운행을 위하여 신설된 노선만 이용하는 것이 아니고, 기존 [[경부선]], [[호남선]] 등 노선도 활용하고 있다. 현재 [[경부선]], [[경전선]], [[동해선]], [[호남선]], [[전라선]] 등 5개 노선으로 안내되며, 그 안에서 경유지에 따른 [[운행 계통]] 분류를 합하면 7개 [[운행 계통]]으로 운행된다. 각 계통의 상세 사항에 대해서는 [[경부고속철도]], [[호남고속철도]], [[경전선]], [[전라선]], [[동해선]] 문서를 참조하기 바란다.
 
== 시스템 ==
제한최고속도는 300&nbsp;km/h였으나, 2008년부터 5&nbsp;km/h를 높인 305&nbsp;km/h로 운행한다.<ref>{{뉴스 인용|제목=KTX 최고속도 305km/h 로 올려|url=http://www.daejonilbo.com/news/newsitem.asp?pk_no=790045|출판사=대전일보|저자=노형일|날짜=2008-11-27 |확인날짜=2010-05-09}}</ref>
 
=== 차량 ===
{{참조|KTX-I|KTX-산천}}
 
차체는 연강(마일드 스틸)제이며, [[테제베]] 계열의 열차의 특징이라고 할 수 있는 [[관절대차]]를 채용하고 있다. 주전동기로는 1,130kW의 [[동기전동기]]를 사용한다. 선두부는 [[스페인]]의 [[AVE]]와 같은 금형을 사용하고 있으며, 기본 사양은 [[SNCF TGV 레조|TGV 레조]]와 동일하다. 다만 20량으로 장편성화된 KTX의 경우 출력 증대를 위한 모터 블록의 추가와 직류 1.5kV 장치의 제거, 답면구배 조정<ref>객차 기준 1/40에서 1/20으로 조정된다.</ref> 등이 실시되었고, [[회생 제동]]도 추가되었다.
 
대차는 기관차의 경우 통형고무식 대차, 객차는 한쪽지지 액슬빔식 볼스터리스 대차를 채용했다. 2차 서스펜션으로는 [[공기 용수철]]을 사용하며, 축거는 각각 3.0m와 2.5m이다. 고속으로 주행하기 때문에 [[사행동]] 억제를 위한 [[사행동#요댐퍼|요댐퍼]]가 설치되어 있다.
 
현재 운행되고 있는 차량은 [[프랑스]] [[알스톰]] 사의 기술로 개발 제작된 차량으로, 시제차 001, 002편성부터 012편성까지는 프랑스 알스톰 사 현지 제작, 013편성부터 046편성까지는 [[대한민국]] [[현대로템|로템]] 사에서 라이센스 계약을 하여 조립 생산하였다. 따라서 탑승 계단에 있는 명판의 경우, 001 ~ 012편성은 프랑스 알스톰 사의 마크가 붙어 있는 명판이, 013 ~ 046편성은 대한민국 현대로템 사의 마크와 '''"Licensed by ALSTOM"'''이라는 문구가 함께 붙어 있는 명판이 있다. 특히 001, 002편성은 [[1998년]]에 대한민국에 반입되었으며 이는 개통 전의 시운전 및 학술적 연구를 위한 목적이다.
 
<gallery>
파일:Ktx truck.jpg|차량의 [[관절대차]]
</gallery>
 
=== 신호 ===
한국고속철도는 처음에 열차를 도입할 때부터 테제베에 기초를 두었으므로 테제베에서 사용하는 신호체계로써 [[자동 열차 제어 장치]] 시스템의 일종인 [[TVM430]] 시스템을 사용하고 있다.
 
이 TVM430 시스템은 한 시간에 최대 430km까지 대비할 수 있는 시스템이며, 프랑스에 본사를 두고 있는 [[CSEE]] (지금의 안살도)사에서 개발하였다.
 
정비 차량이나 긴급 상황에서 구원 운전을 하기 위해 [[한국철도공사 7500호대 디젤 기관차|7500호대 디젤 기관차]] 일부에 장착되어있다.
 
