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갈: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태그: m 모바일 웹
태그: m 모바일 웹
35번째 줄:
서 예족으로 보는 견해가 우세하다.<ref>권오영(2018). 《백제와 부여의 계승성 여부에 대한 검토》, 동북아역사논총, 247쪽</ref> 이를 세분하여 백제본기에 나타나는 말갈의 활동범위는 강원 영서와 경기 북부로서 이들은 맥계이며 [[적석총]]을 남긴 것으로 보고, 신라본기의 말갈은 강릉 이북의 예계라는 견해도 있다.<ref>김택균, 1997, 「삼국사기에 보이는 말갈의 실체」,『고구려발해연구』 3, 고구려발해학회.</ref> 만주 지역에 거주하던 숙신인 일부가 주변 외족들의 압력을 받아 동북방으로 옮겼는데, 일부는 [[연변]]지구로 들어갔고, 일부는 [[백두산]]을 넘어 자연조건이 훨씬 좋은 남쪽으로 내려가 원주민의 힘이 약한 [[옥저]]지구로 들어간 것이 《삼국사기》백제본기의 말갈이라는 설도 있다.<ref>范恩實(2003), 「‘靺鞨’族称新考」, 『北方文物』 2003-3, 68~70쪽.</ref>
 
《삼국사기》 것인지편찬자의 고심하였을입장에서는 것이다.강원도, 함경도 지역의 주민들을 무어라 지칭할 것인지 고심하였고, 종족이나 정치체로서 [[읍루]], 마한, 진한, 변한에 속하지 않고, 국명으로서 부여, 고구려, 백제, 신라, 가야도 아닌 이들을 부르기 위한 명칭을 찾을 수 없는 제한된 현실에서 고육지책으로 사용한 용어가 말갈이라고말갈이었다고 추정하기도 본다한다.<ref group="주">[[노태돈]]은 어느 시점에 예(濊)를 말갈로 개서하였다는 해석이해석을 내린제출한 바가 있다. ''노태돈(2003), 「삼국사기에 등장하는 말갈의 실체」,『한반도와 만주의 역사와 문화』, 서울대학교한국문화연구소, 306~307쪽.''</ref> 이 말갈이 고구려 후기의 말갈과 동일한 실체일 수 없다.<ref>권오영(2018), 《백제와 부여의 계승성 여부에 대한 검토》, 동북아역사논총, 247쪽</ref>
《삼국사기》 편찬자의 입장에서는 강원도, 함경도 지역의 주민들을 무어라 지칭
 
할 것인지 고심하였을 것이다. 종족이나 정치체로서 [[읍루]], 마한, 진한, 변한에 속하지 않고, 국명으로서 부여, 고구려, 백제, 신라, 가야도 아닌 이들을 부르기 위한 명칭을 찾을 수 없는 제한된 현실에서 고육지책으로 사용한 용어가 말갈이라고 본다.<ref group="주">[[노태돈]]은 어느 시점에 예(濊)를 말갈로 개서하였다는 해석이 내린 바 있다. ''노태돈(2003), 「삼국사기에 등장하는 말갈의 실체」,『한반도와 만주의 역사와 문화』, 서울대학교한국문화연구소, 306~307쪽.''</ref> 이 말갈이 고구려 후기의 말갈과 동일한 실체일 수 없다.<ref>권오영(2018), 《백제와 부여의 계승성 여부에 대한 검토》, 동북아역사논총, 247쪽</ref>
== 말갈의 7부의 위치 ==
[[파일:Map of Goguryeo.jpg|섬네일|260px|중국의 [[고구려]] 영역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