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복: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6 개의 출처 구조, 0 개의 링크를 깨진 것으로 표시 #IABot (v2.0beta14)
39번째 줄:
바지는 복색, 재봉방법, 자수 등에 따라 홑바지, 가죽바지, 명주바지, 무명바지 등으로 이름을 구분한다.<ref>임영미, 《한국의 복식문화》, 경춘사, 1996년. 320쪽</ref> 한복 바지와 서구식 바지가 다른 점은 구성은 대칭하지만 앞뒤 중심이 사선이어서 움직일 때 편하고 또 한편으로는 착용자의 위엄과 사회적 지위를 나타낸다는 데 있다. 따라서 치수가 분명히 정해져 움직임에 제한이 있게 되는 양장 바지와 달리 여유로운 한복 바지를 입으면 움직임에 상대적인 불편함을 덜 느끼게 되어 좌식 생활에 편했다.<ref>김은정, 〈남자 한복 바지의 구성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144호(2005), 917쪽</ref>
 
바지라는 용어는 "把持"(파지)라고 [[정인지]]가 기록한 것이 최초<ref>이어령, 《우리문화 박물지》, 디자인하우스, 2007년. 271쪽</ref> 이며 왕과 왕비의 바지는 특별히 '봉디'(봉지)라고 별도로 부르는 이름이 있었다.<ref>[http://www.emuseum.go.kr/relic.do?action=view_d&mcwebmno=00058837 바지] {{깨진 링크웨이백|url=http://www.emuseum.go.kr/relic.do?action=view_d&mcwebmno=00058837 |date=20131004225008 }} E-museum-바지, 2011년 8월 12일 검색해봄.</ref>
 
=== 포 ===
51번째 줄:
안에 덧대어 입는 저고리인 덧저고리와 흡사한 개념을 통칭하여 쓰는 말인 조끼는 흔히 서양 복식에서 베스트(vest-조끼)라고 말하는 것과 동일하다.<ref>[http://www.munhwa.com/news/view.html?no=2008020401032030025003 편하고 개성 있게… 생활한복은 ‘실용패션’] 문화일보 2008-02-04</ref> 조끼와 마고자가 다른 복식과 약간 다른 점이 있다면 조선 왕조 말엽에 유입되었다는 데 있다.<ref name="국민일보">[http://news.kukinews.com/article/view.asp?page=1&gCode=kmi&arcid=0003398125&cp=nv 매혹의 한민족 DNA가 켜켜이… 시대별로 보는 한복의 변천사] 국민일보 2010-02-11</ref>
 
먼저 조끼는 서양 복식에서 들어온 것으로 한복에 주머니가 없어 소지품을 보관하는 것이 어려웠던 점을 보완하였다.<ref>[http://yoksa.aks.ac.kr/jsp/ci/ImageView.jsp?ci10no=CI_13078&ci20no=CI20_66075-02 조끼] 왕실도서관 장서간 검색 2011-07-31 검색</ref> 1897년 이후 조선 사회에는 서구 문물이 도입되기 시작한다. 전통 한복 문화는 한·양복 혼용으로 넘어가는 변화를 겪게 되어 실용성이 두드러지는 쪽으로 변화하는데 이 시기를 거치면서 양복에서 차용한<ref>[http://www.emuseum.go.kr/relic.do?action=view_d&mcwebmno=00058792 구한말군수복식] {{깨진 링크웨이백|url=http://www.emuseum.go.kr/relic.do?action=view_d&mcwebmno=00058792 |date=20131004220654 }} E-museum, 2011-07-31 검색해봄.</ref> 조끼가 등장한다.