== 운임 ==
935석인 KTX 한 편이 서울에서 부산까지 가는 데 전기료가 108만[[대한민국 원|원]]이 들고 기존선으로 구포를 경유하게 되면 97만원, 수원을 경유하게 되면 85만원이 든다.<ref>[https://web.archive.org/web/20090629060858/http://article.joins.com/article/money/office/article.asp?total_id=3663232 취임 100일 맞은 허준영 코레일 사장 “기차로 떠나는 지역 테마여행 상품 더 개발”] [[중앙일보]]</ref> 서울에서 부산까지의 [[부가가치세]]<ref>대한민국의 철도 교통 수단 중 유일하게 [[부가가치세]]가 있다. 기존선 경유 [[KTX]] 이하 열차는 면세 대상이다.</ref>를 포함한 기준 운임은 [[2016년]] [[1월 1일]] 기준으로(현재요금) 특실 83,700원, 일반실 59,800원이고, 서울에서 대전까지의 기준 운임은 특실 33,200원, 일반실 23,700원이며, 구포경유 열차는 서울에서의 부산까지의 기준 운임은 특실 75,500원, 일반실 53,900원이며, 수원경유 열차는 서울에서의 부산까지의 기준 운임은 특실 68,300원, 일반실 48,800원이며, 서울에서의 대전까지의 기준 운임은 특실 33,200원, 일반실 23,700원이며, 파격가 할인을 이용하면 작게는 15%에서 많게는 30%까지 할인받을 수 있다. 비즈니스카드, 청소년카드, 경로카드를 구입하면 최대 30% 할인을 받을 수 있었으나, 현재는 발매가 중지된 상태이다. 가족爱카드 소지자가 가족석을 이용할 경우 40%, 미소지자가 이용할 경우 15%의 할인율이 적용된다.<ref>가족爱카드 소지자는 출발 30일전부터, 미소지자는 출발 2일전부터 예매가 가능하다.</ref><ref>[[KTX-산천]]의 경우 가족석 할인이 없다.</ref><ref>가족爱카드는 2~8인 가족(친인척 포함)을 등록해 사용 가능한 티켓이며, KTX 가족석뿐만 아니라 일반열차까지도 20% 할인을 받을 수 있다. 연회비 46,000원.</ref> 출퇴근의 경우 토요일과 일요일, 공휴일을 제외한 평일에 정기승차권으로 최대 50%(청소년은 60%)까지 할인받을 수 있다. 이 외에도 외국인 전용 할인 프로그램인 KR PASS가 있다.<ref>{{웹 인용 |url=http://info.korail.com/2007/eng/etr/etr02000/w_etr02100.jsp# |제목=코레일 홈페이지(영문) - Foreigners Railroad Traveling : KRPASS |확인날짜=2009-08-25 |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090823035548/http://info.korail.com/2007/eng/etr/etr02000/w_etr02100.jsp# |보존날짜=2009-08-23 |깨진링크=예 }}</ref>
 
그 이외에도 [[ITX-새마을]], [[무궁화호]], [[누리로]], [[인천국제공항철도]] 직통 열차를 한국고속철도와 1장의 승차권으로 상호 환승할 시 이 4종류 열차에 대하여 30%<ref>동일 구간의 [[새마을호]] 운임 미만으로 내려가지 않으며 [[인천국제공항철도]]의 직통열차는 6,900원을 적용한다.</ref>를 할인하고 있다. 단, [[인천국제공항철도]] 일반 열차를 비롯한 [[수도권 전철]], [[경부선]]과 [[중앙선]], [[호남선]] KTX와 [[인천국제공항철도]] 직통열차 간 환승 등과 같이 물리적 이유로 인해 1장의 승차권으로 발매되지 않는 경우, 한국고속철도를 이용하지 않고 환승 승차권을 발매할 경우는 제외되며, [[ITX-청춘]]의 경우도 1장의 환승 승차권 발매 자체가 불가능<ref>예를 들어 [[춘천역|춘천]] - [[용산역|용산]] - [[광주역|광주]] 등으로의 발매가 불가능하다.</ref>하여 환승 할인이 불가능하다.
 
한국고속철도는 한국철도공사의 요금 할인정책을 따르고 있기 때문에, 장애인이나 노인과 어린이에 대한 할인 규정은 한국철도공사가 운행하는 다른 일반열차의 요금 할인정책이 똑같이 적용되고 있다.
 
