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의 교육: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잔글 112.161.1.52(토론)의 편집을 InternetArchiveBot의 마지막 판으로 되돌림
비논리적이고 편향적인 내용삭제 ex) 모두가 명문대에 가기 위해 공부만 해야한다: 이는 대한민국 학생들의 학업에 대한 의지가 점점 약해지고 일반고의 경우에는 학습 분위기가 점점 망가져가는 현실을 망각한채 일부 학업에 많은 노력을 들이는 소수의 학생들의 경우로 일반화
1번째 줄:
{{다른 뜻|일제 강점기의 교육|광복 후의 교육|광복([[1945년]]) 전의 교육}}
 
'''대한민국의 교육'''은 분야가 크게 유아교육, 초등교육, 중등교육, 고등교육, 평생교육으로 나뉘고, 초등교육과 중등교육은 의무교육이다. 학제는 6·3·3·4제로, 모든 학생이 동일한 학교 계통을 밟을 수 있게 하는 단선형 학제이다. [[대한민국 정부]] [[교육부]]에서 관장한다. 상당히 높은 교육열에 힘입어 거의 모든 학생이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에 진학하며, 대학 진학률은 67%에 달한다. 한국의 교육은 근 40년 가까이 학생들을 무한 경쟁에 내모는 입시 위주 교육이라는 비판을 들어 왔다. 역대 모든 정부가 이를 개선하기 위해 교육 개혁을 자주 시도하였으나,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한 것은 하나도 없다. 대한민국 학생의 70%가 공교육을 불신하여 사교육을 받는 문제<ref name=":2">{{웹 인용|url=http://www.index.go.kr/potal/main/EachDtlPageDetail.do?idx_cd=2697|제목=국가지표체계|언어=ko|확인날짜=2018-10-23}}</ref>도 끊임없이 지적받아 왔다. 저출산의 여파로 1980년 대비 2017년 학생 수는 크게 감소하였다.<ref>{{웹 인용|url=http://www.index.go.kr/potal/main/EachDtlPageDetail.do?idx_cd=1537|제목=국가지표체계|언어=ko|확인날짜=2018-10-23}}</ref>
 
== 역사 ==
70번째 줄:
{{본문|대한민국의 초등학교}}대한민국의 초등교육은 초등학교에서 받을 수 있다. 의무교육이므로 모든 교육은 전액 무료로 제공된다. 만 6세가 되는 해에 입학하는 것이 원칙이나, 만 5세 또는 7세에 입학하는 것도 가능하다. 6·3·3·4 학제의 첫 단계로서, 일반적으로 6학년제이다. 초등교육을 제대로 이수하지 못하고 취학 연령을 초과한 경우 [[공민학교]]에서 3년간 초등교육을 받을 수 있으나, 현재 운영되는 공민학교는 없다. 2017년 기준 대한민국에는 교육부로부터 인가받은 초등학교가 6천 개 가량 있으며, 이 가운데 99%가 국공립이다.<ref name=":0" /> 초등학교 취학률은 97.3%이다.<ref name=":1" />
 
학기는 보통 3월에 시작하여 7, 8월에 여름방학이 있고, 12월, 1월에 겨울방학을 지낸 뒤 익년 2월에 종업 또는 졸업을 한다. 등교 시각은 9시이며, 1교시 수업은 9시 10분에 시작한다. 매 교시는 40분, 쉬는 시간은 10분이다. 최대 수업 시간은 6교시이다. 학생들은 학교에 있는 시간의 대부분을 자기 반 교실에서 보낸다. 월요일부터 금요일까지, 주 5일제로 수업한다. 초등학교 1, 2학년은 오후 1시에, 3, 4학년은 오후 2시에, 5, 6학년은 오후 3시에 모든 수업이 끝난다. 맞벌이 부부가 많아지면서 오후 2~6시에 아이를 맡길 곳을 찾지 못하는 부모가 늘어났다. 이들은 대개 '학원 뺑뺑이'를 돌리거나 직장을 그만두고 '경력단절여성'이 되는 길을 택한다. 이에 대한 방책으로 정부는 초등학교 수업 시간을 늘리는 것을 고려하고 있다.<ref>{{뉴스 인용|url=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7/12/11/0200000000AKR20171211136800017.HTML|제목=저출산 해법으로 초등 수업시간 확대 검토…교육계는 반대|성=서한기|날짜=2017-12-15|뉴스=연합뉴스|언어=ko-KR|확인날짜=2018-10-23}}</ref> 초등학생들의 82.3%는 사교육을 받으며, 월 평균 30만 원을 사교육비로 지출한다.<ref name=":2">{{웹 인용|url=http://www.index.go.kr/potal/main/EachDtlPageDetail.do?idx_cd=2697|제목=국가지표체계|언어=ko|확인날짜=2018-10-23}}</ref>
 
