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트남 전쟁: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Choboty (토론 | 기여)
잔글 +분류:캄보디아 내전; 예쁘게 바꿈
207번째 줄:
=== 프랑스령 인도차이나 ===
{{참조|프랑스령 인도차이나}}
[[파일:越南亡國史.jpg|섬네일|150px|left왼쪽|1905년 [[판보이쩌우]]가 펴낸 《월남망국사》는 [[청나라|청]]과 [[대한제국|한국]]의 민족주의자에게도 많은 영향을 주었다.]]
베트남 마지막 왕조였던 [[응우옌 왕조]]는 [[쩐 왕조]]를 무너뜨리고 새 왕조를 세울 때 프랑스의 지원을 받았다. 당시 프랑스는 인도 식민지 각축에서 영국에게 패한 뒤 베트남으로 눈을 돌리고 있었다. 그러나, [[미국 독립 전쟁]]으로 비롯된 경제 위기로 당장에 식민지화 정책을 펴지는 못하였고, 소극적인 통상과 [[로마 가톨릭교회]] 선교사 파견에 그쳤다.<ref>송정남, 《베트남 역사 읽기》, 한국외국어대학교출판부, 2010년, {{ISBN|978-89-7464-597-7}}, 315-320쪽</ref>
 
222번째 줄:
{{인용문2|모든 사람은 평등하게 태어났다. 사람들은 모두 생명, 자유, 행복을 추구할 천부의 권리를 조물주로부터 부여받았다.|베트남 독립 선언의 서문|호찌민 - 1945년 9월 2일, [[하노이]], 바딘 광장}}
 
[[파일:French indochina 1953 12 1.png|섬네일|left왼쪽|매복 중인 프랑스 군인. 1952년]]
[[호찌민]]은 [[1945년]] [[9월 2일]] 일본이 항복문서에 조인한 날에 맞추어 [[베트남 민주 공화국]]을 세우고 독립을 선언하였다. 호찌민은 [[베트남 독립 선언]]의 첫머리에서 [[미국 독립 선언]]의 구절을 차용하여 [[천부인권]]을 선언하였다. 또한, 미국의 [[전략사무국]] 책임자로서 1945년 4월부터 대일 전쟁을 함께 하였던 [[아르키메데스 페티]] 소령을 귀빈석에 초대하였다.<ref>마이클 매클리어, 유경찬 역, 《베트남: 10,000일의 전쟁》, 을유문화사, 2002년, {{ISBN|89-324-6081-7}}, 41쪽</ref> 호찌민은 [[트루먼 독트린]]에 입각하여 미국이 베트남 민주 공화국을 승인해 주기를 희망하였다. 베트남 전쟁과 관련된 미국 국방부의 비밀 보고서인 《[[펜타곤 페이퍼]]》에서는 “1945년 말에서 1946년 말까지 프랑스와 베트남이 소강상태를 보일 때 호찌민은 백악관에 정부의 승인을 요청하는 전문을 계속하여 보냈다.…… 하지만, 호찌민은 아무런 회신을 받지 못하였다”고 기록하고 있다.<ref>마이클 매클리어, 유경찬 역, 《베트남: 10,000일의 전쟁》, 을유문화사, 2002년, {{ISBN|89-324-6081-7}}, 43쪽</ref>
 
231번째 줄:
=== 베트남 공화국의 수립과 분단 ===
{{참조|베트남 공화국|응오딘지엠}}
[[파일:Gen-commons.jpg|섬네일|right오른쪽|제네바 협정. 1954년]]
1954년 5월 미국은 남베트남에 대한 경제 원조 계획을 발표하였고, 12월 23일에는 미국, 프랑스, 남베트남 간의 상호 방위 조약을 추진하였다. 당시 미국은 [[냉전]]에 의한 [[소련]]과의 대립 속에서 베트남 문제를 파악하고 있었다. 하지만, 이러한 미국의 군사 보호는 베트남 남북 모두의 군사 동맹 가입을 제한한 제네바 협약을 어긴 것일뿐만 아니라, 제국주의로부터 독립을 쟁취하려는 베트남인들의 의사에도 반하는 것이었다.<ref>임영태, 《인류이야기 현대편 2》, 아이필드, 2004년, {{ISBN|89-89938-53-8}}, 176쪽</ref>
 