== 미래 ==
{{불확실 문단|철도}}
* [[호남고속철도]]의 기점을 [[서울특별시]] [[강남구]]의 [[수서역]] 인근으로 하는 계획은 백지화되었지만, 금천구청역 이북의 과밀 노선에 대한 대책 중 하나로, 그리고 서울과 수도권 동남부, 동탄신도시 지역에 고속철도 서비스를 공급하는 차원에서 [[수서평택고속선]]이 2016년 12월 9일 개통되었다. 정차역은 종착역인 서울 [[수서역]]과 경기도의 [[동탄역]] 및 [[지제역]]이다. 경기도에서 구상 중인 GTX의 킨텍스 - 삼성 - 동탄 노선이 수서평택고속선의 일부 구간을 공용할 계획이다.
* 현재 [[고속철도]], 일반철도, [[광역철도]]가 공용하여 극심한 선로용량 부족을 겪고 있는 [[경부선]] [[금천구청역]] 이북 노선에 대한 대책으로, 서울 시내 구간에 지하 고속철도 신선을 건설하는 계획이 있다.{{출처|날짜=2008-06-14}}
* [[서울]] - [[춘천시|춘천]] - [[속초시|속초]] - [[강릉시|강릉]]을 연결하는 동서고속철도 계획이 있는데, 경제성 및 타당성이 높은 것으로 분석돼 향후 사업의 조기 추진에 청신호가 되고 있다. 용역 연구 결과에 따르면 서울∼춘천∼속초 간 동서고속철도는 5개 대안 노선이 검토된 가운데 경춘선 복선 전철을 연결하는 기존 노선 활용 방안(제5안)이 최적안으로 제시됐다.<ref>[http://www.kado.net/news/articleView.html?idxno=437065 춘천∼속초 동서고속철 '파란불'] 강원도민일보</ref>
* [[한국철도기술연구원]]에서는 계약 당시 [[프랑스]]의 [[알스톰]] 사에서 전수받은 기술을 바탕으로 [[2003년]], 한국형 고속철도 차량인 [[HSR-350X]]를 개발하였다. 이 차량은 시제 차량으로, [[현대로템]]에서는 이를 바탕으로 양산 차량인 [[KTX-산천]]을 개발하였다. [[2006년]] [[한국철도공사]]에 10량, 10편성의 공급 계약을 맺었으며, [[2010년]] [[3월 2일]]부터 [[경부선]]과 [[호남선]]에 투입되어 운행중이다. 현재 한국철도기술연구원과 현대로템은 430&nbsp;km/h급의 차량인 [[HEMU-430X]]을 개발하고 있으며, [[2015년]] 현재 시운전을 하고 있다. 하지만 진행은 차량의 보수 등으로 인해 계속 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2016년]]에는 2층 열차 도입을 목표로 하고 있다.<ref>[http://news.kukinews.com/article/view.asp?page=1&gCode=eco&arcid=0007265645&cp=nv 2층 고속열차·430km 차세대 열차 ‘해무’ 2015년까지 상용화…정부, 철도비전 발표] 국민일보</ref>
 
== 승객 수송 ==
{{출처 필요 문단|날짜=2010-03-02}}
[[파일:Korail ms test.JPG|섬네일|KTX 열차 승차권<ref>자동발매기와 여행사 등의 철도승차권 판매대리점에서는 이 승차권을 사용하고 있다.</ref>]]
[[파일:KTX ticket new.JPG|섬네일|KTX 열차 승차권<ref>철도역사([[인천국제공항철도]] 일부역사 포함) 매표창구에서 구입한 승차권에만 해당한다.</ref>]]
[[2004년]] 4월, 처음 고속철도가 도입되었을 때, KTX는 일평균 7만 9백여 명의 승객을 수송했는데, 이는 처음 예상치의 70% 수준이었다. 매일 21억원의 운영 수입을 올렸으나, 초기 5조원으로 예상했던 건설비용이 18조원으로 뛰면서 발생한 건설 비용 융자를 갚기엔 부족한 수준이었다.
 
그러나 승객 수송량은 조금씩 증가하고 있다. [[2006년]] [[1월 9일]], [[한국철도공사]]는 [[2005년]] 12월의 일 평균 승객 수송량이 10만 4600명이라 발표했는데, 이는 개통당시에서 50% 가량 증가한 수치이며 하루 평균 운영 수입은 28억원으로 증가, [[2007년]] 초에는 손익 분기점을 넘길 것으로 예상된다.(지금 2019년임)
 
[[2005년]] 하반기 기준으로, 경부고속선의 KTX 평균 좌석 점유율은 79.9%로, 시각표 개정 때마다 운행 편수가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호남선 계통의 경우는 50% 미만의 좌석 점유율로, 개선이 요구되고 있다.
 
또한 [[2007년]] 4월에는 KTX의 탑승객 수가 1억명을 돌파하였다고 [[한국철도공사]]에서 발표하였다.
 
각 지역별 변동은 아래 틀에서 연결된 각 역별 페이지에서 참고한다. 현재 [[한국철도공사]]에서 일반에 공개한 최신 통계 자료는 [[2005년]] 철도통계 연보이기 때문에, [[무궁화호]] 승객수가 정점에 도달하였던 [[2001년]]부터 [[2005년]]에 이르는 변동을 위키에 정리하였다. KTX로 인해 가장 극적인 승객 증가가 있었던 곳은 [[동대구역]]이다.
최근인 2013년에는 누적 이용객 수가 4억명을 돌파하였다고 한국철도공사가 발표하였다.
 