성적 제도는 [[절대평가]]이다. 시험을 치르기는 하나 성적이 수치화되어 기록에 남지는 않고, 대개 '잘함', '보통', '부족'과 같이 대략적으로만 나눈다. 급식은 [[무상급식]]이다.
258번째 줄:
#[[한양대학교 ERICA캠퍼스]]
# 경희대학교, 이화여자대학교
 
그러나 이런 순위는 학생들에게 잘 알려지지 않았다. 그보다는 '서(카포)연고서성한중경외시건동홍국숭세단광명상가인가경한서삼~'과 같이 각 대학 이름의 첫 글자를 따서 노래처럼 부르는, 오로지 인지도에만 근거한 서열이 훨씬 더 큰 영향을 끼친다.<ref>{{뉴스 인용|url=http://news.unn.net/news/articleView.html?idxno=114578|제목=‘서연고 서성한 중경외시…’는 옛말?!|날짜=2012-09-19|뉴스=한국대학신문|언어=ko|확인날짜=2018-10-23}}</ref>
 
=== 대학원 ===
줄 319 ⟶ 317:
 
학벌의 영향력이 아직도 강하게 남아 있는 직역은 [[공무원]]이다.<ref name=":8" /> 서류심사와 면점으로 공무원을 채용하는 타국과 달리 대한민국은 [[고시]]로 공무원을 선발한다. 수능은 고시와 똑같은 시험이므로, 수능 성적이 높은 사람이 고시 성적도 높을 수밖에 없다. 즉, 명문대 학생이 (고위)공무원이 될 가능성이 높다. 실제로 2009년~2011년 3개년간 행정고시 합격자 770명의 70%는 [[서울대]], [[연세대]], [[고려대]] 출신이었다.<ref name=":8" /> 이는 막강한 권력을 휘두르는 고위공무원이 기업과 학연으로 유착하여 부패를 저지를 가능성을 높이고, 공무원 관료사회 내에 학벌주의를 형성한다. [[사법고시]]가 폐지되고 [[법학전문대학원|법전원]]이 도입되는 등 고시로 관료를 선발하는 일이 점차 줄어듦에 따라서, 명문대학 출신 비중은 낮아질 것으로 예상된다.<ref name=":8" />
 
=== 획일적인 입시 위주 주입식 교육 ===
특성화고등학교를 제외한 대한민국 모든 학교의 교육과정이 학생의 진로와 개성을 전혀 고려하지 않고 그저 획일적으로 모두에게 내신을 잘 따고 수능에서 1등급을 받아 명문대를 가라고 종용하는 입시 위주 주입식 교육이라는 문제는 오랫동안 질타를 받았다. 입시 위주 주입식 교육이 성공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철밥통' 공무원들이 가르치는 학교보다 시장 경쟁을 거쳐 가장 잘 주입하는 자가 살아남은 학원과 과외가 지식을 주입하는 능력 하나는 뛰어나 사교육이 성행하고 고액 사교육을 받을 수 있는 고소득층 자녀들이 명문대에 대거 진학하여 교육이 신분 이동의 사다리 역할을 하지 못한다고도 진단되었다.<ref>{{뉴스 인용|url=http://www.hani.co.kr/arti/society/schooling/242831.html|제목=주입식 교육이 문제다|날짜=2007-10-14|언어=ko|확인날짜=2018-10-29}}</ref> 역대 모든 정부가 입시 위주 교육을 타파하고 [[진보주의 교육]]과 전인교육을 실현하기 위하여 각종 대책을 내놓았으나 그 가운데 성공한 것은 아무것도 없다. 특목고와 자사고가 우수 학생들을 선점하여 일반고에는 중하위권 학생들만 남게 되었다는 소위 '일반고 슬럼화'도 실은 학생들을 입시 위주로로 가르치는 법만 배운 일반고 교사들이 성적은 낮지만 진로는 각양각색인 학생들을 지도하기가 귀찮아 하는 말이고 일반고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근본적으로 일반고가 ''진로가 서로 다른 학생들을 섞어놓는'' 학교임에 주목하여 명문대에 보내기 위한 획일적 교육이 아닌 각자의 진로에 맞는 교육을 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된 바 있다.<ref>{{뉴스 인용|url=http://www.women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74791|제목=‘일반고 슬럼화’ 진단의 오류|날짜=2014-08-19|뉴스=여성신문|언어=ko|확인날짜=2018-10-29}}</ref>
 
==== 낮은 학생 행복도 ====
대한민국 청소년의 주관적 행복도가 [[OECD]] 꼴찌권임은 익히 알려진 사실이다.<ref>{{뉴스 인용|url=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7/05/02/2017050200141.html|제목=한국 학생, OECD 행복지수는 꼴찌권… 빈곤가정 비율 등 물질적 행복은 2등|언어=ko|확인날짜=2018-10-29}}</ref>진로를 찾지 못하고 그저 명문대를 가기 위해 끝없이 공부만 해야 하니 당연한 일이다.
 
=== 고리타분한 [[성교육]]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