246번째 줄:
 
== 1955년~1963년: 지엠 정권 ==
[[파일:Ngo Dinh Diem at Washington - ARC 542189.jpg|섬네일|right오른쪽|워싱턴을 방문한 베트남 공화국 대통령 [[응오딘지엠]]과 인사하는 미국 대통령 [[드와이트 D. 아이젠하워]]와 국무장관 [[존 포스터 덜레스]]. 1957년 5월 8일.]]
{{참조|응오딘지엠|남베트남 민족해방전선}}
 
261번째 줄:
 
=== 불교계의 저항 ===
[[파일:틱꽝득의 소신공양.jpg|300px|섬네일|right오른쪽|1963년 6월 [[사이공]]에서 [[틱꽝득]]의 소신공양]]
[[응오딘지엠]] 정권의 친 가톨릭 정책은 베트남 불교계의 저항을 불렀다.
1963년 6월 11일 오전 10시, 베트남 사이공 중심가 도로 한복판에 티엔무 사원의 [[틱꽝득]](釋廣德) 스님이 분신자살을 시도했다. 이 충격적인 장면은 AP통신 사진기자에 의해 해외로 타전되어 서구 사회에 경종을 울리며 전국적인 저항의 신호탄이 된다.<ref>아브로 맨하탄<<바티칸 대학살>></ref>
302번째 줄:
== 1961년~1963년:케네디의 정책 ==
{{본문|전략촌 (베트남 전쟁)|팜응억타오}}
[[파일:South Vietnam Map.jpg|섬네일|right오른쪽|250px|1967년 [[남베트남]] 군사 구역]]
 
[[1960년 미국 대통령 선거]] 결과 [[존 F. 케네디]]가 대통령이 되었다. 전임 대통령 아이젠하워가 베트남과 라오스, 유럽, 라틴아메리카의 상황에 대해 언급하며 “그가 보는 것보다 아시아(의 문제)는 더 크다.”고 경고하였지만<ref name="Karnow p. 264">{{harvnb|Karnow|1991|p=264}}</ref>, 케네디는 “얼마를 지불하든, 져야할 짐이 얼마이든, 얼마나 어려운 일이 닥치든, 모든 친구를 지원하고 자유의 승리와 생존을 확약한다.”는 야심만만한 공약을 발표하였다.<ref>The Avalon Project at Yale Law School. ''[http://avalon.law.yale.edu/20th_century/kennedy.asp Inaugural Address of John F. Kennedy].''</ref> 1961년 6월 케네디는 소련의 [[니키타 흐루쇼프]] 수상과 [[빈 회동]]을 갖고 베트남 문제를 논의하였으나 합의점을 찾지 못하였다.
341번째 줄:
 
== 1963년~1969년:린든 정부의 확전 ==
[[파일:Bombing in Vietnam.jpg|섬네일|left왼쪽|upright위오른쪽|북베트남을 폭격 중인 미국 [[더글라스 B-66 디스트로이어|B-66]] [[폭격기]]와 이를 호위중인 4대의 [[리퍼블릭 F-105 선더치프|F-105]] [[전폭기]] ]]
 
[[존 F. 케네디 암살 사건|케네디 암살]] 이후 대통령 권한 대행이 된 [[린든 B. 존슨]]은 베트남 문제보다 “[[위대한 사회]]” 정책을 실행하는 것을 당면 과제로 여겼다. 대통령 자문위원이었던 [[잭 발렌티]]는 “그 시점에서 베트남은 자신의 지평을 향해 뻗은 한 사람의 주먹보다 크지 않았다. 그것은 토론할 가치가 없었기 때문에 우리는 그것에 대해 그리 토론을 하지는 않았다.”<ref name="Karnow pp. 336-339">{{harvnb|Karnow|1991|pp=336–339}} – Johnson viewed many members whom he inherited from Kennedy's cabinet with distrust because he had never penetrated their circle early in Kennedy's presidency; to Johnson's mind, such as [[W. Averell Harriman]] and [[Dean Acheson]] spoke a different language.</ref><ref>Shortly after the assassination of Kennedy, when [[McGeorge Bundy]] called LBJ on the phone, LBJ responded: "Goddammit, Bundy. I've told you that when I want you I'll call you." Brian VanDeMark, ''Into the Quagmire''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1995), 13.</ref>
349번째 줄:
쿠데타를 일으킨 군부는 [[즈엉반민]]을 수장으로 하는 군사 혁명 위원회를 세웠지만, 베트남 지역에서 활동하였던 미국 언론인 [[스탠리 카르노프]](Stanley Karnow)는 훗날 이들이 “무능력의 표본” 이었다고 평가하였다.<ref name="Karnow p. 340">{{harvnb|Karnow|1991|p=340}} – who quote Minh as enjoying playing tennis more than bureaucratic work.</ref> 로지는 1963년 말 즈엉반민에 대해 “정상을 차지할 충분한 힘이 있을까?”하는 질문을 받았다. 1964년 1월 [[응우엔 칸]]이 쿠데타를 일으켜 즈엉반민을 축출하였다.<ref name="Karnow p. 341">{{harvnb|Karnow|1991|p=341}}</ref> 그러나, 정국은 여전히 불안하였고 몇 차례의 쿠데타 기도가 계속되었다.
 
