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끈 이론: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오타를 고침
태그: m 모바일 웹
Choboty (토론 | 기여)
19번째 줄:
'''초끈이론의 문제점: 너무나 많은 가능성'''
 
만일 어떤 수수께끼가 있는데 그 '근본적인 설명방법'이 다섯 가지나 있다면 당신은 그 설명들을 모두 신뢰하겠는가? 초끈 이론이 바로 그러한 상황이다. 이 초끈이론들은 모두 [[보손 끈 이론|보존]](boson)과 [[페르미 입자|페르미온]](fermion)의 진동 패턴을 이어준다는 것은 동일하지만 그 방법이 모두 다른 이론들이다. 그 이론들은 바로 [['I형이론]] (the Type I theory)', '[[IIA형 이론]] (the Type IIA theory)', [['IIB형]] 이론 (the Type IIB theory)', '[[이형O(32)]]이론 (the Heterotic type O(32) theory)', 그리고'[[이형 E8 x E8 이론|이형 E<sub>8</sub> x E<sub>8</sub> 이론]] (the Heterotic type E<sub>8</sub> x E<sub>8 theory)' 이다.</sub> 이 이론들은 중심 내용은 같지만 세부적인 내용이 모두 다르다. 예를 들어, I형이론에서는 닫힌 끈 뿐만 아니라 열린 끈도 다루지만 다른 이론에서는 다루지 않으며, [[II형에]]서는 왼쪽 진행파와 오른쪽 진행파가 각각 하나의 10차원 초대칭을 가진다. 또,[[이형 E8 x E8 이론|이형 E<sub>8</sub> x E<sub>8</sub> 이론]]과 [[이형O(32)이론]] 는 잡종 이론이라고 해서 두 이론을 혼합해 만들었다. 그러나, 이 이론들은 끈이 결합하는 횟수를 결정하는 끈결합상수에 값이 달라짐에 의해 서로 이중성이 나타날 수 있음이 보여졌는데 이 이론들을 통합해 줄 수 있을 만한 후보가 바로 m-이론이다. m-이론은 끈이론의 약결합과 강결합의 이중성을 이용해 모든 끈이론을 하나로 묶은 이론이다.
 
참고 문헌 《엘러건트 유니버스》 브라이언 그린, 2016
26번째 줄:
 
{{토막글|물리학}}
 
[[분류:끈 이론]]
[[분류:초대칭]]
[[분류:표준 모형 이후의 물리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