== 사고 ==
=== 2007년 ===
* [[2007년]] [[6월 14일]] : [[서울역]]을 출발해 [[부산역]]으로 가던 [[KTX-I|KTX]] 열차가 [[밀양시]] [[상동역 (밀양)|상동역]] 인근을 통과하던 중 충격완화장치([[사행동#요댐퍼|요댐퍼]])가 선로에 떨어져 열차에 자갈이 튀는 사고가 발생. 1명이 부상을 입고 주차되어 있던 차량 2대가 파손되었다. 해당 열차는 50분 지연 후 [[부산역]]에 도착하였다.
{{참조|부산역 KTX 열차 충돌 사고}}
 
* [[2007년]] [[11월 3일]] : [[부산역]]을 출발할 예정이던 제 110열차(KTX 025편성)와 출발을 위해 [[부산역]]으로 진입하던 제 H112열차(KTX 038편성)가 [[부산역]] 구내에서 충돌하였다. 승객 2명이 경상을 입고 025편성과 038편성의 전두부가 부서졌다. 제 110열차는 지연 운행하였으며, 운행 예정이던 제112열차는 운휴하였다. 사고 원인은 H112열차의 기장이 신호를 인지하지 못해서이다.
{{참조|일직터널 열차 사고}}
 
=== 2011년 ===
* [[2011년]] [[2월 11일]] : [[부산역]]을 출발해 [[광명역]]으로 가던 [[KTX-산천]] 224열차가 후미 6량이 광명역 진입 500m를 앞두고 선로 전환기 고장으로 탈선하였다. 이 사고로 일부 승객들이 부상을 입고 병원 치료를 받는 등의 혼란이 발생되었다.<ref>{{뉴스 인용|제목 = KTX 탈선 사고…운행중단으로 대혼란|출판사 = [[동아일보]]|날짜 = 2011-02-11 |url=http://news.donga.com/3/all/20110211/34750223/1|}}</ref> 또한, 탈선한 열차를 이송함과 동시에 복구 작업이 계속되어 29시간만에 복구되었으며<ref>{{뉴스 인용|제목 = KTX, 탈선사고 29시간만에 운행 재개|출판사 = [[국민일보]]|날짜 = 2011-02-12 |url=http://news.kukinews.com/article/view.asp?page=1&gCode=soc&arcid=0004633897&cp=nv|}}</ref>, 복구 작업동안 경부고속철도와 호남고속철도 [[대전역|대전]]([[서대전역|서대전]]) ~ [[광명역|광명]] 구간은 기존 [[경부선]]으로 우회하였다.<ref>{{뉴스 인용|제목 = 관악역을 지나치는 산천 KTX|출판사 = [[뉴시스]]|날짜 = 2011-02-12|url = http://www.newsis.com/gallery/view.htm?cID=1&pID=1&page=1&s_skin=&s_date=&e_date=&s_k=&pict_id=NISI20110212_0004063621|5 = |확인날짜 = 2011-02-14|보존url = https://web.archive.org/web/20131019183240/http://www.newsis.com/gallery/view.htm?cID=1&pID=1&page=1&s_skin=&s_date=&e_date=&s_k=&pict_id=NISI20110212_0004063621#|보존날짜 = 2013-10-19|깨진링크 = 예}}</ref><ref>{{뉴스 인용|제목 = KTX 열차 탈선…기존 선로 우회운행 중|출판사 = [[경향신문]]|날짜 = 2011-02-11 |url=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1102111733351&code=940202|}}</ref> 사고 원인은 선로 전환기 조종 상자에 있는 7mm 규격의 너트 하나가 제대로 잠기지 않아 발생한 것으로 국토교통부 항공철도사고조사위원회가 밝혔으며<ref>{{뉴스 인용|제목 = "KTX 탈선사고, 7mm 너트가 원인"|출판사 = [[YTN]]|날짜 = 2011-02-11 |url = http://www.ytn.co.kr/_ln/0102_201102141151049315|}}</ref> 해당 사고열차에는 [[대한민국의 대통령]] 전용객차로 유사시 지정될 수 있는 차량임이 밝혀지기도 했다.<ref>{{뉴스 인용|url=http://news.donga.com/3/all/20110214/34794583/1|제목=탈선 KTX에 대통령 전용칸 3량 있었다
|날짜=2011-02-14 |출판사=동아일보}}</ref>
 
* [[2011년]] [[2월 25일]] 에는 부산역을 출발해 서울역으로 가던 KTX 제 106열차가 화성시 반월터널 인근에서 멈췄다. 사고는 열감지장치의 작동에 의해 일어났다.
 