[[파일:Vietconginterrogation.jpg|섬네일|upright위오른쪽| 캄보디아 국경 근처에서 생포된 남베트남 민족해방전선 대원을 둘러싸고 있는 미군]]
 
1964년 8월 2일 , 북베트남 해안에서 첩보 작전 중이던 미국의 [[구축함]] [[USS 매덕스 (DD-731)|USS 매덕스]]가 [[통킹 만]]에서 북베트남의 어뢰정에게 공격을 받았다.<ref name="Osborn pp. 84-85">{{harvnb|Osborn|2002|pp=84–85}}</ref> 미국은 이틀 후인 8월 4일 같은 장소에서 USS 매덕스와 [[USS 터너 조이 (DD-951)|USS 터너 조이]]가 재차 어뢰정의 공격을 받았다고 주장하였다. 공격 전후의 상황이 확실치 않은 가운데 린든 존슨은 국무차관 조지 발에게 “그 수병들이 날치라도 쐈나보지”라고 말했다.<ref>Gerdes (ed.) ''Examining Issues Through Political Cartoons: The Vietnam War'' p. 26.</ref>
359번째 줄:
“1959년 당시 5천여 명에 불과하였던 베트콩의 수는 1964년 말에는 10만여명으로 추정되었다. …… 반면, 남베트남군의 수는 1백만 여명에서 85만여명으로 감소해 있었다.”<ref name="Demma"/> 베트남 주둔 미군의 수는 1961년 2천여 명에서 16,500 명으로 증가하였다.<ref name="USvietAnalysis">The United States in Vietnam: An analysis in depth of the history of America's involvement in Vietnam by George McTurnan Kahin and John W. Lewis, Delta Books, 1967.</ref>
 
[[파일:Vietcongsuspect.jpg|right오른쪽|섬네일|미국 해병대 3사단 1 연대 소속의 해병들이 [[다낭 공군 기지]] 인근에서 남베트남 민족해방전선 대원이라 여겨진 사람을 압송하고 있다.]]
 
