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제17대 대통령 선거 민주노동당 후보 경선: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태그: m 모바일 앱 안드로이드 앱 편집
태그: m 모바일 앱 안드로이드 앱 편집
21번째 줄:
경선 전만 해도 심상정 후보는 별로 주목을 받지 못했으며, 노회찬 후보는 일부 여론조사에서 1위를 하는 등 권영길 후보의 가장 강력한 라이벌이 될 것으로 예측되었다.<ref>{{웹 인용|url=http://www.mediatoday.co.kr/?mod=news&act=articleView&idxno=53935|제목=노회찬-권영길 접전…민노당 흥행몰이 기대|성=미디어오늘|날짜=2007-01-26|언어=ko|확인날짜=2019-05-13}}</ref> 그러나 경선이 시작되자 노회찬 후보의 득표력은 기대에 못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심상정 후보는 예상 밖에 선전을 보이며 3자 구도를 형성, 결국 결선투표까지 진출하는 돌풍을 일으켰다.<ref>{{웹 인용|url=https://wspaper.org/article/4534|제목=진보정당다웠던 민주노동당 경선 1차 투표|날짜=2007-09-12|언어=ko|확인날짜=2019-05-13}}</ref> 이는 노회찬 후보는 경선 구도를 [[자주파|NL]] 대 [[평등파|PD]]의 정파 대결 구도로 끌고 가 [[평등파|PD]]계의 지지를 업는 전략을 쓴 반면 심상정 후보는 정책 제시에 주력하고 평당원들의 지지를 얻은 것이 주효했던 것으로 평가되었다. 또한 인지도와 호감도는 높았으나 조직적 기반이 없던 노회찬 후보에 비해 심상정 후보는 민주노총 중앙파, 전진그룹 등 탄탄한 당내 기반이 있었다는 점도 작용했다.<ref>{{웹 인용|url=http://www.jabo.co.kr/sub_read.html?uid=21750|제목=[대자보] 민노당 경선은 끝 아닌 시작, 최후의 승자는?|날짜=2007-09-18|확인날짜=2019-05-13}}</ref><ref>{{웹 인용|url=http://www.vop.co.kr/A00000086408.html|제목=진짜 파란은 '권영길의 약진'이었다 - 민중의소리|확인날짜=2019-05-13}}</ref>
 
첫 [[제주특별자치도|제주]] 경선에서는 의외로 세 후보 모두 엇비슷한 득표율을 보인 가운데, 전통적으로 [[자주파|NL]]계의 텃밭인 [[광주전남|광주·전남]]에서는 권영길 후보가 압승을 거뒀고, 공단이 많은 [[대구경북|대구·경북]]에선 노동운동가 출신으로 [[전국금속노동조합|금속노조]]의 조직적 지원을 받은 심상정 후보의 약진이 두드러졌다.<ref>{{웹 인용|url=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_id=200708261839271|제목=민노당 경선 초반 3연전 ‘1강2중’ - 경향신문|확인날짜=2019-05-13}}</ref><ref>{{웹 인용|url=http://www.vop.co.kr/A00000085205.html|제목=대전충남 '심바람'...심상정, 노회찬 제치고 2위 - 민중의소리|확인날짜=2019-05-13}}</ref> 권영길 후보는 농민층의 지지를 바탕으로 [[전라북도|전북]] 경선에서 승리하고, 자신의 고향인 [[부울경]] 지역에서도 압승하며 다시 대세론을 이어갔다. 노회찬 후보는 계파색이 옅은 [[대전충남|대전·충남]]과 고향인 [[부산광역시|부산]]에서 이때까지의 부진을 만회할만회하고자 수 있을 거라 기대했으나했으나, 세 지역 모두 저조한기데 이하의 성적을 거뒀다. 결국 [[울산광역시|울산]] 경선부터는 심상정 후보에게 2위를 내주게 되었다.<ref>{{웹 인용|url=http://www.redian.org/archive/18784|제목=“대전-충남 오늘 개표, 세후보 박빙”|날짜=-001-11-30T00:00:00+00:00|언어=ko-KR|확인날짜=2019-05-13}}</ref><ref>{{웹 인용|url=http://www.pressian.com/news/article.html?no=12228|제목=권영길, 민노당 부산 경선에서 48.91% 득표해 7연승|성=기자|이름=윤태곤|날짜=2007-09-03|언어=ko|확인날짜=2019-05-13}}</ref> 심상정 후보는 계파색이 옅은 [[충청북도|충북]]·[[강원도 (남)|강원]]·[[서울특별시|서울]] 지역에서 눈부시게 선전, 권영길 후보의 득표율을 끌어내렸는데, 특히 충북에서는 두 후보를 누르고 1위를 차지하기까지 했다. 덕분에 수도권 경선 전날까지 50.02%의 누적 득표율을 기록하던 권영길 후보는 [[자주파|NL]]계의 세가 강한 [[경기도|경기]]·[[인천광역시|인천]]에서의 압승에도 불구하고 49.37%로 떨어졌다.
 
77.8%의 투표율을 기록한 전국 순회 경선 결과, 과반을 득표한 후보가 없어 권영길 후보와 심상정 후보가 결선 투표에 진출했다. 노회찬 후보는 줄곧 텃밭으로 여겨지던 서울을 발판으로 2위 탈환을 기대했으나, 결국 심바람에 밀려 결선투표에 진출하지 못했다.<ref>{{웹 인용|url=http://www.hani.co.kr/arti/politics/assembly/234945.html|제목=민노당 대선후보 권영길-심상정 결선투표|날짜=2007-09-09|언어=ko|확인날짜=2019-03-23}}</ref><ref>{{웹 인용|url=http://www.jabo.co.kr/sub_read.html?uid=21652|제목=[대자보] 대파란, 심상정 vs 권영길 결선서 격돌|날짜=2007-09-09|확인날짜=2019-05-13}}</re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