* [[2011년]] [[3월 20일]] 금정터널 안에서 부산발 서울행 KTX가 동력장치 고장으로 회차 했다.<ref>[http://media.daum.net/society/others/view.html?cateid=1067&newsid=20110323100509342&p=ohmynews KTX열차 사고·고장, 안 알려진 3건 더 있다], 오마이뉴스, 2011년 3월 23일</ref>
 
* [[2011년]] [[4월 4일]] 에는 하루에만 KTX 두 대가 철도 위에서 멈춰 섰다. 부산에서 출발한 서울행 KTX는 국내 최장인 금정터널(20.3km) 안에서, 용산에서 출발한 목포행 [[KTX-산천]]은 한강철교 위에서 정차했다.<ref>[http://media.daum.net/society/others/view.html?cateid=1067&newsid=20110418132536226&p=sisain KTX 요즘 왜 고장이 잦나 했더니], 시사인라이브, 김은지 기자, 2011년 4월 18일</ref>
 
* [[2011년]] [[5월 6일]] 에는 부산역을 출발해 서울역으로 가던 KTX 제 132열차가 자동차축검지장치의 이상으로 김천구미역 인근에서 멈춰섰다. 그러나 정확한 정차 사유에 따른 안내방송 조차 없어 이용고객들의 강한 불만을 초래하였고 후속 열차도 10여분 가량 지연 운행되었다.
 
* [[2011년]] [[6월 13일]] 오후 6시23분 부산 금정터널 안에서 KTX 145열차가 10여분간 멈춰섰다. 금정터널 신호기에서 이상신호를 발견하고 열차를 정차시켰으며 문제가 없다는 것을 확인한 뒤 다시 출발했다고 [[코레일]]측은 밝혔다.<ref>{{뉴스 인용|제목 =부산 금정터널서 KTX 또 정차..올들어 3번째|출판사 = [[연합뉴스]]|날짜 = 2011-06-13 |url=http://media.daum.net/society/others/view.html?cateid=1067&newsid=20110613222507821&p=yonhap|}}</ref>
 
* [[2011년]] [[7월 15일]] [[서울역|서울]]을 출발해 [[마산역|마산]]으로 가던 [[KTX-산천]] 열차가 오전 11시 20분경부터 화재경보기가 울려 퍼졌고 경보음과 함께 객차로 연기가 스며들어 열차에 타고있던 어린이들이 기침할 정도였으며 불안한 이용고객들이 열차 정차를 요구했고 결국은 [[밀양역]]에서 멈춰섰다. 연기가 난 곳은 배전반으로 이는 전력선이 열차 전체로 연결되는 부위이다. 이후 해당 열차 이용고객들은 뒷쫓아오던 [[동대구역|대구]]발 [[마산역|마산]]행 [[무궁화호]]로 열차를 갈아타야 했다.<ref>{{뉴스 인용|제목 =KTX, 또 사고...달리던 열차에서 연기|출판사 = [[YTN]]|날짜 = 2011-07-15 |url=http://www.ytn.co.kr/_ln/0115_201107151814538283|}}</ref>
 
* [[2011년]] [[7월 17일]]에도 하루에만 KTX 두 대가 고장 사고를 냈다. 이날 오전 9시 30분 부산을 출발해 서울로 향하던 KTX 120열차가 오전 11시쯤 [[김천시]] 황악터널 안에서 멈춰서 일부 이용고객들이 불안감과 찜통더위 속에 발작 증세를 보이는 등의 불편이 있었으며 1시간 뒤에 운행을 재개, 낮 12시 30분쯤 [[대전역]]에 도착하였으나 일부 이용고객들이 손배소를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같은날 오후 1시 45분 부산을 출발해 서울로 향하던 KTX 252열차가 냉방 장치 고장으로 이용고객들이 2시간여동안 찜통더위에 시달리다 [[대전역]]에서 갈아타야 했다.<ref>{{뉴스 인용|제목 =KTX 또 사고..승객 소송|출판사 =[[대전문화방송|MBC대전문화방송]]|날짜 =2011-07-17|url =http://www.tjmbc.co.kr/cnt/news/news_search_read.html?uid=27376&m_sub=news_search.html&mid=166&key=ktx&orderBy=&fromDate=&toDate=&onair_newscode=000005|5 =}}{{깨진 링크|url=http://www.tjmbc.co.kr/cnt/news/news_search_read.html?uid=27376&m_sub=news_search.html&mid=166&key=ktx&orderBy=&fromDate=&toDate=&onair_newscode=000005 }}</ref>
 
