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춘원: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새 문서: '''상춘원'''(常春園)은 지금의 서울특별시 종로구 숭인동 72에 있었던 집이다. 박영효의 별장이었으며, 후일 손...
(차이 없음)

2019년 4월 11일 (목) 23:23 판

상춘원(常春園)은 지금의 서울특별시 종로구 숭인동 72에 있었던 집이다. 박영효의 별장이었으며, 후일 손병희가 거주하였다. 현재는 철거되어 없다.

역사

박영효의 집은 귀족이나 일본인 관리만 출입하였기 때문에 ‘귀족회관’이라 불렀으며, 바로 옆에 그의 별장이 있었다.[출처 필요] 1912년 천도교에서 이 별장을 매입하여, 천도교회의 3대 기념일 등 각종 행사를 진행하였다.[1] 1919년 1월 20일, 권동진, 오세창, 최린 등 천도교 지도부는 상춘원에서 손병희와 모여[2], 파리강화회의를 앞두고 독립운동을 민족자결주의 원칙에 입각하여 전개할 것임을 논의하였다.[1] 손병희는 이곳에서 대중화, 일원화, 비폭력의 독립운동 3대 방침을 제시하기도 하였다.[1]

손병희는 3·1 운동을 주도하여 서대문형무소에 수감되었다가, 1920년 10월 병보석으로 출옥한 뒤 상춘원에서 요양하다가 1922년 5월 19일 세상을 떠났다.[3][4] 그 밖에 다른 천도교도들도 상춘원과의 연고가 있다. 이종훈은 천도교에서 나온 뒤 몇 년 간 상춘원에서 살았다.[5] 한편 홍병기는 1929년 7월 5일 신의주형무소에서 가출옥한 뒤 상춘원에서 아들 홍영섭(洪榮燮)과 같이 지냈다. 홍영섭은 상춘원 시절이던 1930년 8월 29일 전후, 숭인동에서 격문을 붙이다 체포된 적이 있다.[6]

《경성부 관내 지적목록》(1917)에 의하면 숭인동 157번지(현 숭인동 72)는 대지의 면적이 총 3,259평에 달하며, 그 소유주는 박인호로 명시되어 있다. 박인호는 천도교 지도자로서, 이 사실은 해당 지번에 상춘원이 있었음을 짐작하게 한다.[1] 현재는 철거되어 묘각사와 여러 주택으로 분할된 상태이다.[1] 2007년 당시에는 기념 표지석이 창신동 155번지에 잘못 설치되어 있었으나[7], 2010-2012년 사이에 올바른 위치로 옮겨졌다.

각주

  1. 이정은 외 2008, 542쪽.
  2. “3·1 운동 민족대표는 ‘33인’ 아닌 ‘48인’이었다”. 중앙SUNDAY. 2011년 11월 20일. 2019년 4월 11일에 확인함. 
  3. “孫秉熙氏絕望”. 동아일보(네이버). 1922년 5월 19일. 2019년 4월 11일에 확인함. 
  4. 이충호 (2019년 2월 26일). “[3·1 운동 100주년 기념 논고] 의암 손병희 선생의 생애와 사상”. 동양일보. 2019년 4월 11일에 확인함. 
  5. 정운현 (2019년 3월 8일). “[민족대표 33인 열전] 33인 중 최고령자, 일제에 온몸으로 맞선 동학교도”. 오마이뉴스. 2019년 4월 11일에 확인함. 
  6. 정운현 (2019년 3월 22일). “[민족대표 33인 열전] 3·1 운동 후에는 고려혁명당 이끈 천도교 중진”. 오마이뉴스. 2019년 4월 11일에 확인함. 
  7. 이정은 외 2008, 543쪽.

참고 문헌

  • 이정은 외 (2008). 《국내 항일독립운동 사적지 조사보고서 1: 서울 독립운동 사적지》. 충남: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ISBN 97889930266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