[[미국 국가안전보장회의]]는 북베트남에 대한 폭격을 3단계로 격상시켰다. 1965년 3월 2일, [[미국 해병대]]는 전략 요충지인 [[쁠래이꾸]]를 공격하였다.<ref name="DennisSimon">{{웹 인용 |last =Simon |first =Dennis M. |제목 =The War in Vietnam,1965–1968 |date =August 2002 |url =http://faculty.smu.edu/dsimon/Change-Viet2.html |accessdate =7 May 2009 |보존url =https://web.archive.org/web/20090426064833/http://faculty.smu.edu/dsimon/Change-Viet2.html |보존날짜 =2009년 4월 26일 |깨진링크 =예 }}</ref> 소련 수상 [[알렉세이 코시긴]]이 북베트남을 [[국빈 방문]]한 동안 전개된 [[플래밍 다트 작전]] 과, [[롤링 선더 작전]], 그리고 [[아크 라이트 작전]]이 진행되었다.<ref>Nalty 1998, pp. 97, 261.</ref> 이후 3년간 지속된 폭격의 목표는 북베트남이 남베트남 민족해방전선을 지원하지 못하도록 북베트남의 방공망과 공업시설을 파괴하는 것이었다. 미국은 이를 통해 남베트남 민족해방전선의 사기를 꺾고자 하였다.<ref name = "Tilford 89">Earl L. Tilford, ''Setup: What the Air Force did in Vietnam and Why''. Maxwell Air Force Base AL: Air University Press, 1991, p. 89.</ref> 1965년 3월부터 1968년 11월까지 진행된 “롤링 선더” 폭격으로 북베트남에는 일백만 톤에 달하는 폭탄과 미사일, 로켓이 퍼부어졌다.<ref name="Karnow p. 468">{{harvnb|Karnow|1991|p=468}}</ref> 베트남 전쟁 전체 기간에 미군이 사용한 폭탄은 모두 700 만 톤에 달한다.<ref>조엘 안드레아스, 평화네트워크 역, 《전쟁중독, 미국이 군사주의를 버리지 못하는 진정한 이유》, <gwmw class="ginger-module-highlighter-mistake-type-1" id="gwmw-15542686238134969158757">창해, {{ISBN|89-7919-427-7}}</gwmw>{{ISBN|89-7919-427-7}}, 24쪽</ref>
367번째 줄:
=== 격화되는 지상전 ===
[[파일:1965-02-08 Showdown in Vietnam.ogv|섬네일|1965년 공격 받은 미군 공군 기지. [[유니버셜 뉴스릴]] 촬영]]
[[파일:Vietnamese villagers suspected of being communists by the US Army - 1966.jpg|섬네일|upright위오른쪽|미군에 의해 베트콩 용의자로 지목된 농민들. 1966년]]
[[미국 공군]]이 주둔한 비행장이 몇 차례 공격을 받게 되자, 미국은 약체인 남베트남군 대신 직접 공군 기지를 방어한다는 이유로 지상 전투 부대를 파병하였다. 1965년 3월 8일 3,500 명의 [[미국 해병대]]가 베트남 다낭에 상륙한 것을 시작으로 미국은 지상군을 파병하였다. 여론은 압도적으로 파병을 지지하였다.<ref>{{저널 인용
|url=http://web.archive.org/web/20080202203114rn_1/people-press.org/commentary/display.php3?AnalysisID=57|제목=Generations Divide Over Military Action in Iraq|publisher=Pew Research Center|month=October|year=2002
386번째 줄:
}}</ref>. 남베트남 민족해방전선의 게릴라들이 치고 빠지기 작전을 유효하게 사용하여 강력한 남베트남군을 패퇴시킨 것이다.<ref>McNeill 1993, p. 58.</ref> 이로써 6월 [[동써아이 전투]] 이후 남베트남군은 연이어 큰 전투에서 패배하게 되었다.<ref>McNeill 1993, p. 94.</ref>
 
[[파일:Checking house during patrol.jpg|right오른쪽|섬네일|미군이 마을에서 베트콩 색출 작전을 하고 있다.]]
 
작전 지역을 포기하는 비율이 늘고 사기가 바닥에 떨어지자 윌리엄 웨스트모얼랜드 장군은 미국 태평양군 사령관인 [[U. S. 그런트 샤프 주니어]] 제독에게 상황이 매우 다급하다고 보고하였다.<ref name="McNamara 349"/> 샤프 주니어 제독은 “나는 미군의 에너지, 이동력, 그리고 화력이라면 충분히 민족해방전선을 제압할 수 있다고 확신한다.”고 답하였다.<ref>U.S. Department of Defense, ''U.S.-Vietnam Relations'' vol. 4, p. 7.</ref> 이 답변을 회신 받은 웨스트모어랜드는 기존의 주베트남 미군 전략을 남베트남군 지원과 방어에서 직접 공격과 독자적인 작전 수행으로 전환하였다.<ref>McNamara ''Argument Without End'' p. 353.</ref> 웨스트모어랜드는 전쟁 승리를 위한 세 단계 계획을 수립하였다.
396번째 줄:
존슨 정부가 승인한 이 계획은 남베트남 정부가 게릴라를 억제할 책임이 있다고 하였던 케네디 정부의 구상과는 배치되는 것이었다. 웨스트모어랜드는 1967년 말까지는 최종적으로 승리할 수 있을 것이라 예측하였다.<ref>U.S. Department of Defense, ''U.S.-Vietnam Relations'' vol. 4, pp 117–119. and vol. 5, pp. 8–12.</ref> 존슨은 이러한 전략 변경을 언론에 알리지는 않았지만, 전쟁이 계속될 것이라고 말하였다.<ref>''Public Papers of the Presidents, 1965.'' Washington, D.C. Government Printing Office, 1966, vol. 2, pp. 794–799.</ref> 미국의 이러한 정책 변환은 북베트남 및 남베트남 민족해방전선과 보다 격렬한 무장 충돌을 가져오게 되었다.<ref name="McNamara 353">McNamara ''Argument Without End'' pp. 353–354.</ref> 이 계획은 미국이 직접 전투 수행에 나섬으로써 남베트남 정부가 보류하였던 다른 당면 과제들을 처리할 수 있도록 하자는 의도도 포함하고 있었다.<ref name="McNamara 353"/>
 