* [[2011년]] [[7월 30일]] 오후 8시 30분쯤 [[세종특별자치시]]<ref>당시에는 [[충청남도]] [[연기군]]이었다.</ref> [[전동면]] 청남건널목에서 서울발 부산행 KTX 607(현 357)(KTX 001편성)열차와 승용차가 충돌해 승용차운전자가 그자리에서 숨지고, KTX 001편성의 선두차량 연결기 부분이 파손되었으며, 대체 열차 마련에 3시간여가 소요되는 등 열차 운행에 차질을 빚었다.<ref>{{뉴스 인용|제목 =세종서 KTX-승용차 충돌…1명 숨져|출판사 = [[기독교방송|CBS기독교방송]]|날짜 = 2011-07-30 |url=http://dj.local.cbs.co.kr/Nocut/Show.asp?LocalCD=10201070&NewsCD=1874459|}}</ref><ref>{{뉴스 인용|제목 =KTX-승용차 충돌, 운전자 1명 사망‥승객들 불편|출판사 =[[문화방송|MBC문화방송]]|날짜 =2011-07-31|url =http://imnews.imbc.com//replay/nwtoday/article/2897960_5782.html|5 =}}{{깨진 링크|url=http://imnews.imbc.com//replay/nwtoday/article/2897960_5782.html }}</ref>
 
* [[2011년]] [[8월 14일]] 오후 3시 30분쯤 [[대전역]] 진입을 앞두고 행신발 부산행 [[KTX-산천]] 307열차의 6호차와 7호차 사이 연결부위에서 소음이 발생해 운행을 중지하고 대체열차를 긴급 투입해 이용고객들을 환승시켜 예정시간보다 36분 늦게 부산으로 떠났다.<ref>{{뉴스 인용|제목 =KTX 열차 소음 발생…승객 환승 불편|출판사 = [[한국방송공사]]|날짜 = 2011-08-14 |url=http://www.kbsnews.com/society/2011/08/14/2340118.html|}}</ref>
 
* [[2011년]] [[8월 31일]] 밤 10시 26분쯤 [[부산역|부산]]을 출발해 [[서울역|서울]]로 향하던 KTX 열차가 [[지천역]] 부근을 지나던 중 멈춰섰고 5분 여 뒤에 운행을 재개했으나 제속도를 내지 못하고 결국 [[대전역]]에서 열차를 갈아타야 했다. 이날 고장 사고는 열차 신호 장치 문제로 인한 것으로 추정된다.<ref>{{뉴스 인용|제목 =KTX, 경북 칠곡에서 고장...5분간 멈춰|출판사 = [[YTN]]|날짜 = 2011-09-01 |url=http://www.ytn.co.kr/_ln/0103_201109010703421129|}}</ref>
 
* [[2011년]] [[9월 27일]] 오전 5시 20분 [[용산역|용산]]을 출발해 [[목포역|목포]]로 가려던 [[KTX-산천]] 401열차의 조명 장치가 고장나 20여분 가량 출발이 지연되었다.<ref>{{뉴스 인용|제목 =KTX 산천, 또 고장...용산역서 20분 출발 지연|출판사 = 노컷뉴스|날짜 = 2011-09-27 |url=http://www.nocutnews.co.kr/Show.asp?IDX=1928715|}}</ref>
 
* [[2011년]] [[10월 29일]] 오전 10시 20분경 [[서울역]]을 출발해 [[부산역]]으로 가려던 KTX 001열차가 [[천안아산역]]에서 멈춰섰다. 별도의 관광 안내 가이드 조차 없는 상황에서 열차를 잘못 알고 승차한 [[일본]]인 관광객 8명이 열차 승무원에게 사정을 이야기하고 앞 뒤 열차 상황 등 여러 가지 요인을 고려해 관제센터에서 정차 결정을 내렸다고 [[코레일]]측은 밝혔다.<ref>{{뉴스 인용|제목 = 일본인 관광객 때문에? 멈춰선 부산 직행 KTX|출판사 = [[조선일보]]|날짜 = 2011-10-29 |url=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1/10/29/2011102900696.html|}}</ref>
 
* [[2011년]] [[11월 5일]] 밤 10시 [[서울역]]을 출발해 [[부산역]]으로 가려던 KTX 171열차에서 술에 취해 담배를 피우던 40대 남성을 승무원이 제지하자 소리를 지르고 가방에서 흉기를 꺼내 이용고객에게 휘둘렀으며 이 과정에서 이용고객 1명이 부상을 입고 해당 남성은 중간 정차역에서 강제 하차되었다.<ref>{{뉴스 인용|제목 = KTX에서 흉기 휘두르며 난동부린 40대 남성 붙잡혀|출판사 = [[노컷뉴스]]|날짜 = 2011-11-06 |url=http://www.nocutnews.co.kr/Show.asp?IDX=1966557|}}</ref>
 
