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동여지도: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TedBot (토론 | 기여)
잔글 봇: 틀 이름 및 스타일 정리
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유형문화재 정보 |
소재_국가=[[대한민국]] |
그림 =|그림크기=190px|
51번째 줄:
 
=== 지도의 표기 ===
 
* 1 첩에 나타낸 지역은 동서 80리, 남북 120리이며, 지도 전체로는 동서 1,520리, 남북 2,640리이다. 이때 [[축척]]은 약 1:216,000이다. 이는 〈청구도〉의 남북 2900리보다 260리의 차이를 보이는데, 〈청구도〉에서 공백 및 여백으로 표시한 부분을 〈대동여지도〉에서는 생략하였기 때문이다.
* 산줄기는 봉우리와 능선을 따라 이어 그렸다. [[백두산]]에서 시작하여 [[지리산]]에서 끝나는 [[백두대간]]을 하나의 줄기로 표기하였다.
줄 56 ⟶ 57:
* 주요 도로를 표기하고 10리마다 거리 표시를 하여 도읍간 거리를 알 수 있도록 하였다.
* 지도표(지도식)을 두었으며, 산천·해도(海島)·영아(營衙)·읍치(邑治)·성지(城池)·진보(鎭堡)·역참(驛站)·창고·목소(牧所)·봉수·능침(陵寢)·방리(坊里)·고현(古縣)·고진보(古鎭堡)·고산성(古山城)·도로 등을 나타냈다.
 
[[파일:Daedongyeojido (Gyujanggak) 01-06.jpg|섬네일|함경도 옆에 표시한 대동여지도의 지도표. (제1첩 6면)]]
 
{| class="wikitable"
! 영아(營衙)와 진보(鎭堡)
| rowspan="2" | {{CSS image crop | Image=Daedongyeojido (Gyujanggak) 19-01.jpg | bSize=400 | cWidth=150 | cHeight=150 }}
|-
| 영아는 군영을, 진보는 전방·해안 등에 배치한 진지를 말한다. 각각 크고 작은 사각형으로 표시하며 성이 있을 때에는 빨간 테두리를 그렸다.
 
예: [[경상좌수영성지|경상좌수영]](큰 사각형)과 [[동래군|동래]] 근처의 진들(작은 사각형)
|-
! 읍치(邑治)
| rowspan="2" | {{CSS image crop | Image=Daedongyeojido (Gyujanggak) 19-05.jpg | cWidth=150 | cHeight=50 | bSize=600 | oLeft=330 | oTop=0 }}
|-
| 노란 원으로 표시하고 성이 있을 때에는 빨간 테두리를 그렸다.
 
예: [[나주읍성]](왼쪽)과 성이 없는 [[남평군|남평]](오른쪽)
|-
! 성지(城池)
| rowspan="2" |
|-
| 성과 [[해자]] 등을 말한다.
|-
! [[역참]](驛站)
| rowspan="2" |
|-
| 노란 원 안에 세로줄을 그렸다.
|-
! 창고(倉庫)
|-
| 검은 사각형으로 표시하고 성이 있을 때에는 빨간 테두리를 그렸다.
|-
! 목소(牧所)
| rowspan="2" |
|-
| 나라에서 말을 기르는 곳이다.
|-
! [[봉수]](烽燧)
| rowspan="2" | {{CSS image crop | Image=Daedongyeojido (Gyujanggak) 01-06.jpg | cWidth=150 | cHeight=100 | bSize=400 | oLeft=220 | oTop=20 }}
|-
| 산 위에 붉은 삼각형으로 표시했다.
 
예: 최북단인 [[온성군|온성]] 주변의 봉수대들
|-
! 능침(陵寢)
| rowspan="2" |
|-
| 왕릉을 말한다. 붉은 원으로 표시했다.
|-
! 방리(坊里)
| rowspan="2" |
|-
| 빈 원으로 표시했다.
|-
! 고현(古縣)
| rowspan="2" |
|-
| 검은 원으로 표시하고 성이 있을 땐 붉은 테두리를 그렸다.
|-
! 고진보(鎭堡)
| rowspan="2" |
|-
| 검은 삼각형으로 표시하고 성이 있을 땐 원으로 테두리를 그렸다.
|-
! 고산성(古山城)
| rowspan="2" |
|-
| 산 모양 안에 흰 원으로 표시했다.
|-
| 도로(道路)
| rowspan="2" |
|-
| 줄을 그리고 십리마다 표시했다.
|}
 
=== 지도의 축척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