견훤: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83번째 줄:
 
==== [[신라]] 방면에 대한 공략 ====
[[920년]] 9월에 견훤은 다시 아찬 공달(功達)을 [[고려]]에 보내어 다시 공작의 깃으로 만든 부채와 지리산의 대나무 화살을 바치며 우호적인 제스처를 취하고서, 10월에 [[대야성920년]] 이어10월, 견훤은 1만여 명의 군사를 거느리고 신라를 공격하여 마침내 오랜 숙원이었던 대야성 공략에 성공한다. 과거 대야성을 공격했다가 쓰라린 패배를 경험한지 무려 19년 만의 일이었다. 대야성은 중요한 요충지로, 후백제군은 대야성을 빼앗음으로써 신라의 본토를 습격할 수 있는 길을 열게 된것이다. 견훤은 승세를 타고 구사성(仇史城)까지 함락시켰고, 진례성까지 공격하려 하였으나 신라 왕의 구원 요청을 받은 왕건이 군사를 움직이자 다시 물러났다. 진례성([[청도군]])으로고려사 박수경 열전을 보면 이때의 고려 지휘관은 박수경으로 추정이 되고 박수경 열전에는 왕건의 명령을 받아 신라로 간 박수경이 거듭해서 견훤군을 패배시켰다고 적고 있어 이때 견훤군은 박수경에게 패해서 물러간 것으로 추정이 된다. 그러나 견훤은 왕건의 쿠데타에 동조하지 않는 고려의 혼란을 진격하였으나이용하여 [[신라웅진]](오늘날의 [[고려공주]]에게)까지 구원을진출했다.[* 청했다는삼국사기에서는 소식을이를 듣고두고 퇴각한다견훤이 겉으로는 왕건과 화친하였으나 속뜻은 완전히 달랐다고 비난하였다.]
 
 
 
[[921년]] 여름에 [[도선]]의 제자인 [[경보 (승려)|동진대사]](洞眞大師) 경보(慶甫)가 중국에서 유학을 마치고 [[후백제]]의 수도 완산에서 멀지 않은 임피군에 도달했고, 이때 견훤은 경보를 맞아들여 남복선원(南福禪院)으로 올 것을 청했다가 다시 경보가 스승의 옛 거처인 백계산 [[옥룡사지|옥룡사]]로 가는 것을 허락하였다. 이 해 말에 [[후백제]]의 궁창과 명권이 [[고려]]로 투항하고 있다.
 
 
 
[[924년]] 7월에 견훤은 아들 수미강과 양검을 보내 대야성과 문소성([[의성]]) 두 성의 군사로 [[조물성]]을 공격하게 했다. 이들은 고려에서 구원군으로 보낸 애선과 왕충중, 애선을 전사시키는 성과를 냈지만 조물성 사람들의 거센 저항으로 성을 함락시키는데는 실패했다. 견훤은 8월에 절영도(絶影島)의 총마 한 필을 왕건에게 보내고 있다(후술). 한편 신라에서는 [[경명왕]]이 죽고 경애왕이 즉위하였으며, [[925년]] 9월부터 [[발해]]에서 대규모 망명자들이 고려로 넘어오기 시작했다. 10월에 견훤은 다시 3천 기(騎)를 이끌고 친히 조물성을 내습하였고 왕건은 반격에 나섰지만, 당초 조물성 전투는 여러 사서들에서도 나오듯이 후백제군이 매우 강해 고려가 불리한 상황이였다. 이때 왕건은 자신의 친정군을 제외한 전 군대를 상군, 중군, 하군으로 나누어 후백제군과 전투를 벌였지만 황보제궁이 이끄는 상군과 왕충이 이끄는 중군이 모두 패하고 박수경과 은영이 지휘하는 하군만 승리해 왕건 자신의 친정군과 박수경과 은영의 하군이 겨우 버티고 있는 사이에 유금필이 왕건을 구원하러 달려오면서 전세가 바뀌게 되었다고 한다. 이후 견훤과 왕건은 서로 화친을 하기로 결정하고(여기서 누가 먼저 화친을 요청했는지는 기록들에 따라 서로 엇갈린다. 삼국사기와 삼국유사에서는 왕건이 먼저 화친을 요청했다고 나오지만, 고려사,고려사절요,동국통감에서는 견훤이 먼저 화친을 요청했다고 나온다. 하지만 삼국사기와 삼국유사에 나오는 견훤과 왕건이 서로 국서를 주고 받은 문서에서는 이때 견훤이 먼저 화친을 청한 것으로 나온다. 현재 한국 역사학사들 다수의 의견은 조물성 전투에서 왕건이 먼저 화친을 청했다고 기록한 삼국사기와 삼국유사에서조차 견훤과 왕건이 서로 주고받은 국서에서 견훤이 먼저 화친을 요청했다는 이야기가 쓰여있는 것으로 봐서 견훤이 먼저 화친을 요청했다는 이야기에 손을 들어주고 있다.), 서로 왕건의 사촌아우 [[왕신]](王信)과 견훤의 외조카 [[진호 (후백제)|진호]](眞虎)를 인질로 교환함으로써 화친이 성립되었다. 12월에 견훤은 다시 거창 등 신라의 20여 성을 공격하여 차지하고, 후당에 사신을 보내 후당으로부터 검교태위 겸 시중 판백제군사 지절도독 전무공등주군사 행전주자사 해동서면도통지휘병마제치등사 백제왕 식읍 2천 5백 호의 관작을 제수받았다.<ref name="견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