 
조끼와 달리 마고자는 [[만주]] 지방의 옷으로 원래 이름은 마괘 혹은 마괘자<ref>[http://www.munhwa.com/news/view.html?no=2009011901032030025002 한복으로 단장한 설, 복이 절로 넘치네요] 한국일보 2009-01-19</ref> 였고 [[흥선대원군]]이 1887년 만주에서 돌아오면서 들려왔다는 이야기가 가장 널리 알려진 이야기이다.<ref name="Britannica">[http://100.empas.com/dicsearch/pentry.html?s=B&i=130722&v=43 마고자]</ref><ref name="Life in Korea">[http://www.lifeinkorea.com/Culture/clothes/clothes.cfm?xURL=male Men's Clothing]</ref> 그는 마고자로 추운 기후를 견딘 것으로 알려졌으며 보온효과에 더해 입기가 쉬워 백성들에게도 금방 퍼지게 되었다.<ref name="Britannica" /><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3&oid=038&aid=0000251833 한가위 특집-한복 입으세요] 한국일보 2004-09-23</ref> 남녀 모두 입는 겉옷으로 남자들은 [[여름]]이 아니면 반드시 입는다. 처음부터 성별 구분 없이 입지는 않았으며 남자만 입던 것이 후에는 상관 없이 남녀노소 입게 변하였고 앞에 섶이 생겨났다.<ref>[http://www.munhwa.com/news/view.html?no=2007092101034230065002 男, 두루마기 갖추는 게 예의… 女, 속옷 여러벌 입어야 맵시] 문화일보 2007-09-21</ref> 형태상으로는 저고리보다 길이가 조금 더 길고 목 부분은 많이 파여 있어 깃과 동정을 따로 붙이지 않는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89&aid=0000044833 한복 이렇게 입자] 대전일보 2005-09-16</ref>
145번째 줄:
한편, [[대한민국 문화체육관광부|문화관광부]]와 민간이 참가한 한복 패션쇼와 전시회는 전 세계에서 좋은 반응을 얻고 있으며 일부 디자이너들에게 영감을 주는 소재가 되기도 한다.<ref>[http://sbscnbc.sbs.co.kr/read.jsp?pmArticleId=10000120685 '바람의 옷'한복, 세계를 홀린다··한복명품화 위해 달리는 사람들] SBS CNBC 2011-02-17</ref><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009&aid=0000494934 쿠스토 달마우 "한복을 그래픽한 옷 만들것"] 매일경제 2006-03-31</ref><ref>[http://news.donga.com/3/all/20110119/34046713/1 글로벌 디자인 코리안 영 파워<2> 스페인 ‘망고 패션 어워즈’ 1등 이진윤 씨] 동아일보 2011-01-19</ref> 한복디자이너 이영희가 디자이너 이신우와 함께 한국인으로서는 처음으로 프레타 포르테({{llang|fr|prêts-à-porter}})에 참가하면서 한복을 널리 알리는 전기가 마련됐다.<ref>{{언어링크|fr}} [http://www.coree-culture.org/annonce01_each.php?number=7&keyfield=&key= Le hanbok s’expose à Paris]{{깨진 링크|url=http://www.coree-culture.org/annonce01_each.php?number=7&keyfield=&key= }} 주프랑스한국문화원</ref><ref>{{언어링크|en}} [http://www.parisvoice.com/-archives-97-86/348-korean-designers-body-and-seoul Korean designers, body and Seoul] Paris Voice 2011-09-01검색해봄</ref> 한복에 대한 인식이 없었기에 1993년 이영희의 패션쇼를 다룬 프랑스 일간지들은 한복을 일본 문화의 복식으로 오해하여 "기모노 코레앙"으로 표기했고<ref>[http://news.donga.com/3//20090120/8686347/1 명절에도 안입는 한복, 나라 밖에서 알아줄까] 동아일보 2009-09-23</ref><ref>조현용, 《우리말 깨달음사전》, 하늘연못, 2005년. 141쪽</ref><ref>[https://www.google.co.kr/search?q=kimono+cor%C3%A9en&hl=ko&newwindow=1&biw=740&bih=541&num=10&lr=lang_fr&ft=i&cr=&safe=images kimono coréen 검색결과] 현재에도 태권도나 합기도 도복을 한국의 기모노로 설명하는 검색결과를 참고할 수 있다.