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이산 제어: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잔글 Ellpicre님이 코이산어족 문서를 코이산 제어 문서로 이동했습니다: 과거에는 어족이라 불렸으나 실제로는 어족이 아님
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언어분류
|이름=코이산어족코이산 제어
|영어이름=Khoisan/Khoesan languages
|계통색=코이산
|지역=[[남아프리카칼라하리 사막]], [[탄자니아]] 중부
|계통=(편의상의 통칭)
|계통=주요 어족 중 하나로 다른 주요 어족과의 관계가 명확히 알려진 바 없음.
|하위1=[[콰디코에어족]]
|하위2=[[카어족]]
|하위3=[[투어족]]
|하위4=[[산다웨어]]
|하위5=[[하자어]]
|iso2=khi
}}
 
[[파일:Khoi-San.png|섬네일|250px|코이산어족의코이산 제어의 분포 (노란 색)]]
'''코이산 제어'''{{llang|en|Khoisan languages, Khoesan languages}}는 [[조지프 그린버그]]가 분류한 아프리카의 [[어족]] 중 하나로,<ref>Greenberg, Joseph H. 1955. <nowiki>''</nowiki>Studies in African Linguistic Classification.<nowiki>''</nowiki> New Haven: Compass Publishing Company. (Reprints, with minor corrections, a series of eight articles published in the <nowiki>''</nowiki>Southwestern Journal of Anthropology<nowiki>''</nowiki> from 1949 to 1954.)</ref><ref name=AB/> 오늘날에는 계통적 관계가 없는 임의의 분류로 본다. 코이산 제어에는 세 개의 어족과 두 개의 [[고립어 (역사언어학)|고립어]]가 속한다.
'''코이산어족'''(Khoisan languages)은 아프리카의 [[어족]] 중 하나이다. [[코이코이족]]과 [[부시먼족]](산족)이 사용해 왔으나, 지금은 남서 아프리카의 [[칼라하리 사막]]과 [[탄자니아]]의 일부 지역에서만 쓰인다. 코이산어족의 많은 언어가 기록을 남기지 않은 채 절멸했으며 점점 희귀해져 가고 있다.
 
코이산 제어로 분류되는 세 어족은 모두 남아프리카의 토착 언어로, [[코이코이인]]과 [[산족 (아프리카)|산족]](구칭 부시맨)이 사용한다. [[코이어족]]은 [[반투어군]]의 확장 이전에 남아프리카로 이주한 것으로 보인다. 동아프리카의 [[산다웨어]]와 [[하자어]]는 코이산 제어로 분류되지만, 이 언어들의 화자는 민족학적으로 코이코이인도 산족도 아니다.
== 성질 ==
코이산어족은 [[흡착음]]이 많이 발달해 있는 것이 두드러진다. [[꽁옹어]]에는 80여 가지의 흡착음과 전체 141 가지의 [[낱소리]]가 있다. 코이산어족 밖에 흡착음을 쓰는 언어는 [[코사어]]와 [[줄루어]]를 포함한 [[반투어군]]의 응우니어군(Nguni), [[소토어]], [[다할로어]](Dahalo), 그리고 [[오스트레일리아 원주민]]이 의식에 썼던 인공어인 [[다민]]이 있다. 다민을 제외한 모두가 아프리카에서 쓰이므로, 근접한 코이산어족 언어의 영향을 받았다고 여겨진다.
 
반투어군의 확장 이전에, 코이산 제어 및 그와 유사한 언어들은 남아프리카와 동아프리카 전역에 퍼져 있었을 것이다. 현재는 주로 [[나미비아]]와 [[보츠와나]]에 걸친 [[칼라하리 사막]]과 [[탄자니아]] 중부의 [[동아프리카 지구대]]에만 분포한다.<ref name=AB>Barnard, A. (1988) 'Kinship, language and production: a conjectural history of Khoisan social structure', ''[[Africa: Journal of the International African Institute]]'' '''58''' (1), 29–50.</ref>
코이산어족 언어의 문법은 대부분 [[고립어 (언어유형학)|고립어]]의 성향을 띤다.
 