* [[2011년]] [[11월 27일]]에는 하루에만 [[KTX-산천]] 두 대가 운행중 멈춰서는 사고를 냈다. [[용산역]]을 출발하여 [[목포역]]으로 가려던 열차는 [[가수원역]] 인근 전차선에 현수막이 걸려서, [[광주역]]을 출발하여 [[용산역]]으로 가려던 열차는 [[광명역]]에 열 감지기 오작동을 일으켜 각각 멈춰섰다.<ref>{{뉴스 인용|제목 = 전차선에 현수막 걸려, 호남선 KTX 10여 분 지연|출판사 = [[한국방송공사]]|날짜 = 2011-11-27|url = http://news.kbs.co.kr/society/2011/11/27/2394883.html|5 = |확인날짜 = 2011-11-28|보존url = https://web.archive.org/web/20160126061125/http://news.kbs.co.kr/society/2011/11/27/2394883.html#|보존날짜 = 2016-01-26|깨진링크 = 예}}</ref><ref>{{뉴스 인용|제목 = KTX 산천, 열차 고장으로 광명역서 멈춰|출판사 = [[문화방송]]|날짜 = 2011-11-28 |url=http://imnews.imbc.com/news/2011/society/article/2972776_8452.html|}}</ref>
 
=== 2013년 ===
* [[2013년]] [[8월 31일]] : [[대구역]]을 무정차로 통과하던 서울행 KTX 제 4012열차(KTX-I 033호기)가 [[대구역]]을 통과하던 중 신호체계 이상 등의 원인으로 추정되는 사고로 무궁화호 제 1204열차의 [[기관차]]와 충돌하였다. 열차가 충돌하여 KTX 10량과 [[무궁화호]] 1량이 탈선하였다. 그리고 부산행 KTX 제 101열차(KTX-I 003호기)가 사고현장에서 비상정지를 하였으나 충돌하였다. 이 사고로 상.하행선이 일시 통제되었다가 하행선이 먼저 임시복구되어 KTX만 통과하고 무궁화호와 새마을호 등은 통제되었다. 사고 KTX들은 [[2013년]] 추석 대수송기간과 [[2014년]] 두 차례에 걸쳐 운행이 재개되었는데 이 과정에서 003호기의 파손차량을 033호기로, 033호기에서 파손되지 않은 2량을 003호기로 각각 옮기는 작업도 병행하였다.
 
=== 2017년 ===
* [[2017년]] [[3월 11일]] : 오전 8시 쯤 대전발 인천공항행 KTX 제 2820열차가 영종대교를 지나던 중 원인을 알 수 없는 이유로 갑자기 제동장치가 작동해 멈췄다.
* [[2017년]] [[7월 31일]] : 오전 부산발 인천공항행 KTX가 [[디지털미디어시티역]] - [[김포공항역]]에서 갑자기 멈췄다.
=== 2018년 ===
* [[2018년]] [[12월 8일]] : 오전 7시 35분경 강릉발 서울행 제 806열차 ([[KTX-산천]] 408호기)가 [[남강릉신호장]] 부근에서 탈선하여 이 사고로 승객 등 200명 중 14명이 타박상 등 경상을 입었다. [[KTX-산천]] 서울행 열차는 8일 오전 7시 [[강릉역]]을 출발한 뒤 약 5분 후 [[탈선]]하여 차량이 심하게 손상되었으며, 선로 800m 가 구부러졌다. 사고 구간의 열차 운행<ref>[[강릉역]]에서 [[남강릉신호장]]까지는 [[단선 (철도)|단선]] 철도이기 때문에 상/하행 열차 운행이 모두 중단되었으며, 또한 [[남강릉신호장]]에서 분기한 선로에는 [[강릉차량사업소]]가 있기 때문에 [[영동선]] 일반열차 일부도 열차 운행에 타격을 입었다.</ref>은 10일 오전 5시 이후부터 재개되었다.
 
