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병도: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TedBot (토론 | 기여)
잔글 봇: 틀 이름 및 스타일 정리
4번째 줄:
| 그림 = 두계 이병도.JPG
| 출생일= [[1896년]] [[9월 20일]]
| 출생지= [[조선]] [[경기도]] [[용인시|용인]]
| 사망일= {{사망일과 나이|1989|8|14|1896|9|20}}
| 사망지=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 별명= [[호 (이름)|호]](號)는 두계(斗溪, 杜溪)
| 직책 = [[대한민국 문교부|前 대한민국 제7대 문교부]] [[대한민국의 교육부 장관|장관]] <br/>(前 大韓民國 第7代 文敎部 長官)
| 임기 = [[1960년]] [[4월 28일]] ~ [[1960년]] [[8월 22일]]
| 종교= [[유교]]([[성리학]]) → [[불교]]
| 대통령 = [[곽상훈]] (대통령 권한대행)
48번째 줄:
==== 교육자로서의 삶 ====
[[1945년]] 경성대학의 교수가 되었다. 이후 경성대학과 다른 관공사립전문학교들이 통합되자 서울대학교 교수가 되었다. [[1954년]] 5월에 서울대학교 대학원장이 되었고 [[1962년]]까지 서울대학교 문리대 교수로 재직하면서 후학을 양성하였다. [[1950년]]에 [[한국 전쟁]]이 일어나자 [[대한민국 국방부|국방부]] 전사편찬위원장에 임명되어 4년간 복무하였다. [[1954년]]에는 [[대한민국학술원]] 회원이 되었고, [[1959년]]에는 종신회원이 되었다. [[1955년]]부터 [[1982년]]까지는 [[국사편찬위원회]] 위원을 지냈다. 또한 [[1956년]]에 [[김창룡]]의 묘비명을 썼다.<ref>
상세한 것은 [[김창룡]] 참조. {{서적 인용
|저자=정지환
|제목=대한민국 다큐멘터리: 독립기자 정지환의 역사추적기
92번째 줄:
* 《朝鮮史》, [[조선총독부]], 1922년 ~ 1938년, 총 35권, 총 24,409페이지
* 《역주 삼국사기》, 박문서관,1943년[초판발행 박문문고 2책: 1책 342(?)쪽, 2책 479쪽]1945, 1956년(춘조사 재발행), 1965년(동국문화사,468쪽), 1977(을유문화사,국역본 736쪽, 원문교열본463쪽).
* 《조선사대관》, 동지사, 1948, 1949(수정3판,501쪽).
* 《고려시대의 연구: 특히 도참사상을 중심으로》, 을유문화사, 1948, 1986(개정판, 아세아문화사, 446쪽).
* 《새국사 교본》, 동지사, 1948(208쪽)
98번째 줄:
* 《한국사(중세편)》진단학회 편, 을유문화사,1961
* 《[[하멜표류기]](역서)》, 1939년 박문각(초판), 1946(재판), 일조각 1954.
* 《중등사회 생활과 우리나라의 생활 (역사)》, 일조각, 1949(210쪽)
* 《국사대관》, 1954, 1955(보문각, 613쪽, 색인 6쪽), 1958, 1959.
* 《국사와 지도이념》, 삼중당(90쪽), 보문각, 1954.
* 《이병도수필집 두계잡필(斗溪雜筆)》, 일조각, 1956(519쪽).
* 《중학교사회생활과 중등국사》, 을유문화사, 1956(204쪽).1963년판(212쪽), 1964년판(212쪽)
* 《역주 삼국유사》, 동국문화사, 1956, 1962(재판, 468쪽)1965(3판, 468쪽), 1976년(광조출판사 수정판), 2000년(명문당,468쪽), 2000년(조선일보,누리미디어 제작 CD)
* 《고등학교 사회과 국사》, 일조각, 195년(197쪽)
108번째 줄:
* 《중국어판 한국사대관(許宇成역)》, 正中書局, 1963.
* 《한국사대관》, 보문각, 1964, 1969(589쪽).
* 《내가 본 어제와 오늘》, 신광문화사, 1966(289쪽).
* 《인문계고등학교 국사》, 일조각, 1969(274쪽).
* 《나의 인생관: 풀뭇간의 쇠망치》, 휘문출판사, 1971, 1974(수정3판, 436쪽).
115번째 줄:
* 《율곡의 생애와 사상》, 서문당, 1973.
* 《두실여적(斗室餘滴)》,박영사, 1975.
* 《수정판 역주화선 제주도난파기》, 일조각, 1975.
* 《한국고대사연구》, 박영사, 1976, 2001(818쪽).
* 《일어판 한국고대사연구》, 學生社, 1980.
133번째 줄:
* [[1955년]] 3월 서울특별시문화상 수상
* [[1956년]] 7월 대한민국 학술원상
* [[1962년]] 8월 대한민국장(無窮花章) 수여
* [[1977년]] 10월 인촌문화상
* [[1979년]] 5월 [[5·16민족상]] 수상
147번째 줄:
*** 형: 이병묵(李丙默, [[1876년]] [[6월 19일]] ~ [[1950년]] [[2월 12일]])
*** 형: 이병훈(李丙薰, [[1880년]] [[8월 17일]] ~ [[1953년]] [[7월 29일]])
*** 여동생: 이병영(李丙暎, [[1900년]] ~ 사망)
*** 매제: [[윤치영]](尹致暎)([[1898년]] [[2월 10일]]~ [[1996년]] [[2월 9일]]), 한국의 정치인·독립운동가. <ref name="윤치호1">윤치영은 이병도의 매제인 동시에, 조카며느리 윤계경의 삼촌이다.</ref>
** 사돈: [[윤치소]](東野尹致昭, [[1871년]] [[음력]] [[8월 25일]] - [[1944년]] [[양력]] [[2월 20일]]), 조카며느리의 친정아버지이며, 동시에 매제인 [[윤치영]]의 형, 6촌 형수 윤노덕의 오빠로 겹사돈이다.
161번째 줄:
**** 사남: [[이동녕 (1927년)|이동녕]]([[1927년]] [[7월 22일]] ~ , [[서울대학교]] 물리학과 명예교수)
**** 오남: [[이본녕]]([[1936년]] [[1월 14일]] ~ , [[사우스캐롤라이나대학교]] 의과대학 교수)
**** 장녀: [[이순경]]([[1920년]] [[9월 3일]] ~ )
**** 사위: [[장욱진]]([[1917년]] [[11월 26일]] ~ [[1990년]] [[12월 27일]], [[화가]] )
**** 차녀: [[이운경]]([[1931년]] [[9월 9일]] ~ , [[이운경내과의원]] 원장)
**** 사위: [[민헌기]](閔獻基)([[1928년]] [[12월 7일]] ~ ,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내과교수), 휘문의숙 설립자 [[민영휘]](閔泳徽)([[1852년]] [[5월 15일]] ~ [[1935년]] [[12월 30일]])의 증손자이며, 풍문여학교 설립자 [[민덕기]](閔德基)([[1915년]] ~ [[1980년]] [[3월 8일]])의 동생이다.
 
250번째 줄:
{{Col-end}}
 
== 각주 ==
{{각주|2}}
 
265번째 줄:
|대수 = 7
|직책 = [[대한민국 문교부|문교부 장관]]
|임기 = [[1960년]] [[4월 28일]] ~ [[1960년]] [[8월 22일]]
}}
[[분류:이병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