</ref> 프랑스의 패션 전문가들조차 한국에 대한 낮은 인식 때문에 한복을 으레 기모노로 칭했다.<ref>[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96071200329119009&editNo=40&printCount=1&publishDate=1996-07-12&officeId=00032&pageNo=19&printNo=15821&publishType=00010 한복의 멋, 佛서 격찬 받아] 경향신문 1996-07-12, 네이버 뉴스 라이브러리 2011-09-02 검색해봄</ref><ref>[http://weekly.hankooki.com/lpage/goodlife/201101/wk20110111141601104970.htm 관능미 넘치는 한복의 유혹] 주간한국 2011-01-11</ref>{{#tag:ref |이영희 씨는 1997년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97102300329112026&editNo=45&printCount=1&publishDate=1997-10-23&officeId=00032&pageNo=12&printNo=16252&publishType=00010 경향신문과의 인터뷰] 에서 기모노로 한복을 생각하는 오해를 푸는 데에만 5년이 걸렸다고 밝힌 바 있다. 기모노의 해외 진출은 1960년대부터 파리를 시작으로 서구 사회에 널리 이뤄졌다.<ref>최경원, 《Worldwide Great Designer 10》, 길벗, 2006년. 323쪽</ref>|group="주해"}} 이후 한-불 수교 120주년을두고 2005년 4월 초 장 피에르 모쇼 대표이사가 [[서울]]을 방문한 자리에서 프레타 포르테 설립 50주년과 더불어 박람회 100회 기념 행사로 한복 전시회를 열겠다고 발표하면서 한복을 원용으로 삼은 여러 디자이너들의 전시회가 열려 한국 복식에 대한 이해를 드높이는 전환점을 맞게 된다.<ref>{{언어링크|en}} [http://www.fashionfreak.de/vol06/editorials/editorial_10en.html Pret A Porter, Paris : Special Catwalk Event in September 2005] Fashionweek Vol.06 2006-01-31</ref> 실제로 한복 전시회를 본 뒤 [[2010년]] 세계적인 디자이너 [[미우치아 프라다]]는 서울에 위치한 이영희 한복 매장을 직접 방문한 바 있다.<ref>[http://news.kukinews.com/article/view.asp?page=1&gCode=kmi&arcid=0003398165&cp=nv 환상적인 자수·색상에 매료… 프라다도 “원더풀”] 국민일보 2010-02-11</ref>
 
한복 패션쇼는 세계 각국에서 열리고 있으며 [[런던]] 주재 대한민국문화원은 "우리옷-배자"라는 제목으로 한복 전시회를 기획해 호평을 받았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3&oid=003&aid=0003920675 이슈진단 '한류 쓰나미, 세계를 덮치다'-현대 가미한 美의 조화…한복 아름다움에 심취] 뉴시스, 2011-06-21, 2011-08-03 검색해봄.</ref> 한복 패션쇼는 민관 합작의 형태로 세계 여러 도시에서 열리고 있으며 디자이너 [[이상봉]]은 [[파리 (프랑스)|파리]]에서 1985년부터 [[태극기]] 이미지와 [[모시]] 소재를 선보였고<ref>[http://news.hankooki.com/lpage/people/200911/h2009112422575784800.htm 사라져가는 우리 문화, 현대 의상으로 부활시켜] {{웨이백|url=http://news.hankooki.com/lpage/people/200911/h2009112422575784800.htm# |date=20110122125212 }} 한국일보 2009-11-24</ref> 한복연구가 [[이영희 (1936년)|이영희]]는 [[싱가포르]]<ref>[http://breaknews.com/new/sub_read.html?uid=87675&section=section4 한복디자이너 이영희, 싱가포르에서 한복 