[[파일:Glassboro-meeting1967.jpg|섬네일|right오른쪽|[[글래스버러 회합]]에서 만난 소련의 [[알렉세이 코시긴]] 수상과 미국의 [[린든 B. 존슨]] ]]
베트남 전쟁에 참전한 미군의 의무 복무 기간은 1년이었다. 한 병사는 “우리가 베트남에 10년 동안 있지는 않게지만, 1년씩 열 번을 있을 것”이라고 자조하였다.<ref name="Courtwright p. 210">{{harvnb|Courtwright|2005|p=210}}</ref>
 
남베트남에는 온갖 물자가 넘쳐나게 되었는데, 스탠리 카노우는 “사이공의 PX(Post Exchange, 영내 매점) 규모는 뉴욕의 백화점 [[블루밍데일즈]]에 맞먹을 정도”였다고 기록하였다.<ref name="Karnow p. 453">{{harvnb|Karnow|1991|p=453}}</ref> 미국의 이러한 변화는 남베트남 사회의 경제에도 영향을 주었다. 남베트남에서는 부정부패가 만연하였다.
 
[[파일:HoCMT.png|섬네일|left왼쪽|1967년 당시의 호찌민 통로. 라오스 영토를 지나 남베트남으로 연결되었다.]]
 
미국은 [[동남아시아조약기구]](Southeast Asia Treaty Organization, SEATO)에 파병을 요청하였다. [[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 [[대한민국]], [[태국]], 그리고 [[필리핀]]이 베트남 전쟁에 파병하였다.<ref name="Karnow p. 556">{{harvnb|Karnow|1991|p=556}}</ref> 그러나, [[북대서양 조약 기구]]의 [[북대서양 조약 기구 회원국|회원국]]이었던 [[캐나다]]와 [[영국]]은 파병을 거부하였다.<ref>Peter Church. ed. ''A Short History of South-East Asia.'' Singapore, John Wiley & Sons, 2006, p. 193.</ref> 미군은 파병된 동맹국 군대와 연합작전을 하였다.
423번째 줄:
제임스 위츠는 구정 대공세가 “존슨 정부와 군부가 만든 …… 베트남 전쟁의 단계를 정면 반박하는 것”이었다고 평하였다.<ref name="Witz"/> 구정 대공세로 미국의 베트남 전쟁 개입은 변환점을 맞을 수 밖에 없었다. 그 동안 미국 정보 당국이 평가하고 있던 베트남 민족해방전선과 북베트남의 전력이 과소 평가되어 있었다는 것이 드러나자<ref name="Karnow p. 556" /><ref>Harold P. Ford. ''CIA and the Vietnam Policymakers'' pp. 104–123.</ref> 언론인 [[피터 아네트]]는 [[벤쩨]]에서 근무 중인 익명의 장교가<ref>[http://select.nytimes.com/gst/abstract.html?res=FB0D1FFA3F541B7B93CAA91789D85F4C8685F9 Survivors Hunt Dead of Bentre, Turned to Rubble in Allied Raids] nytimes.com.</ref> “마을을 탈환하려면 파괴할 필요가 있다”는 명령을 받았다고 폭로하였다.<ref>[http://www.jewishworldreview.com/cols/charen040103.asp "Peter Arnett: Whose Man in Baghdad?"], [[Mona Charen]], ''Jewish World Review'', 1 April 2003.</ref> 또 다른 정보원은 제9 보병 사단의 부리스 소령이 이러한 명령을 하였다고 지목하였다.<ref>[http://www.nhe.net/BenTreVietnam/ Saving Ben Tre].</ref>
 