코이산 제어 중의 대다수는 [[사멸 위기 언어]]이고, 일부는 [[사멸 예정 언어]] 또는 [[사어|사멸한 언어]]이다. 대부분 기록 또한 되지 않았다. 유일하게 널리 쓰이는 코이산어는 나미비아의 [[코에코에어]](나마어)로, 약 25만 명의 화자가 있다. 그 뒤를 4~8만 명이 사용하는 탄자니아의 [[산다웨어]]가 따르지만 단일 언어 화자는 일부에 불과하다. 칼라하리 사막 북부의 [[퉁어]]는 16000명 정도가 사용한다. 2만 명의 화자가 있는 [[나로어]]도 사용이 활발한데, 절반 가량이 제2언어 화자이다.
== 언어 ==
* [[하드자어]](Hadza)
* [[산다웨어]](Sandawe)
 
코이산 제어는 [[음소]] 체계에 [[흡착음]]을 사용한다는 점으로 유명하다. [[치경 흡착음|!]]이나 [[경구개 흡착음흡착음은 다양각색의 자음이라고 할 수 있는데, 혀가 두 가지 부분적으로 독립된 조음 위치에서 작용하기 때문이다. 이 사실로 인해 세계에서 자음 음소의 수가 가장 많은 언어가 코이산 제어에 속한다. [[준총아어]]는 48개의 흡착음과 비슷한 수의 비흡착 자음, [[소음성 모음|소음성]] 및 [[인두음]]화된 모음, 그리고 네 개의 성조가 있다. [[타어|통어]]와 [[은땸꼬에어|툐앙어]]의 음소 체계는 훨씬 더 복잡하다.
탄자니아의 [[하드자어]](Hadza)와 [[산다웨어]](Sandawe)는 코이산어족으로 분류되지만 언어학적으로나 지리적으로나 다른 코이산어족의 언어와 너무 멀리 떨어져 있다.
 
==비교==
=== Khoe (중앙 코이산) ===
[[앤서니 트레일]]은 코이산 제어가 극도로 다양하다는 점을 지적했다.<ref name=AT/> 흡착음을 사용한다는 공통점 말고는 각 언어가 서로 극명히 다르다. 트레일은 이러한 언어학적 다양성을 보여주는 자료를 아래 표와 같이 제시했다. 앞의 두 열은 코이산 제어의 두 고립어인 [[산다웨어]]와 [[하자어]]의 단어들이다. 나머지 세 열은 각각 [[코에어족]], [[카어족]], [[투어족]]의 언어들이다.
코이코이
 
: 북코이코이
{| class="wikitable"
:* [[나마어]]
|+ style="text-align: left;" | 코이산 제어의 단어, 브리태니커 2005년판 기준
: 남코이코이
<ref name=AT>{{cite encyclopedia |last=Traill |first=Anthony |encyclopedia=Encyclopædia Britannica |title=Khoisan languages |url=https://www.britannica.com/topic/Khoisan-languages |access-date=June 10, 2017 |publisher=Encyclopædia Britannica, inc.}}</ref>
:* [[코라나어]] (사멸)
|-
:* Xiri (사라져 감)
! !! 산다웨어 !! 하자어 !! 코에어 !! 주어 !! 통어
Tshu-Khwe
|-
: 동 Tshu-Khwe
| '사람' || ǀnomese || ʼúnù || khoe || ʒú || tâa
:: 중앙
|-
::* Shua (Deti, Ganadi를 포함하는 방언 모임)
| '남자' || ǀnomese || ɬeme || kʼákhoe || ǃhõá || tâa á̰a
:: 북동
|-
::* Tsoa (Cire Cire, Kua를 포함하는 방언 모임)
| '아이' || ǁnoό || waʼa || ǀūá || dama || ʘàa
: 서 Tshu-Khwe
|-
:: 북서
| '귀' || kéké || ɦatʃʼapitʃʼi || ǂée || ǀhúí || ǂnùhã
::* ‖Ani
|-
::* Kxoe
| '눈' || ǀgweé || ʼákhwa || ǂxái || ǀgàʼá || ǃʼûĩ
:: 남서
|-
::* [[나로어]]
| '타조' || saʼútà || kénàngu || ǀgáro || dsùú || qûje
::* G‖ana
|-
::* G/wi
| '기린' || tsʼámasu || tsʼókwàna || ǃnábe || ǂoah || ǁqhūũ
|-
| '들소' || ǀeu || nákʼóma || ǀâo || ǀàò || ǀqhái
|-
| '듣다' || khéʼé || ǁnáʼe || kúm || tsʼàʼá || tá̰a
|-
| '마시다' || tsʼee || fá || kxʼâa || tʃìi || kxʼāhã
|}
 