패션쇼] {{웨이백|url=http://breaknews.com/new/sub_read.html?uid=87675&section=section4# |date=20131004213431 }} 2008-09-18</ref>, [[미국]] [[맨해튼]]<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4&oid=003&aid=0002501415 <뉴욕스케치>이영희 한복 패션쇼] 2009-01-30</ref>, 파리<ref>{{언어링크|fr}} [http://www.stiletto.fr/Evenements/LEE-YOUNG-HEE-LE-DEFILE-EVENEMENT-DE-LA-HAUTE-COUTURE-A-H-2010-2011-6-357-56.html LEE YOUNG HEE, LE DEFILE EVENEMENT DE LA HAUTE COUTURE A-H 2010-2011] Stilletto.fr</ref> 등에서 한복을 주제로 한 무대를 꾸리는 것으로도 유명하다. 여러 한복 디자이너들의 합동 무대 또한 [[홍콩]]<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6&oid=001&aid=0000302796 홍콩에서 한복 패션쇼 개최] 연합뉴스, 2003-01-10, 2011-08-03 검색해봄</ref>, [[런던]]<ref>[http://biz.heraldm.com/common/Detail.jsp?newsMLId=20100711000300 서울, 런던서 한식-디자인 주제 대규모 설명회] 헤럴드생생뉴스 2010-07-11, 2011-08-03 검색해봄.</ref> [[모스크바]]<ref name="Hyesoon">[http://weekly.chosun.com/client/news/viw.asp?nNewsNumb=002163100030&ctcd=C09 “저고리는 어떤 속옷보다 섹시한 옷”] 주간조선 2011-07-04</ref>, [[상하이]]<ref>[http://artsnews.mk.co.kr/news/80164 상하이엑스포 '한국 주간', 한국 분위기 최고조 이끈다] Arts News, 2010-05-27, 2011-08-03 검색해봄.</ref>, [[아랍에미리트]]<ref>[http://www.asiae.co.kr/news/view.htm?idxno=2010061706274354994 UAE '한국 춤사위에 빠지다'] 아시아뉴스 2010-06-17, 2011-08-03 검색해봄.</ref><ref>[http://news.donga.com/3//20061221/8387453/1 경동나비엔, 예술단체 공연-해외 한복패션쇼 협찬] 동아일보 2006-09-21, 2011-08-03 검색해봄.</ref>, [[아르헨티나]]의 수도인 [[부에노스 아이레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3&oid=001&aid=0002973173 한국 문화파워 아르헨서도 빛난다] 연합뉴스, 2009-09-13, 2011-08-03검색해봄.</ref> 등지에서 열린 적이 있으며 [[뉴욕]]에서는 [[베네수엘라]] 출신의 유명 디자이너 [[카롤리나 에레라]]가 메르세데스 벤츠 패션위크 2011 봄/여름 컬렉션<ref>{{언어링크|en}} [http://www.kaneesha.com/Carolina-Herrera Carolina-Herrera] 2011-09-11 검색해봄</ref> 에서 한국의 저고리와 치마를 표현하여 갓을 하나의 소재로 소개했다.<ref>{{언어링크|en}} [http://iamkoream.com/carolina-herraras-nyfw-show-hanbok-inspired/ Carolina Herrera’s NYFW Show: Hanbok Inspired!] KoreAm- The Korean American Experience, 2009-10-18</ref> [[대한민국 정부]]는 한스타일의 일원으로 한복과 한글, 한옥 등을 육성하겠다는 계획을 수립해놓고 있다.<ref>[http://cms.korea.kr/goadmin/newsViewOld.do?newsId=155176788 한(韓)스타일(HanStyle) 육성 종합계획(2007~2011) 발표] {{깨진 링크웨이백|url=http://cms.korea.kr/goadmin/newsViewOld.do?newsId=155176788 |date=20131004213631 }} 공감코리아 2011-09-10 검색해봄</ref>
 
== 한복에 대한 인식 ==
273번째 줄:
==== 박 장식 ====
[[파일:Korea-Geumbak.on.Hanbok-01.jpg|섬네일|right|200px|금박이 놓인 한복의 치마폭]]