[[파일:Deadvietcong2.jpg|섬네일|right오른쪽|구정 대공세 중 미국 공군이 주둔 중인 떤선녓 공항을 공격하다 사망한 남베트남 민족해방전선과 베트남 인민군의 전투원들]]
 
[[CBS 이브닝 뉴스]]의 앵커였던 [[월터 크롱카이트]]는 “우리는 지난 시기 잘못된 낙천가가 내놓는 증거들을 통해 승리가 멀지 않았다고 믿고 있었습니다. 우리가 패배에 직면하였다고 말하는 것은 무책임한 비관주의일 것입니다. 냉정히 현실을 보면 우리는 스테일메이트(stalemate, 체스에서 서로 움직일 수 없는 상황이 되는 것)에 빠진 것 같습니다. 불만스럽지만, 그게 결론입니다.”라고 논평하였다.<ref name="Moore">{{뉴스 인용 |성=Moore |이름=Frazier |제목=Cronkite, who defined the role of anchor, dies at 92 |agency=Associated Press |출판사=News Observer |날짜=2009-07-18 |url=http://www.newsobserver.com/nation_world/story/1612251.html |확인날짜=2009-07-17 |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090725225854/http://www.newsobserver.com/nation_world/story/1612251.html |보존날짜=2009-07-25 |깨진링크=예 }}</ref><ref>{{서적 인용|last=Oberdorfer|first=Don|제목=Tet! The Turning Point in the Vietnam War|publisher=Da Capo Press|year=1984|isbn=0-306-80210-4|page=251}}</ref> 크롱카이트가 이와 같이 논평하자, 존슨 대통령은 “크롱카이트를 잃는다면, 미국 중부를 잃었을 것”이라고 말하였다.<ref name="Philly">{{웹 인용 |제목=Walter Cronkite dies |출판사=Philadelphia Inquirer |날짜=2009-07-17 |url=http://www.philly.com/philly/news/20090717_Walter_Cronkite_dies.html?viewAll=y |원본날짜=2009-07-18 |first=Lee |last=Winfrey |first2=Michael D. |last2=Schaffer}} {{깨진 링크 |date=September 2010 |bot=H3llBot}}</ref><ref>{{뉴스 인용|제목=Broadcast News |url=http://www.nytimes.com/books/97/01/26/reviews/970126.26wickert.html |출판사=뉴욕 타임스 |저자=Wicker, Tom |날짜=1997-01-26 |확인날짜=2009-05-01}}</ref>
435번째 줄:
== 1969년~1972년: 베트남화 ==
=== 닉슨 독트린 ===
[[파일:Vietnampropaganda.png|섬네일|left왼쪽|남베트남군의 선전지. 베트남어로 “베트콩 조심해”라는 포스터 아래로 도망칠 곳도 숨을 곳도 없으니 항복하라는 선전문이 영어로 작성되어 있다.]]
새로 미국의 대통령이 된 [[리차드 닉슨]]은 구정 대공세가 지나고 난 뒤 철군 계획을 발표하였다. [[닉슨 독트린]]이라 불린 그의 계획은 남베트남군을 강화시켜 스스로의 영토를 방어하도록 한다는 것이었다. 이때문에 닉슨의 정책은 “[[베트남화]]”라고도 불렸다. 베트남화는 케네디 정부가 구상하였던 남베트남의 독자적 전쟁 수행과 비슷한 것이었지만, 그것과는 달리 분쟁 확산의 방지를 위해 미군이 계속 개입한다는 점이 달랐다.
 
490번째 줄:
그러나, 남베트남의 대통령 티에우는 평화 협정 대다수의 내용을 변경하여 줄 것을 요청하였다. 북베트남이 협정 내용을 공표하자 닉슨 정부는 북베트남이 기만 전술을 쓰고 있다고 비난하였고, 협상은 중단되었다.
 
