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작 뉴턴: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태그: m 모바일 웹
편집 요약 없음
4번째 줄:
|원어이름={{lang|en|Isaac Newton}}
|그림=GodfreyKneller-IsaacNewton-1689.jpg
|그림 크기=150px220px
|그림 설명=아이작 뉴턴(1689년)
|태어난 날=[[그레고리력]] {{출생일|1643|1|4}}
33번째 줄:
수학적 업적으로 뉴턴은 [[고트프리트 빌헬름 라이프니츠]]와 함께 [[미적분학]]의 발달에 대한 성과를 가지고 있다. 또한, 그는 일반화된 [[이항정리]]를 증명하고, 소위 [[뉴턴의 방법]]이라 불리는 미분 가능한 연속 함수 {{mvar|''f''}}인 <math> f(x) = 0 </math>을 푸는 방법을 발명하고, [[거듭제곱 급수]]의 연구에 기여했다.
 
갈릴레이가 자연현상을 수학적으로 표시가능함을 증명하고, 뉴턴은 그것을 증명했다.
 
뉴턴은 그것을 증명했다.
 
* 17세기 말경 뉴턴은 물체에 가해지는 힘이 속도가 아니라 가속를 일정한 비율로 증가시킨다는것이 증명되었다.
줄 84 ⟶ 82:
 
== 업적 ==
 
=== 미적분학의 발명 ===
공중으로 던져진 볼이 만드는 궤적 곡선 또는 태양 주변을 돌고 있는 행성들의 궤도 곡선은 수학자들에게 커다란 관심거리였다. 대수 체계를 다루는 것은 중세의 이슬람 학자에 의해 발전되었다. 데카르트는 대수 용어(x,y)를 활용하여 기하학적 모양을 설명하기 위한 방법을 보여주었고, 데카르트 좌표라고 알려진 것과 그들이 x,y와 그래프를 이용하여 그린 방법을 보여주었다. 직선의 그래프는 계산하기 쉬운 특성을 가졌다. 바빌로니아 시대 때부터 알려진 공식은 직선 아래의 면적을 계산할 수 있었다. 이 기울기(직선의 경사에 의해 나타나는 변화율)는 y좌표의 값을 관련된 x좌표의 변화로 나눈 값이다. 그러나 곡선에서는 이러한 값들을 계산하기가 더욱 어렵다. 뉴턴 이전의 수학자들은 이것을 하기 위한 한가지 방법으로 근사치를 계산하는 것이라고 깨달았다. 곡선을 연속되는 직선들로, 그리고 곡선 아래의 면적은 연속된 사각형들과 삼각형으로 계산한다. 많거나 작은 사각형들과 삼각형들을 사용하여 더 정확한 근사값을 구할 수 있다, 그러나 이것은 여전히 근사값일 뿐이다.
줄 95 ⟶ 92:
# 물체에 {힘을 작용하면} 그물체에 (가속도가 붙게되는데), 중요: 그가속도의 크기는 "가속도의 작용하는 힘의크기에 비례"하고, 그물체에 질량에 {반비례}한다.
# 어떤물체에 작용하는 힘에는 그와 크기가같고, (방향이 반대인힘) "반작용"이 작용한다[작용 반작용의 법칙]
 
 
=== 중력의 발견 ===
줄 103 ⟶ 99:
}}</ref>
 
=== 광학 ===
 
광학[[파일:Dispersive Prism Illustration.jpg|섬네일|upright=1.15|왼쪽|백색광을 분리시키는 프리즘]]
[[파일:NewtonsTelescopeReplica.jpg|섬네일|1672년에 만든 뉴턴의 두번째 반사망원경<ref>{{서적 인용|url=https://books.google.com/?id=KAWwzHlDVksC&dq=history+of+the+telescope |title=The History of the Telescope|page=74 |isbn=978-0-486-43265-6|last=King|first= Henry C|date=2003}}</ref>]]
뉴턴은 프리즘을 연구했었는데, 프리즘으로 하는 초기 실험에서 뉴턴은 다른 색들은 꺾이거나 다른 각도로 굴절된다는 "굴절성"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프리즘과 벽 사이에 바늘 구멍이 있는 다른 카드를 놓고 완전 적색 또는 청색의 광선이 분리되어 두번째 프리즘을 통과하도록 하였다. 두번째 프리즘은 각 색깔의 광선을 다시 굴절시켜 다른 색을 생성하지 않는다. 그는 청색 빛이 적색 빛보다 더 굴절된다는 것을 발견했다. 이 실험은 프리즘이 색을 생성하지 않는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또한 뉴턴은 "빛은 다른 굴절성의 광선들의 집합이다."라고 정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