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숭겸: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35번째 줄:
[[고려 태조|태조]](太祖) 즉위 후 7년 8년 동안 소강상태였던 [[후백제]](後百濟)와의 긴장관계는 [[견훤]](甄萱)이 [[신라]](新羅)를 공격함으로써 악화되었다. [[927년]] [[견훤]]이 고울부(高鬱府) 지금의 경상북도 영천를 습격하고 [[신라]](新羅)를 공격해 [[경애왕]](景哀王)을 죽이고 갖은 만행과 약탈을 하였다. 이 소식을 들은 [[고려 태조|태조]](太祖)는 크게 분개해 사신을 [[신라]]에 보내어 조제(弔祭)하는 동시에 친히 정기(精騎) 5천을 거느리고 대구의 공산(公山) 동수(桐藪)에서 견훤을 맞아 싸우게 되었다. 그러나 후백제군에게 포위되어 [[고려 태조|태조]](太祖)가 위급하게 되었을 때 대장(大將)이 되어 원보(元甫) 김락(金樂)과 더불어 힘써 싸우다가 전사하였다.
 
간신히 위기를 벗어난 [[고려 태조|태조]](太祖)는 [[삼능산|신숭겸]](申崇謙)의 죽음을 매우 슬퍼해 시호를 장절(壯節)이라 하였다. 또한 아우 신능길(申能吉)과 아들 신보(申甫)를 모두 원윤(元尹)으로 삼고 지묘사(智妙寺)를 창건해 그들의 복을 빌게 하였다. [[994년]]([[고려 성종|성종]] 13) 4월에 태사(太師)로 추증되어 태사 개국장절공(太師開國壯節公)으로 태묘(太廟)의 [[고려 태조|태조]](太祖) 사당에 배향(配享)되었다. [[삼은산삼능산|신숭겸]](申崇謙)의 행적을 기록한 평산신씨장절공유사(平山申氏壯節公遺事)에는 [[1120년]] [[고려 예종|예종]](睿宗)이 [[삼능산|신숭겸]](申崇謙)과 [[김락]]을 추도하며 지었다는 도이장가(悼二將歌)라는 향가가 전한다.
 
== 최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