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Madras119 (토론 | 기여)
Choboty (토론 | 기여)
17번째 줄:
}}
 
[[파일:Radieschen.jpg|썸네일섬네일|200px|방울 모양의 빨강색을 띠며 주로 유럽에서 재배하는 무]]
 
'''무'''는 [[십자화과]]의 먹을 수 있는 [[뿌리]] [[채소]]로 세계 곳곳에서 재배되고, [[유럽]]에서는 [[로마 제국]] 시대부터 재배되었다. [[방언]]으로는 '''무수'''라고도 한다.
34번째 줄:
 
== 재배 ==
가을무는 [[8월]] 중순이나 하순에 파종하여 [[11월]]에 수확하며, 봄무는 3-4월에 하우스에서 파종하여 5-6월에 수확한다. 여름무는 해발고도 600m 이상의 고랭지에서 재배 가능하며, 한국에서는 [[대관령]]에서 많이 재배되나 보통은 가을무 재배가 주종을 이룬다. 파종 방법은 주로 줄뿌림 또는 점뿌림이며, [[봄]]에 조기 출하를 위해서는 종이분에 20일간 육묘했다가 옮겨 심는다. 무는 서늘한 기후를 좋아하며, 일반적으로 가을재배에서는 꽃대가 오르지 않으나, 기온이 10℃ 이하로 2주 이상 계속되면 꽃눈이 형성되어 꽃대가 오르게 되므로 온도관리에 신경을 써야 한다. 재배기간 중에 건습이 심하게 반복되면 뿌리가 갈라지는 현상이 일어나므로 수분 공급에 신경 써야 한다. 밑거름으로 퇴비를 사용하는 것은 좋으나 잘 썩지 않은 퇴비를 주면 무뿌리가 곧게 자라지 않고 가랑이뿌리가 생겨 오히려 상품가치가 떨어진다. 재배기간중에 건습의 반복이 심하면 뿌리가 갈라지는 현상이 생기므로 관수에 유의해야 한다. 일반 가을재배에서는 꽃대가 오르지 않으나 봄재배에서는 초기 생육기간중에 기온이 10℃ 이하로 2주 계속되면 꽃눈이 형성되어 꽃대가 오르게 되므로 온도관리에 유념하고 온도에 둔감한 계통을 재배해야 한다.
=== 병해 ===
병해로는 서늘한 가을에 뿌리 내부와 잎맥이 흑색으로 변하는 검은빛썩음병이나 뿌리가 과습지에서 물러지는 [[무름병]] 등이 있는데 돌려짓기나 스트렙토마이신·지네브 등을 이용해서 방제한다.
=== 수확 ===
수확은 품종에 따라 적기에 실시한다. 재래종은 바람들이가 쉽게 나오지 않으나 서양계인 20일무는 수확 적기가 지나면 바람들이가 생겨 맛과 시장성을 나쁘게 한다. 가을무를 출하할 때는 주로 잎을 제거하고 가마니 등에 넣어서 하나, 봄무는 잎과 같이 출하한다. 재래종무는 얼지 않게 흙 속에 움저장하면 다음해 봄까지 저장이 가능하다. 저장중에 재래종도 바람이 드는데 이는 저장기간 중에 온도가 높아서 생장점의 생육이 진전될 경우 심하다.
 
65번째 줄:
{{위키공용|Raphanus sativus|무}}
* {{한민족대백과|E0018911|무}}
[[뿌리채소]]
 
[[분류:무 (식물)| ]]
줄 70 ⟶ 71:
[[분류:채소]]
[[분류:1753년 기재된 식물]]
[[분류:게놈 해독이 완료된 식물]]
[[뿌리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