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성제: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태그: m 모바일 웹
TedBot (토론 | 기여)
잔글 봇: 틀 이름 및 스타일 정리
1번째 줄:
{{불교|expanded=개념}}
 
'''사성제'''(四聖諦, {{llang|sa|Āryasatya}}) 또는 '''사제'''(四諦)는 《[[아함경]](阿含經)》에 나오는 [[원시 불교]] 가르침으로 [[불교]] 기본 교의 가운데 하나이다. "제(諦{{.cw}}Satya)"는 [[진리]] 또는 [[깨우침]]을 뜻한다. 사성제는 "네 가지 높은 깨우침(Ārya: 높은, Satya: 깨우침)" 또는 "네 가지 고귀한 진리(Four Noble Truths)"라는 뜻인데, [[고제]](苦諦){{.cw}}[[집제]](集諦){{.cw}}[[멸제]](滅諦){{.cw}}[[도제]](道諦)의 4가지 [[진리]] 또는 [[깨우침]]을 의미한다. 흔히 이 네 가지를 간단히 '''고집멸도'''(苦集滅道)라고 부른다.
 
[[고집멸도]](苦集滅道)는 [[집제|집]]과 [[고제|고]]라는 연기하는 항목과 [[도제 (불교)|도]]와 [[멸제|멸]]이라는 [[연기 (불교)|연기]](緣起)하는 항목을 합하여 나란히 늘어놨다.<ref name="글로벌-12인연">[[s: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종교·철학/세계의 종교/불 교/불교의 사상#12인연|종교·철학 > 세계의 종교 > 불 교 > 불교의 사상 > 근본불교의 사상 > 12인연]],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ref> 여기에서 [[집제|집]]은 [[고제|고]]의 원인 또는 인연이 되며, [[도제 (불교)|도]]는 [[멸제|멸]]의 원인 또는 인연이 된다. [[고집멸도]]는 [[고제|고통]]의 원인이 [[집제|집착]] 또는 [[갈애]]이며 [[고제|고통]]을 [[멸제|소멸]]시키는 원인 또는 수단이 [[도제 (불교)|도]]라는 [[연기관계]]를 밝힌 것이다.
 
한편, [[고타마 붓다]]는 "우주는 영원한가? 영원하지 않은가?"와 같은 [[형이상학적]] 질문들인 [[십사무기]](十事無記)는 사성제와는 달리 [[반야|지혜]](智){{.cw}}[[깨달음]](覺){{.cw}}[[열반]](涅槃)으로 나아가게 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가르치거나 배울 것이 아니라고 하였다.<ref name="중아함경-전유경">《[http://www.cbeta.org/result/normal/T01/0026_060.htm 중아함경 제60권 전유경(箭喻經) 제10] {{웨이백|url=http://www.cbeta.org/result/normal/T01/0026_060.htm |date=20071008065614 }}》, 대정신수대장경, T1 No. 26, CBETA. T01n0026_p0805b16(02) - T01n0026_p0805c07(02).</ref>
11번째 줄:
== 십사무기와 사성제 ==
 
[[고타마 붓다]]는 [[십사무기]](十事無記)와 같은 [[형이상학적]] 질문들은 [[열반]]으로 나아가게 하는 실다운 길이 아니며, 반면 사성제는 [[열반]]으로 나아가게 하는 실제 길이라고 하였다. 그렇기 때문에 자신은 사성제에 대해 늘 말하고 가르친다고 말하고 있다. 또한 제자들에게도 [[십사무기]]와 같은 [[형이상학적]] 질문들에 얽매이지 않아야 하며 사성제라는 실제 길을 걸어야 한다고 말하고 있다.
 
이런 [[고타마 붓다]] 견해는 [[십사무기]] 줄거리가 들어 있는 《[[중아함경]] 제60권 전유경(箭喻經) 제10》에 잘 나타나 있다.<ref name="중아함경-전유경"/>
47번째 줄:
{{본문|고제|3고|8고}}
 
'''고제'''(苦諦, [[:en:Dukkha|Duhakaha Satya]])는 범부(凡夫), 즉 깨치지 못한 사람의 삶은 [[고 (불교)|고]](苦)라고 하는 진리이다.<ref name="글로벌-원시불교의 사상">[[s: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동양사상/동양의 사상/인도의 사상/불교#원시불교의 사상|동양사상 > 동양의 사상 > 인도의 사상 > 불교 > 원시불교의 사상]],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ref> 즉, 인간은 색{{.cw}}수{{.cw}}상{{.cw}}행{{.cw}}식의 [[오온]]으로 이루어진 존재인데, 깨치지 못한 사람, 즉 아직 [[부처]]가 되지 못한 사람에게 있어서 그의 삶은 [[고 (불교)|고통]]이라는 통찰이다.
==== 삼고와 팔고 ====
 
[[고 (불교)|고통]]은 크게 누구나 [[고통]]으로 느낄 수 있는 생로병사의 고고(苦苦), 변화하고 무너지는 괴고(壞苦), 오온으로 이루어진 존재에 실체가 있다고 집착함에 의해 비롯되는 행고(行苦)등의 '''3고'''(三苦)로 분류된다. 3고는 '''8고'''(八苦)로 세분되기도 한다.
 