박 장식은 아주 오랜 역사를 지니고 있으며 [[고조선]] 때의 청동기는 수은을 바르고 그 위에 금박 혹은 은박을 하여 열을 가해 수은을 증발시켜 도금하는 방법을 썼다.<ref>청아출판사, 《한권으로 정리한 이야기 한국고대사》, 2000년, 42쪽</ref> 조선시대에 이르기까지 박 장식은 여자 한복에 많이 쓰여 치마나 저고리를 장식하는 역할을 했다. 금박과 은박이 대표적이며 금박(金箔)은 [[금]]으로 문양을 새긴 것으로서 보통 '박'이란 한지를 대어 밑그림을 그리고 조각하여 문양을 만드는 것을 뜻했다.<ref>[https://www.knowledge.go.kr/SearchSF1/search_view.jsp?mdno=33513391&nowurl=https%3A%2F%2Fwww.knowledge.go.kr%3A443%2FSearchSF1%2Fsearch_result.jsp%3FcolAlltrue%3D%26rccollection%3Dall%26inSearch%3Dblock%26startCount%3D0%26page%3D1%26resultcount%3D%26reqkind%3D0%26collection%3Dall%26sortOrder%3D1%26mType%3Dall%26searchText%3D%25ED%2595%259C%25EB%25B3%25B5%2B%25EB%25AC%25B8%25EC%2596%2591%26reSearch%3D%25EB%25B0%2595%26mc_collection%3Dall%26notLog%3DN%26resourcecodeex%3Dall%26detail%3Dnone%26sortField%3DRANK%26tType%3Dall 전통 문양을 응용한 생활한복 디자인에 관한 연구]{{깨진 링크|url=https://www.knowledge.go.kr/SearchSF1/search_view.jsp?mdno=33513391&nowurl=https%3A%2F%2Fwww.knowledge.go.kr%3A443%2FSearchSF1%2Fsearch_result.jsp%3FcolAlltrue%3D%26rccollection%3Dall%26inSearch%3Dblock%26startCount%3D0%26page%3D1%26resultcount%3D%26reqkind%3D0%26collection%3Dall%26sortOrder%3D1%26mType%3Dall%26searchText%3D%25ED%2595%259C%25EB%25B3%25B5%2B%25EB%25AC%25B8%25EC%2596%2591%26reSearch%3D%25EB%25B0%2595%26mc_collection%3Dall%26notLog%3DN%26resourcecodeex%3Dall%26detail%3Dnone%26sortField%3DRANK%26tType%3Dall }} 채송화, 2006년, 국민대학교</ref> 실제로 박으로 장식하는 부분을 살펴보면 금박은 저고리의 깃에 쓰는 경우가 가장 많지만 고름과 함께 쓰이고<ref>[https://www.knowledge.go.kr/SearchSF1/search_view.jsp?mdno=1398254&nowurl=https%3A%2F%2Fwww.knowledge.go.kr%3A443%2FSearchSF1%2Fsearch_result.jsp%3FcolAlltrue%3D1%26rccollection%3Dall%26inSearch%3Dblock%26startCount%3D120%26page%3D1%26resultcount%3D10%26reqkind%3D0%26collection%3Dall%26sortOrder%3D1%26mType%3Dall%26searchText%3D%25ED%2595%259C%25EB%25B3%25B5%2B%25EA%25B8%2588%25EB%25B0%2595%26reSearch%3D%26mc_collection%3Dall%26notLog%3DN%26resourcecodeex%3Dall%26detail%3Dnone%26sortField%3DRANK%26tType%3Dall 공단 저고리(부분금박)]{{깨진 링크|url=https://www.knowledge.go.kr/SearchSF1/search_view.jsp?mdno=1398254&nowurl=https%3A%2F%2Fwww.knowledge.go.kr%3A443%2FSearchSF1%2Fsearch_result.jsp%3FcolAlltrue%3D1%26rccollection%3Dall%26inSearch%3Dblock%26startCount%3D120%26page%3D1%26resultcount%3D10%26reqkind%3D0%26collection%3Dall%26sortOrder%3D1%26mType%3Dall%26searchText%3D%25ED%2595%259C%25EB%25B3%25B5%2B%25EA%25B8%2588%25EB%25B0%2595%26reSearch%3D%26mc_collection%3Dall%26notLog%3DN%26resourcecodeex%3Dall%26detail%3Dnone%26sortField%3DRANK%26tType%3Dall }} 2011-08-03 검색해봄.