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
번
잔글 (봇: 틀 이름 및 스타일 정리) |
Emevoluoyod (토론 | 기여) (→원리: 북위에서는 시계방향) |
||
== 원리 ==
푸코 진자는 진동면이 수직면이면서 자유롭게 진동하는 큰 [[진자]]로 구성된다. 실제 진동면은 지구를 기준으로 비교했을 때 회전을 한다. 사실 그 진동면은 공간에 고정이 되고 반면에 지구가 그 추의 아래에서 매 [[항성일]]마다 한 번씩 회전을 한다. 북극 혹은 남극 중 한 장소에서 추의 진동면은 그 아래에서 지구가 회전을 하는 동안 우주의 먼 질량들을 기준으로 했을 때 고정 상태가 된다. 그리고 그 진동면은 매 항성일마다 한 바퀴의 회전을 한다. 그래서 지구를 기준으로 볼 때 북극에서의 진동면은 하루 동안에 완전한 시계방향의 회전 한 바퀴를 돌게 된다. 즉. 북극에서의 축은
푸코의 추가 적도에서 매달려 있다면 진동면은 지구를 기준으로 볼 때 고정이 된다. 다른 위도에서는 진동면은 지구를 기준으로 볼 때 극지방에 비해서는 느린 속도로 전진한다. 여기서 [[항성일]]당 시계방향으로의 이동 각도의 크기를 ''ω''이라 할 때 ''ω''는 [[위도]], ''φ''에 사인 값을 취한 것에 비례한다.
|
편집
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