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상훈: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TedBot (토론 | 기여)
잔글 봇: 틀 이름 및 스타일 정리
Huzzlet the bot (토론 | 기여)
잔글 로봇의 도움을 받아 동음이의 처리: 조병세 - 조병세 (1827년) 문서로 링크 바꿈
30번째 줄:
 
== 생애 ==
[[1874년]]([[조선 고종|고종]] 11년) 증광[[문과]]에 급제하여 [[홍문관]] 교리, [[규장각]] 직각, [[사헌부]] 장령 등을 거쳐, [[1882년]] [[임오군란]]이 일어나자, [[장호원]]에 피신하고 있던 [[명성황후]]의 밀계를 궁중에 전달하여 청군을 끌어들여 [[흥선대원군]]을 청국으로 납치하게 함으로써 임오군란을 진정시키는 데에 큰 역할을 하였고, [[1884년]] 이조 참의, 군국사무참의(병조참의), 동지경연관사를 거쳐, [[갑신정변]]이 일어나자, 경기도 관찰사(경기 감사)로서 또다시 청군을 끌어들여 독립당의 혁신정부를 전복시키는 데에 가장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였으며, 같은 해에는 충청도 관찰사(충청 감사)로 나아가 동학교도들의 탄압에 앞장섰다. 이후에, 이조참판, 협판내무부사(이조참판), [[홍문관]] 부제학, [[규장각]] 직제학, 지경연관사, [[공조판서]], [[이조판서]], [[형조판서]], 우참찬, [[선혜청]] 제조, [[교정청]] 당상, 장례원경, [[탁지부]] 대신(호조판서) 겸 [[의정부]] 찬정(의정부 찬성) 겸 궁내부 대신 서리 겸 군부대신 서리 겸 육군 부장 등을 지내고, [[1897년]] [[대한제국]]이 건국되자, 대한제국 초대 [[탁지부]] 대신이 되었고, 이후에, [[궁내부]] 특진관, [[양지아문]](토지측량관청)의 총재관, [[군부대신]](병조판서) 겸 내부대신 서리 겸 탁지부 대신 서리 겸 호위총관 서리 겸 특명 전권공사를 거쳐, [[내부 (대한제국)|내부대신]](이조판서), 의정부 찬정을 지냈다. [[1899년]] [[의정부]] 참정대신, 법규 교정소 의정관, [[양지아문]] 총재 겸 전환국 관리관 겸 [[표훈원]] 의정관, 육군 부장 겸 원수부 군무국 총장, 태의원경을 거쳐, [[1901년]] [[의정부]] 참정대신, [[탁지부]] 대신 겸 [[철도원]] 총재 겸 혜민원 총재, 원수부 군무국 총장 겸 탁지부 대신 겸 군부 대신 서리 겸 충청북도 관찰사 겸 [[중앙은행]] 총재 겸 지계 감독을 지냈다. [[1904년]] [[의정부]] 참정대신, 의정부 찬정, 판돈녕원사를 거쳐, [[러일전쟁]] 당시, [[의정부]] 참정대신, [[1905년]] 일본 특파 대사, [[중추원 (대한제국)|중추원]] 의장, 예식원 예식경, 의정부 참정대신 겸 찬모관, 관제 이정소 의정관, [[군부대신]], 경리원경, [[표훈원]] 총재, 강원도 관찰사, 시종무관장, 제실 재정 회의 의원(황실 예산 회의 위원), [[궁내부]] 대신, 경리원경 겸 배종무관장 서리, 궁내부 특진관 등을 지냈다. [[1905년]] [[을사조약]]이 체결되려고 하자, [[민영환]], [[조병세 (1827년)|조병세]] 등과 함께 경복궁에 들어가, 고종 앞에서 을사조약 체결 반대 상소를 올렸으나, 끝내 을사조약이 체결되자, 민영환과 조병세의 뒤를 이어 자결하려 하였으나, 고종의 만류로 자결을 포기하였다.<ref>《고종실록》</ref>
 
== 가계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