==== 고고 ====
'''고고'''(苦苦)는 누구나 [[고통]]으로 느낄 수 있는 [[고 (불교)|고통]]인 생로병사의 [[고 (불교)|고통]]을 말한다. 생로병사 중 특히 생과 사는 아직 [[깨달음]]을 성취하지 못한 상태에서는 [[윤회]]를 벗어나지 못하며, [[깨달음]]을 성취할 때까지는 배움을 위해 다시 세상에 태어나는 일이 반복된다는 것을 뜻한다.
<ol start=1>
<li>생고(生苦): 태어나는 고통
<li>노고(老苦): 늙는 고통
<li>병고(病苦): 병드는 고통
<li>사고(死苦): 죽는 고통
62번째 줄:
 
==== 괴고 ====
'''괴고'''(壞苦)의 문자 그대로의 뜻은 "무너지는 [[고 (불교)|고통]]"인데, 모든 것이 [[인]]과 [[연]]에 의해 발생한다는 [[연기의 법칙]] 즉 [[인과의 법칙]]과 모든 존재가 고정됨이 없이 항상 변화한다는 [[무상]](無常)의 법칙에 바탕하여 일어나는 "변화하고 무너지는 [[고 (불교)|고통]]"이다.
 
<ol start=5>
<li>애별리고(愛別離苦): 사랑하는 것과 헤어지는 고통
<li>원증회고(怨憎會苦): 미워하는 사람과 만나야 하는 고통
<li>구부득고(求不得苦): 원하는 것을 성취하지 못하는 고통
</ol
 
==== 행고 ====
'''행고'''(行苦)는 [[오온]](五蘊) 또는 [[오취온]](五取蘊)으로 이루어진 존재인 인간 자신에 대하여 "나"라고 할 수 있는 실체가 있다고 집착함에 의해 비롯되는 고통으로 '''오취온고'''(五取蘊苦) 또는 '''오음성고'''(五陰盛苦)라고도 한다.
<ol start=8>
<li>오취온고(五取蘊苦) 또는 오음성고(五陰盛苦)
91번째 줄:
=== 도제 ===
{{본문|팔정도}}
'''도제'''(道諦, Mārga Satya)는 [[고 (불교)|고통]]을 소멸시키는 행을 하는 진리를 말한다. 즉, 도제를 행함으로써 실제로 멸제("고통의 원인을 제거할 수 있다는 것")를 성취할 수 있다는 것을 말하는데, 이런 면에서 도제는 멸제의 원인이 되는 '''실천''' 또는 '''수행'''을 의미한다. 불교의 모든 교의는 사실상 도제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구체적으로, [[원시 불교]]에서는 도제를 정견(正見){{.cw}}정사(正思){{.cw}}정어(正語){{.cw}}정업(正業){{.cw}}정명(正命){{.cw}}정정진(正精進){{.cw}}정념(正念){{.cw}}정정(正定)의 [[팔정도]](八正道)인 것으로 설명한다.<ref name="글로벌-원시불교의 사상"/>
 
[[남방상좌부 불교]]에서는 도제를 [[팔정도]]를 포함하는 [[사념처]](四念處){{.cw}}[[사정근]](四正勤){{.cw}}[[사여의족]](四如意足){{.cw}}[[오근]](五根){{.cw}}[[오력]](五力){{.cw}}[[칠각지]](七覺支){{.cw}}[[팔정도]](八正道)의 [[37조도품]](三十七助道品)인 것으로 설명한다.
 
[[대승불교]]에서는 도제를 [[37조도품]] 외에 [[보살의 원행]](菩薩의 願行: [[보살]]의 서원과 수행, 간단히 [[보살행]] 또는 [[보살도]])을 담은 [[보시]](布施){{.cw}}[[지계]](持戒){{.cw}}[[인욕]](忍辱){{.cw}}[[정진]](精進){{.cw}}[[선정]](禪定){{.cw}}[[반야]](般若: 지혜)의 [[육바라밀]](六波羅蜜) 또는 [[육바라밀]]에 [[방편]](方便){{.cw}}[[원]](願){{.cw}}[[역]](力){{.cw}}[[지]](智)의 네 가지를 추가한 [[십바라밀]](十波羅蜜)을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108번째 줄:
* [[십사무기]]
 
== 각주 ==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