루트비히 비트겐슈타인: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Choboty (토론 | 기여)
잔글 영어판 분류 정보를 이용.+분류:케임브리지 대학교 트리니티 칼리지 교수
1 개의 출처 구조, 1 개의 링크를 깨진 것으로 표시 #IABot (v2.0beta14)
23번째 줄:
많은 사람들이 20세기의 가장 위대한 [[철학자]]로 손꼽는다.<ref>Edmonds, Eidinow. ''Wittgenstein's Poker''. HarperCollins. 2001.</ref><ref>[http://leiterreports.typepad.com/blog/2009/03/so-who-is-the-most-important-philosopher-of-the-past-200-years.html "So who *is* the most important philosopher of the past 200 years?"] Leiter Reports. Leiterreports.typepad.com. 11 March 2009. Accessed 3 April 2010.</ref>
 
비트겐슈타인은 [[논리 실증주의]]와 [[일상 언어 철학]]에 영향을 끼쳤고<ref name="Time" /> [[분석 철학]]을 대표하는 인재로도 알려져 있다. 20세기 말 한 철학 포럼이 정리한 세기를 대표하는 철학에서도 비트겐슈타인의 《[[논리 철학 논고]]》와 《[[철학 탐구]]》는 상위 5위권에 모두 선정되었다.<ref>Lackey, Douglas. 1999. "What Are the Modern Classics? The Baruch Poll of Great Philosophy in the Twentieth Century". ''Philosophical Forum''. 30 (4): 329-46</ref> 비트겐슈타인의 사상은 후일 [[인문학]]과 [[사회 과학]]의 여러 방면에 영향을 주었고 분석 철학자로서는 예외로 예술가들에게 전파되었다.<ref>John Gibson and Wolfgang Huemer, eds. [http://books.google.com/books?id=i9e6uVa_3ygC&dq=the+literary+wittgenstein&printsec=frontcover&source=bn&hl=en&ei=zbNUTKbXH4TSsAPG5aXaAg&sa=X&oi=book_result&ct=result&resnum=4&ved=0CCoQ6AEwAw#v=onepage&q&f=false ''The Literary Wittgenstein'']. New York: Routledge, 2004.</ref> 비트겐슈타인이라는 이름은 종종 천재를 가리키는 낱말로 쓰인다.<ref>[http://www.nytimes.com/1990/12/30/books/give-him-genius-or-give-him-death.html "Give Him Genius or Give Him Death"]. Anthony Kenny. ''New York Times''. 30 December 1999. Accessed 1 August 2010.</ref><ref>[http://www3.interscience.wiley.com/journal/119999132/abstract "Wittgenstein's Genius"]{{깨진 링크|url=http://www3.interscience.wiley.com/journal/119999132/abstract }}. Peter Lewis. ''Philosophical Investigations'' (journal) Vol 13 Issue 3 pp. 246-257. Blackwell. Published online 12 March 2008. Accessed 1 August 2010.</ref>
 
비트겐슈타인의 사상은 《[[논리 철학 논고]]》로 대표되는 전기와 《[[철학 탐구]]》로 대표되는 후기로 나뉜다. 《논리 철학 논고》에 나타난 전기 사상이 [[명제]]에 사용된 [[낱말]]의 [[은유]]다운 관계를 분석하여 기존 철학에서 잘못된 개념 탓에 빚어진 논리에 상충하는 점을 지목하는 데 집중된 반면, 후기 사상은 [[언어-놀이]]에서 상호 변환되는 [[자연 언어]]가 논리에 부합한 구조로 정형화한 언어와는 다른 의미가 있다는 점을 역설하는 데 중심이 놓여 있다. 비트겐슈타인은 “단어의 의미는 주어진 [[언어-놀이]] 안에서 그 단어들이 사용될 때 가장 잘 이해된다”<ref group="주해">{{llang|en|The meaning of words is best understood as their use within a given language-game.}}</ref>라고 주장하였는데 이것은 비트겐슈타인의 후기 사상을 대표하는 말이다.
71번째 줄:
[[제1차 세계대전]]이 일어난 [[1914년]]에 비트겐슈타인은 1년째 은둔 생활하고 있었다. 비트겐슈타인은 전쟁이 일어났다는 소식에 크게 충격받았고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육군|오스트리아 헝가리 제국 육군]]에 자원하였다. 입대 초기에는 함선에서 근무하였으나 얼마 후 포병대로 전근하였다. [[1916년]] [[3월]]에 비트겐슈타인은 오스트리아 7군에 자원하여 [[브루실로프 공세]]를 방어하는 최전방 조종사로 참전하였다.<ref name="Monk, p.137-142">Monk, ''Ludwig Wittgenstein: The Duty of Genius'': p.137-142</ref> 영국군과의 전투 후에 비트겐슈타인은 "용감한 행동과 침착하고 냉정한 영웅다운 활약"으로 말미암아 수훈했다.<ref>''The House of Wittgenstein: a Family at War'', Alexander Waugh, (London 2009), page114</ref> 1917년 1월 비트겐슈타인은 러시아 전선의 곡사포 연대로 전근되었고 여기서 다시 용감한 행동으로 은장무공훈장을 비롯해 훈장 여러 개를 받았다.<ref name="Monk, p.137-142"/> 1918년 비트겐슈타인은 대위로 승진하였고 오늘날 [[트렌티노알토아디제 주|트렌티노]]로 불리는 이탈리아 티롤 남부 전역에서 산악 포병 연대에 배속되었다. 1918년 6월 오스트리아의 공세에서 전훈을 세운 비트겐슈타인은 최고 훈장인 금장무공훈장에 추천되었고 그 아래 단계인 검의 무공훈장을 받았다.<ref>Monk, ''Ludwig Wittgenstein: The Duty of Genius'': p.154</ref> 비트겐슈타인은 1918년 11월 [[트렌토]] 근교에서 이탈리아군의 포로가 되었다.<ref name="Connor-Robertson" />
 
전쟁 기간 비트겐슈타인은 군인의 눈으로 목격한 천박을 대상으로 한 경멸을 노트에 기록하였다. 종전 뒤에도 비트겐슈타인은 자신의 노트에 철학과 종교를 대상으로 한 단상을 적어나갔다. 노트에 적힌 단상을 보면 비트겐슈타인의 종교를 향한 태도에 변화가 있었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케임브리지 대학교 시절 비트겐슈타인은 [[종교]]를 대상으로 해 [[불가지론]]다운 태도를 견지했는데 전쟁 중에 비트겐슈타인은 [[레프 톨스토이]]의 《믿음 안의 찬송》을 갈리치아 루마니아 왕국에 있던 한 서점에서 구입한 후 어디나 가지고 다니면서 읽었으므로 후일 비트겐슈타인의 지휘에 있던 부대원들은 “찬송과 함께하는 사람들”이란 별명을 얻었으며,<ref name="Monk90">Monk, ''Ludwig Wittgenstein: The Duty of Genius'', pp. 44, 116, 382–84</ref> 루트비히 요제프 요한 비트겐슈타인은 [[성 아우구스티누스]]의 여러 저작에서 종교적인 영향을 받았다.<ref name="Creegan">Creegan, Charles. {{웹 인용 | title=Wittgenstein and Kierkegaard | work=Routledge | url=http://home.clear.net.nz/pages/ccreegan/wk/chapter1.html | accessdate=23 April 2006 | 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100822164001/http://home.clear.net.nz/pages/ccreegan/wk/chapter1.html | 보존날짜=2010-08-22 | 깨진링크=예 }}</ref>
 
==== 논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