== 비판 ==
* 개통 초기에는 [[천안아산역]]과 환승 가능한 [[장항선]] [[아산역]]에서 10분 이상의 장항선 열차 지연으로 많은 비판이 제기되었다. 이것은 당시 [[장항선]]이 단선 비전철 구간이어서 열차 발착에 상당한 지연 요소가 있기 때문이었지만, 이 문제는 [[신창역|신창]] - [[천안역|천안]] 간 [[복선 전철화]] 사업으로 크게 해결되었다.
* 개통 초기 KTX의 잦은 사고로 신뢰도가 줄어들었으며, 열차 운행객이 당초 기대에도 못 미쳤다.<ref>[http://news.hankooki.com/lpage/politics/200501/h2005011418004521000.htm 이 총리, 고속철 정책 실패… 수천억씩 적자 뻔해] {{웨이백|url=http://news.hankooki.com/lpage/politics/200501/h2005011418004521000.htm# |date=20111119045729 }} - 한국일보</ref>
* KTX의 개통과 더불어 철도승차권에도 획기적인 변화가 나타났다. [[도트 프린터]]를 이용한 인쇄방식에서 탈피하여 마그네틱 띠가 부착된 열전사 프린팅 방식의 승차권이 도입되었으며, 자동개집표기를 이용하는 방식으로 변경되었다. 하지만 자동개집표 방식은 막대한 예산을 투자하여 도입하였음에도 불구하고, 구겨진 승차권으로 인해 종이걸림 현상이 나타나는 등의 잦은 부작용이 발생하여 현재는 역사내 자동개집표기를 철거하고 차내에서 승무원에 의한 검표를 하고 있다.
* [[대한민국]]의 국토가 다른 국가에 비해 좁고, 중간에 [[도시]]들이 많다 보니 중간 정차역이 많은 편이다. 가장 소요시간이 긴 열차는 2시간 40분 ~ 2시간 50분대 열차로, [[고속철도]] 임에도 불구하고 소요시간이 너무 길지 않냐는 비판이 일어나고 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무정차 열차로는 2시간 8분 만에 [[서울]] [[부산]]간을 연결하는 열차가 있었으나 현재는 폐지되었다.
* [[호남고속철도]]의 분기점이 당시 예정되었던 [[천안아산역]], [[대전역]]이 아닌 [[오송역]]으로 결정되면서 이에 대한 비판의 목소리가 있다.<ref>{{뉴스 인용|제목=[클릭 이슈] 호남고속철 분기역 ‘오송’ 결정 논란 확산|url=http://www.seoul.co.kr//news/newsView.php?code=seoul&id=20050712012001&keyword=%C8%A3%B3%B2%B0%ED%BC%D3%C3%B6%20%BA%D0%B1%E2%BF%AA%20%A1%AE%BF%C0%BC%DB%A1%AF%20%B0%E1%C1%A4%20%B3%ED%B6%F5%20%C8%AE%BB%EA|출판사=서울신문|날짜=2005-07-12 |확인날짜=2011-03-07}}</ref>
* 경부고속철도 2단계 구간이 개통 이후 영등포역에 수원 경유 KTX가 하루 왕복 2회 정차하는 것이 확정되면서 [[광명시]]가 크게 반발하고 있다.<ref>{{뉴스 인용|제목=[수도권] “광명역 무용지물로 만드나…” KTX 영등포역 정차에 반발|url=http://news.donga.com/3/all/20101103/32338073/1|출판사=동아일보|날짜=2010-11-04 |확인날짜=2011-01-05}}</ref> 반면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의회의 일부 의원은 오히려 [[영등포역]]에 정차하는 열차를 늘려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ref>{{뉴스 인용|제목="KTX '영등포역 정차' 증편 추진하라"|url=http://www.siminilbo.co.kr/article.aspx?cat_code=02020000N&article_id=20101212162700247|출판사=시민일보|날짜=2010-12-12 |확인날짜=2011-01-05}}</ref>
 
== 관련 항목 ==
* [[경부고속철도]]
* [[호남고속철도]]
* [[수서고속철도]]
* [[ITX-새마을]]
* [[한국철도공사]]
* [[한국철도시설공단]]
* [[알스톰]]
* [[현대로템]]
* [[KTX-I]]
* [[KTX-산천]]([[KTX-산천 (110000호대)|110000호대]]{{·}}[[KTX-산천 (140000호대)|140000호대]])
* [[경부고속선]]
* [[경부선]]
* [[호남고속선]]
* [[호남선]]
* [[KTX 여승무원 고용 분쟁]]
* [[TGV]]
 
== 각주 ==
{{각주}}
 
== 외부 링크 ==
{{위키공용분류}}
* [http://www.korail.com 한국철도공사]
* [http://www.kr.or.kr/ 한국철도시설공단]
 
{{대한민국의 열차 등급}}
{{한국고속철도}}
{{고속철도}}
 
[[분류:한국고속철도| ]]
[[분류:대한민국의 철도 운행 계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