견훤: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72번째 줄:
 
견훤은 이어 [[906년]]에는 상주 사화진 일대에서 왕건과 여러 차례 싸운 끝에 패했다. [[907년]] 견훤은 일선군 이남의 10여 성을 장악하였다.
나주 지역을 [[후고구려]]에게 빼앗겼다는 것은 후방이 [[고려]]에 노출되어서 후고구려와 신라 방면으로 세력을 마음대로 확장할 수 없다는 것 이외에 자칫하면 후고구려에게 충청남도 북부 지역과 나주 지역을 통한 앞뒤로의 대규모 동시 협공을 받을 수 있다는 최악의 상황이 초래될 수 있고, 또 바다를 통해 중국과 외교 교섭과 무역을 주고 받고 더 나아가 중국과 일본 사이의 중계 무역으로 큰 이익을 얻고 있는 [[후백제]]로서는 중국과의 외교 교섭과 무역 거래, 더 나아가 중국과 일본과의 중계 무역까지 무산될 수도 있다는 이야기가 되어서, 국가의 존망이 걸린 중대한 사태로서 [[후백제]]로서는 상상을 초월한 엄청난 국가적 손실이었다. 실제로 [[909년]] 영광군 [[염해현]](鹽海縣) 앞바다에서 견훤이 오월에 보내는 선박이 [[왕건]]에게 나포되어 [[후백제]]의 사신은 물론 가지고 있던 물건들까지 모두 빼앗기기도 했다. 나아가 [[왕건]]이 이끄는 2,500여 명의 수군은 [[진도]]를 지나 [[고이도]]를 장악하였다. 이어 덕진포에서 [[고려 태조|왕건]](王建)의 화공에 패하고 견훤 자신은 작은 배를 타고 겨우 도주하였다고 한다.
[[909년]]부터 [[910년]]까지 견훤은 [[나주]]를 놓고 [[마진]](摩震)과 육지에서, 그리고 바다에서 치열한 공방전을 펼쳤는데, [[910년]]에는 견훤 자신이 몸소 보병과 기병 3천을 거느리고 열흘 동안 [[나주]]를 포위하기도 했다. [[왕건]]의 선단은 [[911년]]에 나주를 거쳐 [[무진주]]로 진격했지만, 견훤의 사위였던 지훤에게 패해 물러나야 했다. 그리고 몽탄(夢灘)면의<ref>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763111&cid=43740&categoryId=44174<ref>의 지명 유래에서 알 수 있듯이 왕건은 '나주 공략'에서 이겼다고는 해도 역사서들과는 달리 견훤과 싸우면서 고전했음을 알 수 있다.


[[912년]] [[덕진포]](德津浦)<ref>《[[동사강목]]》에는 영암군 북쪽 5리에 있었다고 되어 있다. 이병도에 따르면, [[웅주]] [[회덕군|비풍군]] 적오현 또는 [[덕진현]]이라 하였다.(《[[삼국사기]]》잡지제5, 지리3 신라) [[912년]]의 전투는 [[나주]] 지역을 두고 벌어진 것이기 때문에 충남 지역에서 벌어진 전투라 보긴 힘들고 영산강 하구에 위치한 영암군 덕진면 일대로 추정되며, 이 지역은 대대로 덕진진이 위치하고 있었다.</ref> 에서 해군을 이끌고 친정을 한 궁예와 견훤이 해전을 벌여 궁예에게 패했다고 선각국사비(형미의 비석.)에 나와 있고, 현재 학계의 유력한 학설로 떠오르고 있다. 궁예와 왕건의 이러한 나주 지역 점령 활동은 고려 시대 당시와 조선 시대는 물론이고, 현대의 한국 역사학자들에게서 왕건의 고려 통일의 초석을 다진 사건으로 대단히 높게 평가받고 있으나, 실제로 이후의 후고구려,고려와 후백제의 쟁패 과정을 보면 궁예와 왕건의 나주 지역 점령 활동의 효과는 상당히 제한적이었다. 우선, 후백제가 가장 두려워하는 최악의 시나리오인 충청남도 북부 지역과 나주 지역을 통한 앞뒤로의 대규모 동시 협공을 받은 일이 없었고, 해상 봉쇄를 통한 후백제의 외교적,경제적 고립과 충청남도 북부 지역과 나주 지역을 통한 앞뒤로의 대규모 동시 협공 우려를 견훤에게 심어줘, 후백제의 신라 지역과 후고구려 지역 진출을 억제해 후백제의 국력을 더 이상 확장하지 못하게 하는 효과 이외에, 기존의 후백제의 국력을 근본적으로 쇠퇴시키는데 실패했다.
 
오히려 왕건의 고려 건국 이후, 후백제는 궁예 시절과는 달리 중국과의 자유로운 교역에 성공했고, 심지어 중국뿐만이 아니라 북방의 거란과도 자유롭게 교역을 하는 모습을 보여, 애초의 나주 지역 점령의 가장 중대한 목적중 하나였던 후백제의 외교적,경제적 고립이라는 목표 달성에 실패했고, 여전히 나주 지역을 고려에 빼앗겼는데도 불구하고 궁예 시절보다 훨씬 국력이 강해져서 신라 지역으로 활발히 진출해 결국 신라의 수도인 경주까지 함락시켰고, 이 직후 신라를 구원하기 위해 출정한 왕건의 친정군까지 927년 팔공산 전투에서 전멸시키는데 성공했기 때문이다. 또 929년 후백제의 나주 지역 탈환에도 불구하고, 고려는 930년 고창(지금의 안동)전투에서 대승을 거두어 이후 후삼국 통일 전쟁에서 결정적인 우위를 보였고, 후백제는 나주를 수복했음에도 불구하고 고창 전투 대패 이후 급속도로 몰락하기 시작하기 시작했다. 또 고려는 929년에 나주를 후백제에 빼앗겼는데도 불구하고, 935년 왕건의 명을 받은 유금필이 당시 신검의 쿠데타로 금산사에 유폐되어 있던 견훤을 구출해 고려로 데려올려는 목적으로 나주 지역을 공격해 탈환하기 전까지 6년 동안 나주 지역을 탈환할려는 시도를 하지 않은 것과, 936년, 왕건이 견훤을 대동하고 고려의 국력을 총동원해 신라의 낙동강 지역을 통한 최후의 후백제 공격때 1년 전에 점령한 나주 지역을 이용해 낙동강 지역과의 대규모 동시 협공 공격을 시도하지 않은 점 등으로 봐서 궁예와 왕건의 나주 지역 점령 활동의 군사적,경제적 효과는 상당히 제한적이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