[[파일:B-52D(061127-F-1234S-017).jpg|섬네일|left왼쪽|[[라인베커 II 작전]] 중인 미국 공군, 1972년 12월]]
닉슨은 남베트남에게 여전히 지원하고 있다는 것을 보이고 북베트남으로부터 유리한 협정 조건을 얻기 위한 목적으로 1972년 12월 18일부터 29일까지 [[하노이]]와 [[하이퐁]]을 폭격하는 [[라인베커 II 작전]]을 실행하였다. 무차별 폭격 작전에 사용된 폭탄은 총 12만 톤으로 히로시마 원자 폭탄의 5배에 해당하는 양이었다. 이중 4만 톤이 하노이 시내에 집중되었다. 이 폭격으로 북베트남의 경제와 공업은 큰 타격을 입었다. 같은 시기 닉슨은 남베트남의 티에우를 압박하여 남북 양자간의 평화 유지와 미군 철수를 골자로 하는 협정 조건을 승인하도록 하였다.<ref>송정남, 《베트남 역사 읽기》, 한국외국어대학교출판부, 2010년, {{ISBN|978-89-7464-597-7}}, 498쪽</ref>
 
564번째 줄:
 
==== 소련 ====
[[파일:Leonid Brežněv (Bundesarchiv).jpg|섬네일|upright위오른쪽|베트남 전쟁 후반기 당시 [[소비에트 연방의 지도자|소련 서기장]]이었던 [[레오니트 브레즈네프]] ]]
[[소비에트 연방]]은 남중국해에 배치한 함정을 통해 미국 공군의 [[보잉 B-52 스트래토포트리스|B-52]] 폭격기 항로를 추적하고 이를 북베트남에 통지하였다. 북베트남은 이러한 경고를 활용하여 해당 지역에 폭격 경보를 내렸고, 인명 피해를 줄일 수 있었다.<ref name="Truong p. 168">{{harvnb|Truong|1985|p=168}}</ref>
 
632번째 줄:
 
==== 오스트레일리아와 뉴질랜드 ====
[[파일:RAR Vietnam.jpg|섬네일|upright위오른쪽|베트남 전쟁에 참전한 오스트레일리아 병사]]
 
[[오스트레일리아]]와 [[뉴질랜드]]는 [[태평양 안전 보장 조약]]과 [[동아시아 조약 기구]]의 가입국이자 미국의 가까운 동맹으로서 [[제2차 세계대전]]과 [[말레이시아 위기]]때부터 인도차이나 반도의 정글에서 전투를 치른 경험이 있었다. 오스트레일리아와 뉴질랜드는 [[도미노 이론]]에 따른 공산주의 확장이 실재로 일어날 경우 자국의 안전이 위태로워 질수 있다는 점을 들어 베트남 전쟁에 개입하였다. 오스트레일리아는 1962년 남베트남에 군사고문단을 보냈고 1965년부터는 전투 부대를 파병하였다.<ref name=Dennis>Dennis et al 2008, pp. 555–558.</ref> 뉴질랜드는 공병과 포병 기술자부터 파병하기 시작하여 정규 보병을 파병하였다.<ref>McGibbon 2000, pp. 561–566.</ref> 오스트레일리아의 베트남 주둔 병력은 가장 많을 때를 기준으로 7,672 명이었고 뉴질랜드는 552 명이었다. 오스트레일리아 경우 베트남 참전 병사의 총 누계는 6만명 이상이었고, 그 가운데 521명이 사망하고 3천명 이상이 부상당하였다.<ref>{{웹 인용 | url = http://www.awm.gov.au/atwar/vietnam.htm| 제목 = Vietnam War 1962–1972 | work = Encyclopaedia | publisher = Australian War Memorial | accessdate =1 July 2006}}</ref> 뉴질랜드의 병력 누계는 3천여 명이었고 사망 37명, 부상 187명이었다.<ref>McGibbon 2000, p. 539.</ref> 오스트레일리아군과 뉴질랜드군은 [[제1 오스트레일리아 기동대]]를 편성하여 지금은 대부분 [[바리어붕따우 성]]에 편입된 옛 프억뚜이 성(Phước Tuy)에 배치되었다.<ref name=Dennis/>
1,004번째 줄:
{{전거 통제}}
 
[[분류:베트남 전쟁| ]]
[[분류:1960년대]]
[[분류:1970년대]]
[[분류:베트남 전쟁| ]]
[[분류:아시아의 내전]]
[[분류:베트남의 전쟁]]
1,030번째 줄:
[[분류:소련의 전쟁]]
[[분류:공산주의 내전]]
[[분류:캄보디아 내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