</ref> 치마 아래의 경우에는 맨 밑단을 따라서만 수를 박을 하거나 두루두루 박을 할 수도 있었다. 금박은 반드시 옷에 쓰인 것이 아니며 주머니, 수저집, [[향주머니|향낭]], 댕기 등 다채로운 경우에 쓰여 지니고 다녔다.<ref>[http://www.emuseum.go.kr/relic.do?action=view_d&mcwebmno=00090008 귀주머니] {{깨진 링크웨이백|url=http://www.emuseum.go.kr/relic.do?action=view_d&mcwebmno=00090008 |date=20131004235018 }} 2011-08-03 검색해봄.</ref><ref>[http://www.emuseum.go.kr/relic.do?action=view_d&mcwebmno=00112416 십장생 수저집] {{깨진 링크웨이백|url=http://www.emuseum.go.kr/relic.do?action=view_d&mcwebmno=00112416 |date=20131004225013 }} 2011-08-03 검색해봄.</ref>
 
은박의 경우에는 고름에 특히 집중되는 경향이 있으나 금박과 같이 흔히 쓰이지 않으며 실제로 소비자도 금박을 선호하기 때문에 골고루 쓰인다고 볼 수는 없었다.<ref name="이현숙"/> 박장식은 실제로 의복 뿐 아니라 비단으로 짠 경전에도 쓰였으며<ref name="성기옥">성기옥, 《조선 후기 지식인의 일상과 문화》, 이화여자대학교 한국문화연구원, 2007년, 207, 212쪽</ref> 완당 김정희가 살았던 조선 중기에는 이미 중국과 일본에 금박, 은박 종이가 널리 사용돼 조선에도 수입됐다.<ref>이규태, 《한국인의 생활문화 2》, 신원, 2000년, 32쪽</ref> 박 장식을 할 때에는 특별히 손이나 각종 기물 등 어디에나 금이나 은이 달라붙기 쉽기 때문에 잘 붙지 않는 종이나 명주, 합성섬유로 조심히 다뤄야 하는 어려움이 있다.<ref>곽동해,《한국의 단청》, 학연문화사, 2002년, 68-69쪽</ref>
316번째 줄:
=== 노리개 ===
[[파일:Samjak Norigae.jpg|섬네일|right|140px|삼작노리개]]
가장 흔히 알려진 한복의 장신구는 노리개로서 노리개는 한복 저고리의 고름 또는 치마허리에 차는 여성 장신구의 일종<ref>[http://stdweb2.korean.go.kr/search/List_dic.jsp 노리개] 국립국어원 검색결과 2011-07-31 검색해봄.</ref> 이다. 그 속뜻은 "소중한 물건", "사랑하고 즐기며 아끼는 물건"이라는 의미를 지닌다.<ref>이경자, 《노리개》, 2005년,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12-13쪽</ref> 노리개는 신분에 관계 없이 거의 대부분의 여자들이 착용했으며 신라 시대와 고려 왕조 동안에는 허리띠 쪽에 찼던 것이 조선시대에는 저고리가 짧아지면서 저고리 아래 부분으로 그 위치가 올라오게 된 것으로 추정된다.<ref>[http://www.emuseum.go.kr/relic.do?action=view_d&mcwebmno=117103 노리개] {{깨진 링크웨이백|url=http://www.emuseum.go.kr/relic.do?action=view_d&mcwebmno=117103 |date=20131004225004 }} e-museum 2011-07-31 검색해봄.</ref>
 
노리개는 고유 의상의 아름다움을 더해주는 효과가 있어 단조로울 수 있는 의복을 치장하는 의미가 있었다. 그 색조는 홍·남·황 삼원색을 비롯해 자주, 보라, 옥색 등 열두 색에 이를 정도로 다양했으며 왕실에서부터 부녀자들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형태의 노리개를 착용했다<ref>김지영, 《규방공예》, 2000년, 컬처라인, 30쪽</re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