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징 (조선의 문신):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TedBot (토론 | 기여)
잔글 봇: 틀 이름 및 스타일 정리
1번째 줄:
'''권징'''(權徵, [[1538년]] ~ [[1598년]])은 [[조선]] 중기의 문신으로 [[임진왜란]] 당시 크게 활약하였다. 본관은 [[안동 권씨|안동]](安東), 자는 이원(而遠), 호는 송암(松菴), 시호는 정익(貞翼)으로, 찬성사 [[권근]](權近)의 후손이고 사직 권굉(權硡)의 아들이다.
 
== 생애 ==
[[1562년]] 별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해 검열이 되고 [[1567년]]에 주서, [[1568년]] 병조좌랑으로 춘추관기사관을 겸직하였고 《[[명종 실록]]》 편찬에도 참여하였다.
 
이후 여러 청환직을 거쳐 동부승지에서 도승지에 이르고 형조참의에 임명되었다. 전주부윤 때 경내에 [[정여립]]이 살았으나 사람됨이 꺼려 만나지 않았는데 이로 인해 안변 부사로 좌천되었다가 강원도관찰사가 되었다.
 
[[1586년]] 형조참판, [[1588년]] 충청도와 함경도관찰사 등을 거쳐 [[1589년]] [[병조판서]]로 승진하였으나 [[정철]]의 실각으로 평안도관찰사로 좌천되었다.
 
[[1592년]] [[임진왜란]]의 발발로 경기도관찰사로 임명되어 [[임진강 전투]]에서 왜군을 막으려 최선을 다했으나 패배했고 [[광해군]]의 분조에서 경기도순찰사로 군량미 조달에 힘썼다. 이후 [[권율]]과 함께 [[경기도]], [[충청도]], [[전라도]]의 3도 의병들을 규합해 왜군과 싸웠고 [[1593년]] [[한양]] 탈환에 참가하였다.
 
[[명나라]] 제독 [[이여송]]이 왜군과의 강화를 주장하자 왜군을 끝까지 토벌할 것을 주장했으며 [[공조판서]]로 전란 중 훼손당한 [[조선 성종|성종]]의 능인 [[선릉]]과 [[조선 중종|중종]]의 능인 [[정릉]]을 보수하였고 [[1594년]] 병으로 벼슬에서 물러난 뒤에도 자주 상소를 올려 자신의 의견을 제시하였다.
 
사후 [[영의정]]에 추증되었다. <ref>선조실록</ref><ref>한국민족문화대백과</ref>
 
== 가족 관계 ==
24번째 줄:
***** 사위 : 심액(沈詻, 이조판서) - [[심우승]](沈友勝)의 양자
****** 외손자 : [[심광수]](沈光洙)
****** 외손자 : 심광사(沈光泗)
 
== 각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