 
== 언어 ==
코이산 제어에는 다음의 두 고립어가 속한다.
* [[하자어]]
* [[산다웨어]]
 
아래는 코이산 제어로 묶이는 세 어족이다.
=== Ta'a-!Kwi (남 코이산) ===
===코에어족===
Ta'a
코에어족은 코이산 제어 가운데 가장 수가 많고 다양한 어족으로, 7개의 언어가 현존하며 25만 명 이상이 사용한다. 콰디어의 자료는 많지 않으나, 대명사와 일부 기초 어휘에 대해 콰디코에조어가 재구된 바 있다.
* [[꽁옹어]]
!Kwi
* N/u (사라져 감)
* /Xam (사멸)
* ‖Xegwi (사멸)
* [[세로아어]] (사멸)
 
*? '''콰디코에어족'''
=== Ju (북 코이산) ===
**[[콰디어]] (사멸)
* [[주어군]] (‡Kx'au‖'ein, !Kung, Ju/'hoan, Maligo, !'O!xũũ를 포함하는 방언 모임)
**[[코에어족]]
***[[코에코에어파]]: 이 어파는 카어족 및 투어족과 [[언어동조대]]를 이루는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나마어]] (민족명은 코에코엔, 나마, 다마라. 땨코에 방언과 하이뜰롬 방언을 포함하는 연속체)
****[[에이니 방언]] (사멸)
****남코에코에어군
*****[[코라나어]] (사멸 진행중)
*****[[히리어]] (사멸 진행중인 방언 연속체)
***[[추크웨어파]] (또는 칼라하리어파): 이 어파의 많은 언어들은 부분적으로 흡착음을 상실했다.
****동추크웨어군 (동칼라하리어군)
*****[[슈아어]] (데티, 찌하, 차이세, 가나디 방언을 포함하는 연속체)
*****[[초아어]] (치레치레와 쿠아 방언을 포함하는 연속체)
****서추크웨어군 (서칼라하리어군)
*****[[코에어]] ([[뜰라니어]]와 부가어를 포함하는 방언연속체)
*****[[나로어]] ([[탸바어]]를 포함하는 방언연속체)
*****들라나즈위어 ([[들라나어]]와 [[즈위어]]를 포함하는 방언연속체)
 
=== 미분류 투어족===
투어족은 후술할 카어족과 유형론적으로 매우 유사하지만, 계통적으로 관련이 있다고 증명되지는 않았다([[언어동조대|지역적]] 특성을 공유하는 것일 수 있다).
*'''투어족'''
**타어파
***[[통어]] (화자 수 4200명의 방언연속체)
***[[노소브하류어]] (짜우니와 차시 방언이 존재, 사멸)
**뜨위어파
***[[은뜰릉어]] (사멸 진행중인 방언연속체)
***[[참어 (아프리카)|참어]] (사멸한 방언연속체)
***[[뜡쿠에어]] (사멸한 방언연속체)
***[[틀레그위어]] (사멸)
 
===카어족===
* ‡Hõã (주어군과 관련이 있을 가능성이 있음)
카어족은 2010년에 계통이 증명된 다소 먼 관계의 언어들이다.<ref>Honken, H. and Heine, B. 2010. [http://repository.tufs.ac.jp/bitstream/10108/57434/1/jaas079001_ful.pdf "The Kxʼa Family: A New Khoisan Genealogy"]. ''Journal of Asian and African Studies'' (Tokyo), 79, p. 5–36.</ref>
* Kwadi (사멸. 중앙 코이산어였을 것으로 여겨짐)
*'''카어족'''
**[[은땸꼬에어]] (보츠와나, 화자 수 200명, 사멸 진행중. 은따그리아헤, (동)툐앙, 사시 방언의 연속체)
**[[퉁어]] (또는 주어, 구칭 '북코이산어파'): 약 45000명이 사용하는 방언연속체, 가장 잘 알려진 방언은 [[준총아어]].
 
{{전거 통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