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측: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28번째 줄:
[[676년]] [[인도]] 승려 지바하라([[:zh:地婆诃罗|地婆訶羅]])가 인도에서 《[[대승밀엄경]](大乘密嚴經)》과 《[[대승현식경]](大乘顯識經)》 등의 [[불경]]을 가지고 와 중국어로 번역할 때, 번역을 도울 대덕 5명 중 한 사람으로 뽑혀 증의(證義)로서 참여했다. [[693년]]에는 인도 승려 보리유지(菩提流志)가 가져온 《[[보우경]](寶雨經)》을 번역했다.
 
[[695년]]에는 [[실차난타]](實叉難陀)가 [[:ja:ホータン王国|우전국]](于闐)에서 가져온 《[[화엄경]]》을 새로 번역할 때 참여했으나, 완성을 보지 못하고 불수기사(佛授記寺)에서 입적했다. 제자들이 사리를 [[룽먼 산 (허난 성)|룽먼 산]] 향산사(香山寺)<ref>(구글맵-향산사)https://www.google.co.kr/maps/place/Xiangshansi/@34.552117,112.4788967,17.25z/data=!4m13!1m7!3m6!1s0x36787c78500aae4b:0xe00af3f5b24194f6!2sLongmen+Mountain!3b1!8m2!3d34.549279!4d112.486423!3m4!1s0x36787b805e295afb:0x88fff5a1c7e38f83!8m2!3d34.5539249!4d112.4794154?hl=ko</ref>에 안치했고, 그 뒤 제자인 자선(慈善)과 승장(勝莊) 등이 사리를 나누어 [[종남산]] 풍덕사(豊德寺)에 사리탑을 세웠다.
 
원측의 후계자 담광(曇曠)이 원측의 《해심밀경소(解深密經疏)》 를 [[둔황 시|둔황[敦煌] 지방]]으로 가지고 가자, [[:zh:管·法成|법성]](法成)이 이를 [[티베트어]]로 번역하였다. 이 책은 [[티베트]]의 사상계와 종교문화 개혁에 크게 공헌했다. 세월이 흐르면서 중국어로 된 책의 일부가 없어졌는데, 다행히도 [[1992년]]에 [[중국]] [[간쑤 성]] [[둔황]](焞惶) 유적지에서 티베트어로 쓰여진 책 전문이 발견되어 그것이 다시 [[중국어]]와 [[한국어]]로도 번역되었다.